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a
  1. 책을 읽다

이미지

도서명 표기
무엇이 인간을 만드는가
글쓴이
제롬 케이건 저
책세상
평균
별점9.6 (43)
ena

오랫동안 인간의 발달 문제를 연구하고 생각해온 노()심리학자가 인생의 끝자락에 자신이 생각해온 인간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 쓴 이 책을 어떻게 평해야 할지 난감하다. 인간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 썼다고 했는데, 특히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시각이 현대에 들어 어떻게 변해왔는지에 대한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비판은 그대로 현대의 주류적 시각에 대한 비판으로 현대 심리학이나 교육학 등에 대한 비판은 물론, 진화론을 비롯한 생물학, 뇌과학 등에 대한 비판을 포함한다. 그렇다고 그의 비판을 단순히 반()과학이라고 치부해버릴 수 없다는 데 난감함이 있다. 이걸 난감하게 생각한다는 데 내가 생각하는 현대 과학에 대한 태도가 드러나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 나는 그래도 과학이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넓혀왔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런 인간에 대한 이해가 완벽해지지는 않을 거라 생각하고, 또 그 방향이 언제나 옳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지만 그래도 우리가 기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버팀목이 과학이 될 수 밖에 없지 않나 생각한다.

 

제롬 케이건의 견해를 반()과학이라고 할 수 없다는 데는 그가 현대 과학의 성과를 아주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 때문이기도 하다. 과학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이 밝혀내는 성과를 해석하는 데 견해를 달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해석이라는 것이 전혀 엉뚱하지 않다. 하지만 인간을 둘러싼 배경에 대한 과학적 해석에 대한 그의 시각은 불편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자신의 주() 연구 분야, 즉 아동 발달에 관한 내용에서는 확정적으로 서술하는데, 다른 데 대한 그의 견해와 결이 달라 조금 당황스럽다.

 

그런데 그런 그의 시각은 그 동안 당연하다고 받아들여온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은 어느 정도는 그만한 근거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언제나 과학은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고, 반대되는 결과나 근거가 있다면 의심하고 다시 점검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제롬 케이건의 이런 견해는 충분히 의의 있는 거라 생각해야 한다. 불편하고 당혹스럽지만, 그래도 읽는 게 그렇게 싫지만은 않다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안걸

    작성일
    2020. 7. 18.

  2. 대표사진

    ena

    작성일
    2020. 7. 18.

    @안걸

ena님의 최신글

  1. 작성일
    3시간 전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3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97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58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14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