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1. 우주변화의 원리

이미지

 

사물(事物)과 개념(槪念)


개념(槪念)이란 삼라만상(森羅萬象)이 다양다색(多樣多色)하니 인간이 이해하기 쉽게 공통된 속성을 결합하여 언어화된 표식을 하기위한 정명(正名)을 말한다. 개념연구는 철학 연구에 대단히 중요하다. 개념(槪念)을 동양철학에서는 정명(正名)이라한다. 그 개념이 바르지 못하면 사물전체의 관념과 어긋나므로 정명(正名)은 문화의 발전과 지식의 통일을 위해서 불가무(不可無)의 방법이다.




정명사(正名史)는 공자에서 시작되었는데 공자는 춘추말의 부패와 타락이 전혀 정명(正名)되지 못한 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제자가 '선생이 만일 위국의 재상이 되면 무엇부터 먼저 하겠습니까?' 하고 물었을 때  '필야정명(必也正名)'이라 대답하였던 것이다. 그 때와 같은 난세에 정명(正名)부터 하겠다는 말을 들은 제자는 아연실색하였지만 공자로서 볼 때에 그밖에는 다른 도리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역사적으로 잘못된 비결 해석과 지명으로 황제의 꿈을 갖고 난(亂)을 일으킨 경우나 또한 중국과 또한 중국과 일본 그리고 서양에 의한 한민족의 정명(正名) 왜곡으로 인한(예, 일제의 '석유환국' 비문조작 사건으로 환국-배달국-고조선의 7(七)000년 역사가 송두리째 사라진 경우) 역사소멸의 경우를 보더라도, 정명이 되지 않는 세계는 무법지대와도 같은 것이다.




정명(正名)이 사물의 이름을 바르게 하고 명분을 세우는 중요한 것임에도 만에 하나라도 미숙한 횡설수설(橫說竪說)이 개입되면 명분(名分)이 궤변(詭辯)이 되고 인식(認識)은 타락의 구덩이를 헤매게 될 것이다. 공자는 춘추말의 부패와 타락이 정명(正名)되지 못한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공자는 위국의 제상이 된다면 정명(正名)부터 할 것이다 고 말했다. 묵자, 공손룡자, 순자 등도 정명(正名)을 철학의 기본으로 삼았다.




그러나 진시왕의 분서갱유(焚書坑儒) 이후 정명(正名)에 대한 뜻과 철학의 심오성도 사라졌다. 송(宋) 대에 성리학으로 정명사상(正名思想)의 중요성을 느꼈지만 천여 년이 지나 명맥을 유지하기도 바빴다. 19(九)세기에 하심부(河心夫)가 정역주의(正易註義)를 저술하여 갱생(更生)의 계기가 되었다.




정명(正名)은 사물의 명사(名詞)나 명분(名分)을 바르게 하여 사물의 실(實) 즉 본질(本質)과 명사(名詞)가 정확하게 부합하게 함으로써 사회와 만물의 모든 명분을 바로 서게 하는 것이다. 모든 이론의 생명은 명(名)과 실(實)이 상부(相符)함으로써 이루어지니 이론의 명실(名實)이 다르면 문화의 암흑시대가 될 것이다.




정명학(正名學)과 명실론(名實論)은 춘추 말과 전국시대 240년 동안 발전하였는데 공부자에서 시작했지만 하나의 학설로 만든 사람은 묵자(墨子)였다. 묵자(墨子)의 정명학(正名學)은 목적이 명실(名實)에 있었고, 그 방법은 이사서의(以辭舒意)와 이설출고(以說出故)에 있었다. 사(辭)와 설(設)에 중점을 두어 그것만 밝히면 정명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辭)와 설(設)을 알아야한다. 이사서의(以辭舒意)란 개념에서 판단에 이른다는 말이며, 이설출고(以說出故)란 판단에 의하여 그 까닭을 해명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정명학(正名學)이란 단지 언어학적인 개념을 넘어서서 가치판단을 할 수 있고, 그 까닭을 밝혀 우주원리에서부터 인간사에 이르기까지의 사물(事物) 바로잡는다는 의미가 깃들어 있는 것이다.




동양의 문자는 일면으로 언어이지만 문자 자체가 철학(哲學)이다. 사(辭)와 설(設)은 언어적으로 모두 말한다의 뜻이다. 언사(言辭)라고 할 때 언(言)은 말의 적극적인 면 즉 자기의 주장을 의미하고, 사(辭)는 소극적인 면 즉 수용적 태세를 의미한다. 말은 주고받는 것이다.




사설(辭說)이라고 할 때 사(辭)는 수납적인 면이고 설(設)은 주장적인 면이다. 그리고 언사(言辭)와 사설(辭說)이 또 철학적으로 다르다. 언(言)은 적극적인 면의 본질이고 설(設)은 적극적인 현상을 표현한다. 그러므로 이사서의(以辭舒意)란 사(辭) 즉 수용적이며 통일적인 것에 의한 이유나 뜻의 판단이고, 서의(舒意)란 말은 자기의 뜻을 진술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사서의(以辭舒意)는 개념에서 판단에 이른다는 말과 동일한 것이다. 개념(槪念)은 모든 의미의 창고이고 판단(判斷)은 개념을 발휘하는 수단이거나 작용이기 때문이다.




이설출고(以說出故)에서 설(設)은 능동적이며 합리적인 표현이니 자기 판단에 의해 해명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즉 설(設)이라는 것은 주장이니 판단에 의해 추리하여 이유를 밝힌다는 것이다. 묵자(墨子)의 어사(御使)서의와 이설출고(以說出故)의 판단과 추리개념의 설정은 정명학(正名學)의 체계적 발전의 시초였고 동양철학의 중흥에도 등대가 되었다.




동양의 문학은 상(象)과 형(形)에 의해 성립되어 문자 자체가 철학이다. 사물의 변화를 문자로 표시한 것이다. 그래서 문자 구성이 개념적(槪念的)이어야 한다. 그래서 정명학(正名學)이 철학의 씨앗이다. 그럼에도 종래 학자들이 문자를 언어학의 대상으로만 삼고 철학의 신비에만 몰두하고 그 방법이나 수단을 소홀히 한 것은 잘못이다 그러나 동양철학을 하려면 정명학 연구가 성패의 지침이 될 것이다.





나이스사주명리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사주팔자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2.8.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2.8.6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11.6.2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1.6.21
  3. 작성일
    2011.3.2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1.3.28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27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1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36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