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mirgod
- 작성일
- 2020.5.18
절대 성공하지 못할 거야
- 글쓴이
- 마크 랜돌프 저
덴스토리(DENSTORY)
넷플릭스는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인터넷이 발달한 나라에서 동영상 서비스를 하는 업체로 넷플릭스는 유명한 회사입니다. 넷플릭스라는 회사가 탄생할 때 큰 역할을 했던 마크 랜돌프라는 인물이 자신의 회고록 형식으로 글을 써서 책으로 펴냈습니다. 지금은 넷플릭스에서 활동하고 있지 않는 점은 조금 아쉽긴 하지만 넷플릭스라는 회사가 어떻게 설립되어지고 사업을 구상하며 발전했는지 대략 엿 볼 수 있었습니다.
지금의 넷플릭스의 모습과 초창기의 모습은 확연히 다릅니다. 인터넷 기반으로 온라인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서비스는 초창기 넷플릭스의 사업 형태와 확연히 다릅니다. VHS(비디오테이프)가 DVD로 바뀌는 시절에 저자는 이런저런 사업구상을 하고 있었습니다. 어떠한 물건을 판매하여 이익을 얻는 사업모델을 구상했고 직접 제조하기엔 많은 투자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기존의 상품을 판매하는 유통사업을 하고자 합니다.
그렇게 생각해 낸 것이 맞춤식 샴푸를 우편으로 판매해보자는 사업구상을 합니다. 동업자인 리드와 수많은 토론을 하며 결국 최종적으로 DVD 판매 및 대여사업을 하기로 마음을 먹습니다. 당시 DVD는 생소한 제품이었고 DVD플레이어가 보급되는 과도기적인 시점이었습니다. 그런데도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사업을 진행하기로 합니다.
우편으로 DVD 판매 및 대여사업을 기획하고 실질적으로 필요한 자금계획까지 수립하고 자신들의 사업권을 대략 300만 달러로 측정하고 투자자를 모색합니다. 동업자인 리드가 먼저 2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하고 실질적으로 사업을 시작합니다. 희망했던 자금 투자는 느렸고 실질적 사업도 큰 수익을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우여곡절 끝에 사업을 진행하긴 합니다.
사업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예상보다 좋았지만, 수익으로 실현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지출만 늘어나는 상황에서 저자는 결정해야 했습니다. 현재의 사업모델을 그대로 가져가야 할지 아니면 변화를 줘야 할지 여러 고민을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지금의 수익 모델인 구독형 서비스를 내놓으며 실질적으로 수익을 안정적으로 얻으며 사업이 순항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현재의 넷플릭스의 모습을 상상하고 책을 보신다면 아마도 생소할 것입니다. 현재의 수익모델에서 어떤 점이 잘한 선택이고 판단이었는지에 대한 고찰을 찾고 싶으시다면 추천해 드리기엔 아쉬움이 남는 책이었습니다.
넷플릭스를 설립했던 초창기 멤버들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창업을 하였고 그 기조가 어떤 환경에 맞닥뜨려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엿보고자 한다면 괜찮은 책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넷플릭스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저자의 역할이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넷플릭스 성공에 대한 통찰을 얻기엔 조금 아쉬움이 남는 독서였습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