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a
  1. 책을 읽다

이미지

도서명 표기
아름다움의 진화
글쓴이
리처드 프럼 저
동아시아
평균
별점9.3 (17)
ena

다윈은 1859년 진화의 메커니즘으로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
내세운 『종의 기원』을 출판했다
. (다들 알고 있듯이)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 그 이후 자연선택은 진화에 있어서 확고부동한 원리가 되었다.
그런데 다윈에게는 고민거리가 있었다. 공작의 화려한 무늬나 사슴의 커다란 뿔 같은 것들이
그런 것이었다
. 분명 생존에 도움이 되지 않는 건데 왜 그런 게 진화했을까? 그후 다윈은 1871년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을 출판한다. 이 책은 두 가지 의미로 중요한 책이다. 한 가지는 『종의 기원』에서
극구 꺼렸던
인간의 진화에 대해서 밝히고 있다는 점이고, 또 다른 한 가지는 자연선택으로는 모두 설명할 수 없었던 생물의 과시형질(display
character)
에 대해서 성선택(sexual
selection)’
이라는 메커니즘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성선택이란, 동식물의 심미적 선택이 공작의 화려한 무늬나 사슴의 커다란 뿔 같은 것을 진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연선택과는 달리 성선택은 과학자 사이에서 그다지 환영받지 못했다. 특히
자연선택의 공동 주창자인 월리스 같은 이는
, 성선택을 아예 무시했다(그는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에 대해 노골적으로 반대했다
. 그는 인간을 동물과 완전히 구분하기도 했다). 그리고 진화학이 확고한 과학의 학문으로 우뚝 서게 되는 계기가 된 1930년대의
현대종합설
(Modern synthesis), 혹인 신다윈주의(neo-Darwinism)에서는
자연선택만을 진화의 메커니즘으로 삼고
, 성선택은 그 하위 개념으로 포함시킨다. 성선택을 자연선택의 하위 개념으로 삼는 것은, 새의 아름다운 깃털
색깔 같은 것이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을 표현하는 것으로 의미를 지닌다는 얘기다
. 이른바
적응주의인데
, 아름다운 깃털은 자신의 건강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발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물론 현대종합설의 태두 중 한 명인 피셔는 폭주설을 주창해서 그들과 다른 의견이었지만).

 



신다윈니즘, 내지는 적응주의는 현대 진화학의 주류다. 노골적으로 자신이 확고부동한
적응주의자라고 하는 진화학자가 있을까 싶지만
, 연구 방법에 있어서나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나
특정 형질의 진화를 설명할 때
적응(adaptation)’
관점을 과감하게 지워버리지 못한다
. , 그 형질이 어떤
쓸모가 있을 거라는 가정을 미리부터 한다는 얘기다
. 적응주의는 유혹이기도 하다.

 



리처드 프럼은 여기에
과감하게 반기를 들었다
. 이 책이 성선택을 주제로 삼고 있다고 하면서,
새롭다는 얘기를 듣고는 조금 고개를 갸웃거렸다. 성선택에 관한 책은 이미 나와 있고, 진화를 얘기하면서 성선택에 관해서 언급하지 않는 경우는 드물다. 성선택의
메커니즘에 관해서도 몇 가지를 꼼꼼하게 소개하기도 한다
. 그런데 뭐가 다를까 싶었다.

 



그런데, 다르다. 그 다름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아름다움을 부연해서 설명해야 하는 무엇인가, 아니면 그 자체인가(“아름다움 뒤에는 아무것도 없다”)에 관한 견해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 지금까지의 적응주의자의 관점은 아름다움은 무엇을 나타내기 위한,
이를테면 좋은 유전자’, 형질이지만, 프럼의 관점은 아름다움은 그저 심미적인 관점에서 아름다움이며, 그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 아름다움은 다른 무엇을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답기 때문에 선택되고, 과시되었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은
새를 예로 든다
(리처드 프럼은 우선은 조류학자다). 아름다운
무늬를 지닌 새들
(청란, 마나킨새)과 정자를 지어 암컷을 유인하는 바우어새 같은 경우에 그런 형질을 진화시킨 것이 좋은 유전자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 단지 암컷들이 성 결정의 선택 권리를 지니게 됨으로써 수컷들이 그런 과시
형질들을 보여주게 되었다는 것이다
. 그리고 인간으로 나아간다. 인간은
다른 영장류와 다른 측면도 있지만
, 인간 역시 기본적으로 그것이 어떤 다른 이득을 보여주기 위한 형질로서가
아니라 단지 그것이 보기 좋다는 이유로
, 혹은 암컷이 수컷들의 공격성을 완화시키기 위한 선택으로서 암컷과
수컷의 형질들이 진화했다는 것이다
.

 



조금 당혹스러운 설명도
있고
, 또 자꾸 반박하는 메모를 하게 되는 나를 보면서, 나도
적응주의자인가 싶기도 했다
(나 역시 진화학에 발을 걸치고는 있으니 별수 없나?). 그 얘기는 다시 말해서 프럼의 주장이 혁신적 측면이 많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프럼의 주장에서 의문스러운 점을 한 가지만 들자면, 적응주의가 모든
형질을 적응의 관점에서 설명하면서 오류를 범하는 것처럼
, 프럼도 모든 형질을 심미적 관점에서 설명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 프럼은 자연선택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성선택을
자연선택의 하위 개념이 아니라 동등한 진화의 한 메커니즘으로 봐야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 하지만, 그 주장을 위해서인지 자꾸 모든 것을 성선택으로 설명하려 한다는 느낌을 받는다. 또한 성선택을 영 가설(null hypothesis)로 삼아서 그것을
부정하려면
, 그 부정의 증거를 찾아야 한다고 하는데, 마찬가지로
적응주의자도 그렇게 주장할 수가 있을 것 같다
. 적응주의가 영 가설이고 그것을 부정하려면 새로운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고
. 말하자면, 적응주의를 비판하는 데 사용되는
날카롭고 둔중한 논리가 자신의 주장에서는 조금은 무디어지는 느낌이다
.

 



그러나 프럼의 주장은
굉장히 설득력이 있다
. ‘모든아름다움이 어떤 것의 증거라는
것은 과도하다는 생각을 늘 해왔었고
, 의문을 품었었다. ‘모든아름다움이 그냥 아름답다는 이유로 진화했다고는 여전히 생각할 수 없을 것 같지만, 진화에 대한 보다 날카로운 관점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이 책은 가치가 있다.
또한 그런 관점이 실제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가 있다. 부정하려고
하지만
, 어쩔 수 없이 진화학 주변을 어른거리는 우생학(eugenics)
떨쳐버리기 위해서 성선택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는 프럼의 주장은 새로우면서도 의미가 있다
. 그게 아니더라도
책 앞에 실린 스물 한 개의 아름다운 새 사진을 즐기는 것만으로 책을 읽는 즐거움은 이미 반 이상은 달성한 셈이다
.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책찾사

    작성일
    2019. 4. 29.

  2. 대표사진

    ena

    작성일
    2019. 4. 29.

    @책찾사

ena님의 최신글

  1. 작성일
    10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10시간 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11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11시간 전
  3.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5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4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24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