대표사진
mangosoda
  1. 기본 카테고리

이미지

도서명 표기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
글쓴이
배한철 저
생각정거장
평균
별점9.4 (23)
mangosoda

 

수백년의 시간을 견뎌온 그림과 유물들의 안에는 무수히 많은 역사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한 장의 초상화는 텍스트 위주의 역사를 풍성하게 해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복식과 문양 등 텍스트로는 알기 어려운 내용으로 그 시대의 역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초상화를 통해 역사에 관한 새로운 사실도 알 수 있다. 초상화에는 당대의 경제, 정치, 사회, 문화를 대표하는 인물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왕의 얼굴을 담은 초상화인 어진, 공신이나 문신을 그린 영정, 기생, 내시, 예술가 등 특별한 사연을 지닌 인물들의 초상화도 많다. 그 시대의 사람들이 모습을 담은 초상화 속에서 그 사람들의 삶과 함께 이면의 역사를 엿볼수도 있다.


조선은 초상화의 나라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무수한 초상화가 그려졌다고 한다. 살아 생전에 공신으로 봉해졌을 때 기념으로 제작되기도 하지만, 대다수의 경우 인물이 사망한 이후 추모용으로 그려졌다. 임금은 공신에게 농공행상의 하나로 왕의 초상화를 전문으로 그리는 어진화사가 그린 초상화를 하사했고, 벼슬과 토지, 노비를 받는 것보다 초상화를 받는 것이 더 명예로운 일이라고 생각했다. 조선시대의 초상화는 일호불사 편시타인, 즉 터럭 한올이라도 같지 않다면 곧 다른 사림이다는 화풍을 계승하여 극사실주의로 그려졌고, 후손은 조상의 영정을 실제 조상과 동일시하여 정성으로 모셨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전쟁을 거치면서도 초상화가 잘 전해질 수 있었던 것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실제 얼굴을 그대로 담은 얼굴을 보면 그것을 함부로 취급하진 못했을 것 같다.


조선시대의 초상화는 극사실주의를 지향했다. 그래서 털끝 하나까지 세세하게 그림에 담아내었다. 서양이나 혹은 일본의 초상화는 그 사람의 권위나 권세를 나타내기 위해 초현실주의로 풍채를 크게 하거나, 키를 키우거나, 단점을 지우거나, 아예 얼굴 자체를 다르게 그리기도 하는 것 같다. 어디선가 본 바에 의하면 일본 메이지 시대 일왕의 초상화는 서양인의 얼굴을 흉내내어 엄청난 뽀샵으로 수정을 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은 극사실주의로 주름 하나, 털 한올까지 실물과 똑같이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정조 치세에 10년간 재상의 자리에 있으면서 탕평책을 성공으로 이끌고, 문예부흥정책을 주도한 조선 후기의 최고의 재상인 채제공의 초상화는 사팔뜨기로 그려졌고, 이인좌의 난을 진압한 공로로 우의정에 발탁됐던 오명항과 추사체로 유명한 김정희 등은 얼굴에 천연두, 즉 곰보자국이 그려져 있다. 아무리 명재상이고, 명서예가라도 초상화 앞에선 가차없다. 권력보정 따윈 없이 사진을 찍듯 생긴대로 그대로 그려내었다.


그중 저자가 가장 손에 꼽는 그림은 공재 윤두서의 자화상이다. 윤두서의 자화상은 국보이기도 한데 강렬한 눈과 수염 한올한올이 섬세하게 그려졌다. 마치 영화 '관상'의 영화 포스터처럼 보일만큼 사실적이고 생생하게 그려져있다. 특이한 것은 윤두서의 자화상은 얼굴만이 덩그라니 그려져 있는데 유교국 조선에서 신체의 일부를 떼어내 그림으로 그리는 것은 금기시 되었기 때문에 이 그림은 당쟁 속에서 형제와 친구를 잃고 암울한 조선의 현실에서 자신의 길을 가고자 했던 굳은 의지를 담았다는 해석이 지배적이었다고 한다. 미완성작이라는 소수의견도 있었던 모양이지만 대체적으로는 강한 결기와 굳은 의지라는 해석으로 결론을 내렸던 것 같다. 그런데 적외선, X선 촬영 등으로 분석해보니 그림은 완성작이고 옷도 입고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옷을 그린 부분은 퇴색되고 얼굴만 남은 것이라는 반전이 있었다. 그럼 옷은 퇴색됐는데 왜 얼굴은 그대로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어쨌건 윤두서가 마이웨이를 다짐하며 굳은 의지를 그림에 그려넣었다는 해석은 한마디로 해석의 과잉이었던 것이다. 과연 꿈보다 해석이다.


책은 현전하는 초상화 외에 전해지지 않는 초상화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임금의 초상화는 셀 수 없이 많이 전해지지만 충무공 이순신, 다산 정약용 선생, 퇴계 이황, 민비를 비롯한 황후들의 초상화는 남지 않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많이 봐오던 이순신 장군과 이황 선생, 정약용 선생의 초상화는 당시에 그려졌던 초상화가 아니다. 특히 우리가 알던 이순신 장군의 초상화가 상상화라니 충격이었다. 수많은 위인들 중 유일하게 성웅이란 칭호가 붙는 불멸의 영웅 이순신. 전쟁이 끝나고 1등 공신에 올랐으니 사후이긴 하지만 초상화가 제작되었을 개연성이 크다고 하는데, 현재는 영정이 남아있지는 않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시대에는 전국의 사당 몇곳에 오래된 초상화가 있었지만 전부 행방불명되었고, 일본에 의해 의도적으로 훼손됐다는 주장도 있단다. 실제 이순신 장군의 얼굴은 고손자인 이봉상의 외모와 사료에 나오는 장군에 대한 묘사를 통해 추측해볼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은 후덕하거나 풍만하지 못하고, 입술이 뒤집히고 얼굴에 살집이 많지 않다고 적혀있다니 우리가 많이 봐왔던 인자하고 덕이 있어 보이는 레귤러 초상화와는 거리가 있다고 하겠다.


반대로 우리가 아는 초상화와는 다르게 실제로는 더 후덕하고 풍만한 얼굴을 가진 위인이 있는데 바로 세종대왕이다. 고기반찬이 없으면 밥을 먹지 않았고, 운동을 꺼렸던 세종대왕은 당뇨와 관절질환, 어깨통증 등 성인병으로 보이는 온갖 질병을 달고 살았는데 사료에는 몸이 뚱뚱하고 무겁다, 몸이 장대하다는 등의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지금 우리가 아는 세종대왕의 이미지보다 훨씬 후덕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세종대왕의 초상화 역시 지금은 남아있지 않아서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올라운드 히어로 넘버 원투를 다투는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의 얼굴을 모른다는 것은 너무나 안타깝다.


책에는 외가 쪽의 조상인 이복원과 이천보의 초상화도 소개되고 있다. 조선시대 양대 문벌이었던 두 가문이 있는데, 이 두 가문을 일컬어 연리광김이라 불렀고, 이른바 공부의 신 집안인 것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들은 정승보더 더 영광스럽게 여겼던 벼슬이 대제학이라는 직책인데 글공부 좀 한다고 하는 사람이 대제학 자리에 오를 수 있었고, 이 두 집안은 대제학을 몇 번씩이나 했다고 한다. 그렇게 대제학을 몇번씩 할 정도의 공부의 신 가문인데 그 후손은 나는 왜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지, 외가쪽 후손이어서 그런건지 조상님 초상화를 보며 묻고 싶어졌다.


초상화는 단순히 옛날 사람들의 얼굴을 그린 그림이 아니라 그 이면에 역사와 시대상이 숨어 있는 귀한 사적 자료이다. 우리도 단순히 그림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 얼굴에 담긴 역사적 배경과 의미, 화가에게 영향을 끼친 사건, 인물의 사생활 등의 작품 외적인 역사를 알아가다보면 초상화를 통해 역사를 알아가는 재미를 느낄 수가 있다. 그리고 관복의 복식이나 허리에 차는 벨트, 문양, 모자 등을 통해 그림이 언제 그려졌는지 시대와 그림 속의 인물의 관직 등도 파악할 수도 있고, 제작기법과 화풍을 통해서도 초상화가 만들어진 시기를 유추할 수 있다. 이렇듯 국보와 보물 초상화로 그림 자체에 대한 지식도 얻고, 그림 보는 법을 배울 수도 있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mangosoda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5.5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4.25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2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4.12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1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6
    좋아요
    댓글
    170
    작성일
    2025.5.1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9
    좋아요
    댓글
    131
    작성일
    2025.5.1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6
    좋아요
    댓글
    88
    작성일
    2025.5.1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