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backang
- 작성일
- 2018.6.4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 글쓴이
- 헤르만 헤세 저
그책
헤르만 헤세 저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를 읽고
살아가는 데 있어서 사람들 간의 관계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가 있다.
그 관계는 여러 상황에 따라 이뤄지거나 맺어진다. 의도적으로도 되지만 우연히도 이뤄진다. 어쨌든 서로 맺어진 인간관계를 중하게 여기면서 사회생활을 열심히 해가는 사람들을 보면 그렇게 부럽고 좋을 수가 없다.
따라서 좋은 모습들은 언제든지 배워서 나의 것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세계적인 작품 속에서도 이런 주제를 다루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헤르만 헤세의 바로 이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작품이다.
'어느 우정의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작품으로 인간의 본성을 속 시원하게 공부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한 아름다운 소년으로서 자신을 알기 위해 모든 것을 직접 행하기 좋아 했던 골드문트와 한 젊은 수사로서 인간이 상상한 세계를 정신으로 경험하고 인식하면서 자신의 삶을 온전히 수도원의 신성한 규율에 바치기로 하면서 정신으로 관통하는 사람 나르치스가 만난 곳이 마리아브론 수도원이었다.
미소년으로서 학생의 신분과 수사의 보조교사로서였다.
미소년 골드문트는 엄격한 아버지에 의해 수도원에 맡겨졌는데 아버지의 기억에 따르면 문란했던 어머니의 죄를 씻기 위해 금욕적인 수도자의 삶을 받아들여야 하는 운명이었다.
골드문트의 사고는 이러한 가정의 경험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최대한 많은 삶을 위해 골드문트는 최대한 많은 공간과 장소에 있고자 했다.
그의 이름은 바로 황금의 입, 골드문트였다.
그러나 하지만 수도원의 천재 수사 나르치스는 천재소년이 수도자로 살 수 없는 본성임을 알아차렸다.
정반대의 영혼을 지닌 이들은 서로에게 운명적으로 끌렸다.
그것은 성과 육체, 세속의 통념을 초월하는 끌림이었다.
그래서 나르치스는 골드문트에게 "꽃잎 한 장이나 길 위의 작은 벌레가 도서관 전체의 책들보다 훨씬 많은 의미를 지닌다는 생각이 들어요." 라고 하면서 조언을 하게 된다.
나르치스가 수도원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느낌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결국 골드문트는 나르치스의 예언대로 수도원을 떠나 혼자 방랑의 삶으로 들어선다.
골드문트는 많은 여인들을 만나고, 다양한 사랑의 모험을 즐기며 나름대로의 삶과 새로운 세계를 배워나갔다.
골드문트는 많은 여자들의 유혹을 받아들이며 유혹적인 존재가 되었다.
어린아이다움, 개방성, 호기심, 순진무구한 욕정이 그의 무기였다.
여자들은 그에게 무언가를 남겨놓았고, 골드문트는 그것을 받아들였다.
그렇게 그는 자신의 길, 예술가의 삶으로 한 발 한 발 나아갔다.
하지만 과도한 열정은 늘 위험한 법이어서 죽음의 위기에 처하기도 한다.
그런데 나르치스의 운명적인 도움으로 생명을 구하면서 결국은 수도원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생의 마지막을 영원한 어머니의 상을 눈에 보이는 형태로 구현하면서 영혼의 벗인 나르치스 곁에서 숨을 거두는 모습을 이틀간이나 보는 마음이 너무나 아름다우면서도 한없이 슬펐다.
아울러 헤르만 헷세의 인간의 마음 두 본성을 두 인물을 통해서 표현하려 하였지만 결국은 하나로 융합시킨 즉 이성과 감성의 조화, 학문과 예술의 조화 등을 통한 개인의 완성과 예술의 향한 구도의 길을 자유롭게 가라는 의미가 아닌가 생각을 해보았다.
너무나 멋지고 아름다운 작품이라는 생각이다.
두고두고 몇 번이고 읽어보아야겠다는 마음이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