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리 중급 이론
사주팔자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9.3.12
겁재(劫財)
겁재(劫財)는 비견(比肩)처럼 나와 같은 오행이지만 음양이 다르다.
내가 갑목(甲木)이면 을목(乙木) 또는 묘목(卯木)이 음양이 다르니
겁재(劫財)가 된다.
겁재(劫財)는 재물을 빼앗는 성질이라 겁재(劫財)라고 이름 붙였다.
재물을 빼앗기 위해 빈틈없이 계획하고 상대방과 경쟁한다.
비견(比肩)이 달리기 경쟁이라면 겁재는 권투처럼 맞보고 싸우는 경쟁이다.
겁재가 훨씬 치열하고 무섭다.
겁재는 너 아니면 나의 경쟁 구도로 살벌하고, 경쟁 논리가 강하다.
불화, 배신, 이복형제, 적대, 부도, 차압 등의 부정적의미가 강하다.
강력한 경쟁자, 함께 싸우는 격투기 상대에 해당하니 위험요소 발생한다.
겁재(劫財)는 다른 사람과 사교적이다.
돈을 빼앗아야 하므로 다른 사람과 어울리지 않으면 안 된다.
겁재(劫財)를 생각하려면 도박, 노름을 생각하라.
겁재(劫財)는 정상적인 재산(월급) 같은 것 싫어한다.
그래서 정상적인 월급이나 재산인 정재(正財)를 보면 극(剋)하여 빼앗아온다.
겁재가 비견(比肩)과 다른 점은 융통성은 있고 사교적이라는 뜻이다.
겁재(劫財)는 모험, 내기 좋아한다.
남의 재산 빼앗기 쉽지 않으므로 머리를 치밀하게 쓴다.
적극적, 진취적이고, 민첩하고, 독립적이고, 부지런하다.
겁재(劫財)는 자기는 만족 못하더라도 남이 알아주면 좋아한다.
겁재(劫財)는 칭찬해주면 좋아한다.
반면 겁재(劫財)는 패배하면 자포자기, 감정의 굴곡 심하다.
도박에서 이겼을 때와 졌을 때 표정을 생각하라.
겁재(劫財)가 남의 재산을 빼앗는다고 꼭 나쁘다고는 하지 말라.
모든 경제활동 자체가 모두 남의 돈을 빼앗는 것이니까.
겁재(劫財)는 비견(比肩)보다 지능화되고, 적극적인 면이 있다.
음양(陰陽)이 다름으로 친밀감 있어 사교성 융통성 좋다.
그러나 내 생각은 확고하게 가지고 다른 사람과 어울린다.
나에게 이익이 된다면 자기 생각을 감추고 어울려 다닌다.
비견(比肩)은 우선은 자기 고집을 부리지만
상대방의 의견이 옳으면 수용한다.
겁재(劫財)는 내 의견과 다르더라도
상대방을 배려하며 나에게 이익이 되는가를 따진다.
비견(比肩)은 이야기 중 싫으면 말이나 표정으로 나타나지만
겁재(劫財)는 속과 겉이 다르므로 알기 힘들다.
똑같이 주체적이지만 비견(比肩)은 타협이 힘들지만
겁재(劫財)는 타협이 가능하다.
재물을 빼앗기 위해 겁재(劫財)는 무엇이든 하는 것이다.
겁재(劫財)는 정재(正財)를 극하므로 재물을 빼앗아간다는 말인데
자기 의견과 주관을 가지고 남과 어울리기 좋아하니
나쁜 것만은 아니다.
겁재(劫財)의 특징 중 하나는 모험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내기도 좋아하고 끈기도 있다. 기어코 뺏으려 한다.
겁재(劫財)는 비견(比肩)과 비슷하지만 사교적이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일주가 겁재(劫財)로 구성된 것은 4가지 뿐이다.
물과 불로 이루어진 것들뿐이다.
丙午, 壬子, 丁巳, 癸亥
나이스사주명리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