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xmen
  1. ▶풋볼_스토리◁

이미지

'엘 클라시코'는 무엇인가


 


'엘 클라시코'(El Clásico:스페인어, 원래 '고전적 경기'라는 뜻)는 스페인 프리메라리가의 라이벌 레알 마드리드와 FC 바르셀로나의 경기를 이르는 말이다. 엘 클라시코가 세계 최고의 축구 경기로 불리는 까닭은 무엇일까. 보통 유럽 축구에서의 라이벌전 혹은 '더비매치'(Derby Match:'같은 도시나 지역을 연고로 하는 팀끼리의 경기'에서 유래되어 넓은 의미의 '라이벌간의 경기'를 가리킨다) 정치ㆍ사회ㆍ문화 등 주요 요소가 대립된 구성원들 간의 '전쟁터'로 이해된다. 하지만 엘 클라시코는 다른 라이벌전에서 느낄 수 없는 한이 있다. 그것도 오랫동안 묵혀진.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는 유럽 역사에서 가장 치열한 내전으로 기억될 스페인 내전을 통해 한 세기 동안 카스티야ㆍ카탈루냐 민중의 대표자 노릇을 했다. 그들에게는 총칼이 아니라 축구공이 쥐여졌다. 두 팀은 축구공을 통해 서로에게 패배감을 안겨줄 수 있기에 최고 팀을 만들기 위해 온갖 노력을 했다. 라이벌 감정의 불씨는 1920년부터 타올랐다. 당시 미겔 프리모 데리베라 장군은 스페인의 독재자로, 민족주의가 꽃을 피우던 카탈루냐를 탄압하기 위해 바르셀로나에 족쇄를 채웠다. 스페인 국가에 야유를 한 바르셀로나 관중의 행동을 빌미로 경기장을 3개월 동안 폐쇄했고, 창립자 감페르 회장의 사임을 요구하기도 했다. 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한 뒤에는 그 수위가 더욱 격해졌다. 바르셀로나의 수뇰 회장은 내전 중에 프란시스코 프랑코 총통의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리고 클럽의 이름과 문양도 강제로 바뀌는 수모를 겪었다.


 


내전을 일으키고 국가원수에 오른 프랑코 총통은 레알 마드리드의 열렬한 팬이었다. 하지만 그의 레알 마드리드에 대한 사랑은 1950년대 최고 선수 알프레도 디스테파노(85)의 영입에서 알 수 있듯이 도가 지나쳤다. 1953년 아르헨티나 출신 디스테파노가 남미 리그를 평정하자,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가 그의 영입에 뛰어들었다. 발 빠르게 움직인 쪽은 바르셀로나였다. 바르셀로나는 소속 클럽과 디스테파노의 영입을 합의했다. 하지만 스페인 축구연맹은 디스테파노의 바르셀로나 행을 '모호한 이유'로 허락하지 않았고, 그와 동시에 레알 마드리드가 그의 영입에 끼어들었다. 이 와중에 스페인 축구연맹은 갑작스럽게 외국인 선수 영입 제한 조항을 발효하겠다고 선언했다. 레알 마드리드가 협상의 빈틈을 노려 바르셀로나보다 더 높은 몸값을 부른 상황에서 나온 결정이었다. 바르셀로나로서는 뒤통수를 맞은 셈이었다. 결국, 이 싸움은 양 팀이 2년 동안 번갈아 디스테파노를 소유한다는 기이한 결론으로 끝났다. 이 같은 스페인 축구연맹의 결정 뒤에는 프랑코 총통의 입김이 있었다는 후문이다. 바르셀로나에게는 축구연맹의 제안이 굴욕이었다. 팬들은 분노했고 마지못해 협상을 수용한 회장은 곧 사임했다. 결국, 디스테파노를 얻은 레알 마드리드는 이후 챔피언스리그 5회 연속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세웠다. 리그와 컵대회를 합하면 이들이 거둔 우승 경력이 열다섯 번이나 된다. 레알 마드리드가 국제축구연맹(FIFA)으로부터 '20세기 최고의 팀'이라고 공인받은 이유는 디스테파노를 중심으로 한 '저승사자 군단'이 이루어놓은 챔피언스리그의 위대한 업적 덕이다. 1953∼1964년 레알 마드리드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동하며 216골(282경기)을 넣고, 두 차례 레알 마드리드 감독을 지낸 디스테파노는 현재 이 팀의 명예회장으로, 팀의 어른으로 칭송받고 있다.


 


바르셀로나에도 디스테파노에 비견될 만한 어른이 있다. '토털 축구'의 선봉장 요한 크루이프(64)이다. 크루이프도 영입 과정에서 디스테파노 못지않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스페인 축구연맹의 외국인 선수 영입 제한의 덫에 걸려서 협상 자체가 백지화될 뻔했다.


 


1982~83년 시즌 5연전, 바르셀로나가 압승


 


네덜란드 출신의 크루이프는 1960년대 부진에 빠져 있던 바르셀로나에 새로운 빛이었다. 이적 후 첫 시즌인 1973∼1974년 시즌에는 레알 마드리드를 5대0으로 대파하며 14년 만에 리그 우승을 팀에 안겨주었다. 크루이프는 선수보다 감독으로서 바르셀로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1988∼1989년 시즌 바르셀로나 감독이 된 그는 '드림팀'으로 불리는 바르셀로나 역사상 최고의 팀을 만들었다. 이때 과르디올라 현 바르셀로나 감독을 필두로 호마리우ㆍ하지ㆍ스토이치코프ㆍ쾨만 등 당대의 재능이 뭉쳤다. 크루이프가 해낸 가장 큰 쾌거는 1991~92년 시즌 웸블리에서 일군 챔피언스리그 첫 우승이었고, 이 밖에도 우승 트로피 8개를 손에 넣었다. 프랑코 총통 사후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스페인에서 지역 갈등은 어느 정도 봉합되었다.



원래 한 시즌에 두 팀이 다섯 번 맞붙은 기록은 1982∼1983시즌 때뿐이었다. 당시 바르셀로나는 마라도나의 활약으로 리그 2경기, 리그컵 결승 2경기, FA컵 결승에서 4승1무를 기록했다. 하지만 21세기의 엘 클라시코는 그때보다 무게감이 더하다. 오늘날의 챔피언스리그는 대회 권위나 팀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면에서 30여 년 전 리그컵과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2011년의 두 번째 엘 클라시코가 1대1 무승부로 끝난 날 크루이프는 "레알 마드리드는 수비만 하지, 좋은 축구를 하지 못하고 있다"라며 독설을 내뱉었다. 그는 친정 팀 바르셀로나의 철학은 위대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항상 말해왔다. 크루이프가 바르셀로나 축구에 대단한 자부심을 가진 것은 자신이 현재의 바르셀로나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크루이프는 바르셀로나 감독 취임 후 유소년 선수 육성에 온 힘을 쏟았는데, 그의 노력은 2000년대 이후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메시ㆍ푸욜ㆍ사비ㆍ이니에스타 등, 현재 세계 최고 선수로 불리는 바르셀로나의 에이스들이 한 세대에 별처럼 떠올랐다. 크루이프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났지만, 바르셀로나에 대한 열정은 토종 카탈루냐인 이상이다. 그는 바르셀로나 입단 이후에는 돈 때문에 레알 마드리드에 가지 않았다며 아들 이름을 카탈루냐식으로 지었다. 그리고 2009년 이후에는 카탈루냐 대표팀을 맡아 13년 만에 감독 생활을 재개했다.


 


한편 1950년대 5회 챔피언스리그 연속 우승을 이끈 레알마드리드의 전설 디스테파노의 엘 클라시코에 대한 생각은 어떨까? 놀랍게도 그의 반응은 크루이프와 그리 다르지 않다. 디스테파노는 "바르셀로나 축구는 아름답고, 모든 사람이 보는 것만으로 기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레알 마드리드는 개성이 없다"라고 말했다. 앞서 말했듯이 디스테파노는 레알 마드리드의 살아 있는 전설이다. 유소년 구장도 그의 이름을 본떠서 만들었을 정도로 팀에서 그에 대한 존경심은 여전하다.
 


2010~11년 시즌 5연전, 바르셀로나가 2승2무1패로 우세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는 공교롭게도 2010~11년 시즌에도 5번의 엘 클라시코 '풍년'豊年 을 이루게 되었다. 이 중 네 번이 4월17일∼5월4일에 집중되어 있어서 축구 팬들을 열광케 하였는데, 4월 21일 코파델레이(스페인 국왕컵,Copa del Rey)는 연장전까지 120분의 혈투를 벌인 바 있었고 4월 28일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4강전 1차전 경기에서는 주심의 레알마드리드 수비수 '케플러 페페'의 퇴장 판정으로  양팀 선수들이 충돌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심판 판정에 수긍하지않고 항의하던 무리뉴감독마저 레드카드를 받았고 이후 UEFA경기 3경기 출장 정지라는 중징계가 내려지면서 경기외적으로도 승부의 '정당성'에 대하여 많은 논란을 낳았다. 첫번째 엘 클라시코였던 2010년 11월 리그 경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가 바르셀로나에 0대5로 완패했다.  4월17일 리그 경기에서는 두 팀이 1대1 무승부를 기록했고, 4월21일 열린 코파 델레이 결승전에서는 호날두의 결승골로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을 차지했다. 4월28일 챔피언스리그 4강전 1차전 경기에서는 주심의 '레드카드'라는 악재속에 후반전 메시의 '멀티골'로 바르셀로나가 2대0으로 이겼다. 마지막 엘 클라시코였던 5월4일 4강전 2차전에서 비가 오는 가운데 바르셀로나와 레알마드리드는 1대1로 비기면서 1,2차전총합점수 3대1로 바르셀로나가 챔피언스리그 결승행을 확정지은 바 있다. 4강전 1차전에 이어 2차전에서도 패배한 레알 마드리드 선수들은 심판 판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었고, 레알 마드리드 공격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는 경기가 끝나고 '마르카'와의 인터뷰에서 "다음 시즌엔 곧바로 바르셀로나에 우승컵을 주는 게 낫다."면서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2010~11년 시즌 엘 클라시코에서 경합중인 메시(왼쪽)와 호날두(오른쪽)


 마지막 두번의 엘 클라시코의 승리로 2008~09년에 이어 2년만에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오른 바르셀로나는 역시 2년만에 4강전에서 독일 분데스리가의 '샬케04'를 이기고 결승에 오른 잉글랜드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5월 29일 런던의 웸블리에서 맞이하였다. 바르셀로나는 2008~09년 시즌의 승리에 이어 다시 맨유를 제압하였는데 리오넬 메시ㆍ다비드 비야ㆍ 페드로 로드리게즈의  MVP라인(Messi,Villa,Pedro)의 연속골로 3-1의 스코어였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미드필더로서 대한민국의 박지성은 한국인 최초로 2회에 걸쳐 유럽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출전하였으나 팀의 패배는 막지 못하였다. 챔피언스리그 우승으로 바르셀로나 역사상 통산 4번의 챔피언스리그  챔피언의 영광을 누리는 동시에 2008~09년 시즌부터 2010~11년 시즌까지 스페인 리그 즉 프리메라리가 3연패의 위업을 달성했다. 2011년 5월 29일 경기가 끝나고 바르셀로나 공격수 리오넬 메시는 '유로파 프레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엄청난 행보를 걷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거둔 성공에 아직까지 만족하지 않는다."라고 감회를 밝히기도 하였다.



 
2011~12년 시즌 엘 클라시코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는 2010~11년 시즌의 성공, 즉 '더블'(double, 리그와 챔피언스리그 2번의 우승)과 코파델레이(스페인국왕컵) 우승을 앞세워 새로운 시즌을 맞이하여 새로운 목표를 향해 순항하고 있다.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는 '세스크 파브레가스'와 '알렉시스 산체스'의 공격수 보강, 리오넬 메시의 득점왕(Pichichi,스페인어) 행진(바르셀로나)과 카카의 부활, 곤살로 이과인ㆍ카림 벤제마의 득점포가동,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득점왕 추격(레알 마드리드)으로 2011~12년 시즌의 맞대결을 이미 충분히 '예열'시켜놓고 있다.


 


12월 7일까지의 성적표로는 2011~12년 시즌에 레알 마드리드는 리그 14라운드 현재 12승 1무 1패로 1위를 질주하고 있고,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D조 5승으로 조1위로 토너먼트진출을 예약했다. 현재까지 리그와 유럽대항전 합해 모든 경기에서 14연승을 기록할 정도의 가공할 전력으로 바르셀로나까지 전율케 하고 있다. 2011~12년 시즌 바르셀로나는 (FIFA클럽월드컵 경기 때문에 리그경기 한경기를 미리 치룬) 리그15라운드 일정日程으로 성적은 10승 4무 1패로 2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H조에서 5승 1무로 이탈리아 세리에A리그의 AC밀란을 누르고 1위로 16강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2011~12년 시즌은 레알 마드리드는 2007~08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빼앗겨온 리그우승을 되찾을 절호의 기회로 생각하고 있으며 챔피언스리그 우승 9회에 추가하여 'V10'(10회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쌓을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다. 바르셀로나는 2008~09년 시즌 이후 무려 3연속 리그우승을 이어서 2011~12년 시즌에도 4회연속 우승, ‘4연패‘四連覇의 역사를 새로이 쓰고자 하며, 1991~92년 시즌 챔피언스리그 초대우승 이후 4회 우승에 더하여 2010년대 첫우승을 노리면서 ’V5'(5회 우승)의 금자탑을 쌓을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다시 말해 이탈리아 세리에A리그의 'AC밀란'이 보유한 ‘V7'이나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리버풀fc'가 보유한 ’V5'를 따라잡고 새로운 ‘명문클럽’으로 도약할 절체절명의 기회로 보고 있는 것이다.



↑ 2011~12년 챔피언스리그 H조 바테보리소프('벨로루시')와의 경기에서 활약한 바르셀로나 유스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클럽의 감독을 맡고 있는 아르센 벵거(아스날fc)나 로베르토 만치니(맨체스터시티fc)가 챔피언스리그의 우승후보로서 '빅2'(Big 2)를 주저없이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로 꼽고 있는 만큼 축구계인사들과 전문가의 평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따라서 이번 리그 15라운드로서 마드리드에서 벌어질 '엘 클라시코'는 유럽축구클럽간 챔피언결정전의 '전초전' 성격으로  경기결과는 2011~12년 시즌의 축구계 랭킹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2010~11년 시즌의 5연전 처럼 2011~12년 시즌에도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는 감독을 연임하고 있는 무리뉴와 과르디올라의 '지략'(智略) 대결 또는 부동의 에이스로서 팀을 이끌고 있는 필드플레이어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리오넬 메시의 '득점포' 대결의 재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단순히 '더비 매치'(derby match)뿐 아니라 현대 축구의 화제를 낳는 스타선수들의 각축장, 즉 '별들의 전쟁'(Star Wars)으로 비유되는 '엘 클라시코'가 실현되는 12월 11일은 말 그대로 하늘을 수놓는 아름다운 밤이 될 것이다.



 ↑ 스페인 출신의 과르디올라(왼쪽,바르셀로나)와 포르투갈 출신의 무리뉴(오른쪽,레알)의 지략대결?


이미 2011~12년 시즌 개막 전인 2011년 8월에 레알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는 전년도 코파델레이 우승팀과  리그우승팀의 자격으로 맞붙는 '수페르코파'(Supercopa de España,스페인어표현,영어식으로 '슈퍼컵'super cup으로 해석된다)두 번의 경기에서 2-2,2-3의 스코어를 기록해 1,2차전총합점수 4-5로 바르셀로나가 1승 1무의 우위를 나타낸 바 있다. 과연 2011년 12월 11일 열리는 엘 클라시코에서 레알 마드리드는 수페르코파의 패배를 어떻게 설욕하고 리그와 챔피언스리그의 목표를 향한 순항을 계속하게 될런지 아니면 바르셀로나가 몇년간의 우세를 계속 연장하고 리그와 챔피언스리그의 '타이틀'을 어떻게 '수성'守城할 것인지 벌써부터 축구팬들의 마음을 설레게 한다.


 


 


출처::2011.04.28.(목)이남훈 칼럼기사+인터넷기사+작성자개인의견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paxmen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8.6.1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8.6.13
  2. 작성일
    2018.6.1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8.6.13
  3. 작성일
    2018.6.1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8.6.13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9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45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146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