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1. 명리 고급 이론

이미지

 

육합(六合)




육합(六合)도 천간처럼 동결되어 버린다. 그러나 천간처럼 기운이 사라지거나 없어지지는 않고 합화(合化)도 없다. 육합(六合)도 위치가 붙어 있어야만 성립한다. 합(合)이 되면 마음대로 사용 못해 답답하다.




□□□□


丑戌子未 


子丑이 떨어지면 합이 아니다.




회합(會合)


회합(會合)에는 삼합(三合)과 방합(方合)이 있다. 세 글자가 나란히 붙어 있어야한다. 회합(會合)이 되면 반드시 다른 속성으로 변한다. 회합(會合)에서 다른 오행으로 변하게 된 것을 국(局)이라고 한다. 즉 회국(會局)이 성립하면 각 글자들은 본래 가지고 있던 오행의 속성을 잃어버리고 전혀 다른 오행의 성질을 갖는다.




방합(方合)


寅卯辰 巳午未 申酉戌 亥子丑




방합(方合)은 같은 계절 방위에 속해 있는 기운끼리 비슷한 속성이니 뭉치는 합으로 각자 커다란 기(氣)를 갖게 된다.




□□□□


巳□酉丑


한 글자라도 떨어져있으면 방합(方合)이 성립되지 않는다.








삼합(三合)


亥卯未 寅午戌 巳酉丑 申子辰




삼합(三合)은 각 오행의 생지(生地), 왕지(旺地), 고지(庫地) 세 가지가 모여 방합(方合)처럼 거대한 오행의 기(氣)를 갖고 고유 속성을 잃는다.




생지 : 寅申巳亥


왕지 : 子午卯酉


고지 : 辰戌丑未




□□□□


子申□辰


떨어져있으면 삼합국이 성립 안한다.




회국(會局)에서는 해당 오행이 천간에 투하지 않아도 거대한 기운이 표현되니 근(根)을 두고 있는 천간보다 월등히 강하다. 회국(會局)이 되면 그것이 곧 격(格)이 되니 회국(會局)이 되는 것이 근(根)이 되는지 안 되는지 문제가 안 된다.




고지(庫地)와 묘지(墓地)


고지(庫地)는 辰戌丑未 네 개의 화개지(華蓋地)를 말하고, 묘지(墓地)도 역시 辰戌丑未 글자로 어떤 특정한 천간을 위협에 빠뜨린다는 개념의 지지(地支)이다. 고지(庫地)나 묘지(墓地) 그냥 구별없이 묘고(墓庫)라고도 한다.






반합(半合)


반합에서 유의해야할 것은 천간의 유인력이다.


천간의 유인력은 지지 寅午일 때 천간 丙火가 오면 삼합 정도는 아니더라도 강력한 화기(火氣)를 형성한다. 또 방합(方合)에서도 지지에 申酉가 있다면 천간에 金의 글자 庚 또는 辛이 있다면 금기(金氣)가 강해진다.






충(沖)




지지 반대편 글자와 충(沖)이니 방위의 충이라고도 하며 깨져서 없어지므로 잃어버리는 아픔 있다. 충(沖)은 신상의 번거러움과 이동수, 구설수, 법정공방, 관재수, 질병 등 있을 수 있다. 때로는 좋은 일을 할 수도 있다.




□丙□□


□子午□


子午충 발생하여 비겁 午, 즉 형제 동료가 깨진다. 형제나 동료의 장애 발생하고 심하면 사망한다.




□甲□□


□寅申□


寅申충 성립하여 관성 파괴로 직장잡기 힘들고, 여성은 연예 또는 남편 부분에 장애 있다.




□甲□□


□子□午


충(沖)도 떨어지면 합(合)처럼 성립되지 않는다.






형(刑)


형(刑)은 너무 강한 힘으로 인해 에너지가 넘치는 현상으로 작용한다. 형(刑)이란 수(數)가 극에 이르러 넘치면 오히려 손해가 되는 것이다. 충회합(沖會合)은 글자가 직접 만나야지 성립되지만 형살(刑殺)은 에너지의 반응이기 때문에 떨어져도 성립한다. 형(刑)은 합(合)으로 작용할 때도 감소하지만 사라지지는 않는다. 형살(刑殺)은 사회적으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모습을 담고 있다. 한 순간 벼락부자, 뜻하지 않는 횡재, 뜻밖의 시험 성적도 형살의 영향이다. 그러나 형(刑)에 의한 좋은 일도 형(刑)이니 만큼 신상의 고통스러움은 수반된다. 형살 중에서도 특히 삼형살(三刑殺), 즉 寅申巳 丑戌未를 잘 보아야한다.






형살(刑殺)은 정도(正道)가 아닌 비정상적인 일을 만들어 낸다.




□甲□□


□寅巳申


위 사주에서 甲木은 寅申巳가 모두 형살을 맞아 비정상적인 결과를 만들어낸다. 즉 예측하지 못한 일, 변수로 인해 시련과 아픔 있다. 巳 식신을 보면 식신이 형살을 맞아 진로개척에 난항 있거나, 특이한 진로를 겪거나, 말투나 언변에 실수 있기도 한다.




형살(刑殺)은 두 글자로도 성립된다.


戌未형 처럼 두 글자만 있어도 형(刑)이 성립되는데 삼형살(三刑殺)보다는 득(得)이 많다. 형살로 얻어지는 득(得)의 현상은 내가 원하지 않았는데 얻어지는 현상이다. 득(得)은 득(得)인데 달갑지 않은 득(得)일 수도 있다.




□甲□□


□戌未□


戌未형으로 재성이 형(刑)을 맞았다. 남자라면 이성 문제에 돌발 변수 많이 발생하여 순조롭지 않다는 것이다.







나이스사주명리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23.04.26

댓글 1

  1. 대표사진

    천사

    작성일
    2009. 3. 13.

사주팔자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2.8.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2.8.6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11.6.2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1.6.21
  3. 작성일
    2011.3.2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1.3.28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27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1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36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