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리 중급 이론
사주팔자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9.3.12
재성(財星)
재성은 내가 극(剋)하는 오행이다.
음양이 같은가 다른가에 따라 편재과 정재로 나누어진다.
갑목(甲木)에 무토(戊土)가 있으면 목극토(木剋土)이면서 같은 음양이니 편재이고
갑목(甲木)에 기토(己土)가 있으면 목극토(木剋土)이면서 음양이 다르니 정재라고 한다.
편재는 남명(男命)에게는 여자 및 처(妻)를 나타내며
유산이나 복권 당첨처럼 비교적 손쉽게 나타나는 금전이다.
정재도 남명(男命)에게는 여자 및 처(妻)를 나타내지만
정재는 비교적 노력해서 벌어들인 월급과 같은 금전의 수입이다.
정재는 편재보다 규모는 작지만 안정성이 보장된다.
재성은 금전과 재물, 신체적 건강을 의미하고 부(富)를 의미한다.
식상이 함께 있으면 일과 재능을 통해 재물을 모으니 바람직하다.
사업을 하면 좋다.
식상이 없고 재(財)만 있으면 고생하여 모으거나
편재가 좋으면 유산이나 복권 당첨등을 기대한다.
이때 비겁이 강하면 아극재(兒剋財)로 재(財)가 깨지니 들어온 재(財)를 잃는다.
정편재(正偏財)가 혼잡되면 재(財)를 얻기 힘들거나
남명(男命)은 이성(異性)간의 혼탁한 교제가 있다.
재성이 왕(旺)하면 재극인(財剋印)으로 인성을 극해 불효하기 쉽다.
인성은 모친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 재성이 왕성하면 처(妻)가 힘이 있으니 공처가(恐妻家) 등 여성 중심이 된다.
여성이 재(財)가 많으면 관(官)을 생하니 바람직하다.
또 재성은 시모(媤母)를 나타내니 시모(媤母)와 좋은 관계가 된다.
그러나 재가 강하면 인성을 극하니 친모(親母)를 극하는 모습이 된다.
친모(親母)는 인성이다.
시간(時干)의 편재가 월지 통근하면 비겁 또는 재성 운에 상당한 부자가 된다.
중년이후 부자가 된다는 의미이다.
남명(男命)에 관성(官星) 왕(旺)하고 재성이 허약하면
자식이 강하고 나의 건강이 허약하다는 뜻이니
배우자가 자식 출산하고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
재성이 건강을 의미하고 관성은 자식이다.
편재는 재(財)의 들고남이 크니 쓸 때는 화끈하고 없을 때는 초라하다.
돈이 없어도 또 들어온다는 생각으로 재물에는 담백하다.
나이스사주명리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