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 마음 편지
무진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8.5.31
"침어낙안沉魚落雁 폐월수화閉月羞花"
물고기가 헤엄치는 걸 잊고 물속에 가라앉고, 기러기가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졌으며,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고, 꽃이 부끄러워 고개를 숙였다.
이 말은 중국 고대의 사대미인 즉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초선貂蟬, 양귀비楊貴妃를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에는 각각의 일화가 전해지며 미인을 일컽는 말로 전해진다.
ㆍ침어浸魚 - 서시西施 : 개울가에서 손수건을 씻는 서시를 보자 물고기가 헤엄치는 걸 잊고 물속에 가라앉다.
ㆍ낙안落雁 - 왕소군王昭君 : 왕소군의 금琴 소리를 듣고 한무리의 기러기가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잊고 땅으로 떨어져 내렸다.
ㆍ폐월閉月 - 초선貂蟬 : 초선이 화원에서 달을 보고 있을 때에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리웠다. 이에 왕윤이 말하기를 "달도 내 딸에게는 비할 수가 없구나.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고 하였다.
ㆍ수화羞花 - 양귀비楊貴妃 : 양귀비가 화원에 가서 꽃을 감상하며 우울함을 달래는데 무의식중에 함수화含羞花를 건드렸다. 함수화는 바로 잎을 말아 올렸다. 당명황이 그녀의 '꽃을 부끄럽게 하는 아름다움'에 찬탄하고는 그녀를 '절대가인絶對佳人'이라고 칭했다.
*국립민속국악원의 창극 '춘향실록春香實錄-춘향은 죽었다'를 보다 변사또가 춘향을 보고 읊은 노랫말에 등장하는 "침어낙안沉魚落雁 폐월수화閉月羞花"가 무엇인지 궁금하여 찾아보았다.
여인의 아름다움을 비유하여 말하는 이 미묘함은 어디서부터 비롯된 것일까. 대상과 상황을 절묘하게 묘사함이 가히 하늘을 찌른다.
함축된 내용을 알지 못하면 말과 행동으로 전하고자 하는 본바탕을 제대로 알 수 없다. 잠시 우스개소리로 듣고 넘기기에는 뭔가를 놓치고 가는 안타까움이 크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