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lf-Study/ 영어자료

Miracle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8.4.23
Bless you! & Gesundheit!
영화 'Sleepless in Seattle'의 초반부에서 에니가 월터를 집으로 초대했는데 알러지가
심한 월터는 식탁앞의 꽃때문에 재채기하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이때 주변 사람들 너나
없이 하는 말 'Bless you!' 이 말은 옛날 유럽, 페스트가 심했던 때 그 증상 중의 하나가
재채기여서 사람들은 재치기하는 사람만 보면 저 사람도 곧 죽겠구나. 신의 가호가 있길!
했답니다. 혹은 옛날 서양사람들은 재채기할때 영혼이 빠져나간다고 믿어서 역시 이런
말을 했답니다.
Gesundheit! 란 말도 있는데 이건 독일어에서 유래했으며 똑같은 상황에서
쓸수 있습니다. 영화 'Sound of music' 중에 천둥, 번개가 무서워 아이들이
모두 선생님한테 모였는데 이때 서로 가장 좋아하는 것에 대해 노래를 부릅
니다. 그러다가 한 아이가 재채기흉내를 내니까 마리아선생님이
'Gesundheit!' 하고 답례해 주지요.
Screw up (망치다, 실수하다)
'일을 망치다, 엉망으로 만들다' 는 표현으로 screw up 이 영화에 잘 등장합니다.
영화 'Scent of a Woman (여인의 향기)'에서 추수감사절 아르바이트를
위해 주인공 챨리가 퇴역장교 슬레이드의 집엘 방문했는데 워낙 입이 거친 슬레이드의
언동에 기가 죽은 챨리가 로시부인에게 이렇게 대답하지요.
'Mrs. Rossi, I got the feeling I screwed up.' '로시부인, 아무래도 망친기분이에요.'
이번엔 영화 'My best friend's wedding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을 살펴 보겠습니다.
약혼녀 키미가 마이클에게 자기 아버지밑에서 일해 주었으면 하고 말하자 마이클이
불끈 화를 내면서 말합니다. 'Please forgive me for screwing up your plans.'
'네 계획을 망치게 해서 정말 미안하게 됐군.'
마지막으로 영화 'Leon (레옹)' 의 첫장면에서 마틸다의 아버지가 마약 거래에 대해
걱정하며 하는 얘기, 'I think I screwed up' '내가 또 실수한 것 같아'
비슷한 표현으로는 'mess up' 'make a mistake' 등이 있습니다.
take the chance
이 말은 '모험을 하다', '되건 안되건 간에 한 번 해 보다' 란 뜻으로 영화에 자주
등장합니다. 두 소년의 감동적인 우정을 그린 영화 '굿바이 마이 프렌드 (The Cure)'
에서 에이즈에 걸린 덱스터의 집에 친구 에릭이 초대를 받았는데 마침 맛있는 케익을
덱스터가 먹다 남기자 에릭이 그걸 먹으려고 군침을 흘립니다. 이때 덱스터의 어머니가
하는 말 'When it comes to other people’s children, We decided, um, not to
take
any chances. '우린 다른 집 애들한테는 위험이 따를 만한 일은 안하기로 했단다.
(혹시 에이즈에 감염될 수도 있기에)'
이번엔 이국적인 장면이 물씬 풍기는 영화 '구름속의 산책 (Walking in the Clouds)'에서
찾아 봅시다. 뜻밖에도 한 여자 (빅토리아)의 남편연기를 하게 된 폴은 결국 그녀의 집에
하룻밤 묵기로 하는데 잠자리를 따로 하다가 무심코 안부를 물으러 온 그녀의 아버지에게
그 사실을 들킬뻔 합니다. 혼쭐이 난 폴 'Does the door have a lock?'
'문에 빗장 있나요? ' Better not take the chance.'
'모험은 하지 않는게 좋겠어요.' 하고는 같은 침대에서 잠을 청하게 되지요.
혼전에 혼전을 거듭하는 영화 '유주얼 서스펙스 (Usual Suspect)' 에서 버벌은 경찰의
보호와 보석 석방 중 석방을 택하면서 이렇게 말하지요. 'I'll take my chances.'
'모험을 해 보겠어, 운명에 맡기겠어.'
또 한가지 영화 '레옹 (Leon)' 의 마지막 장면입니다. 레옹이 죽은후 유언대로 그의
친구이자 재산 관리인인 토미는 마틸다에게 돈을 주는데 조금 밖에 주지 않으면서
이렇게 얘기합니다. 'I want you to take a chance and trust me.'
'운명에 맡기고 날 믿었으면 한다.'
이제 마지막으로 리차드 막스의 명곡 'Right here waiting' 의 가사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But in the end if I'm with you I'll take the chance.' '그러나 끝까지 당신과
있을 수 있다면 나는 한 번 해보겠어요.' 이제 감이 좀 잡히시지요?
give a shit or damn (1)
damn이나 shit을 쓰는 것으로 보아 속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영화에서
최소한 1회 이상은 등장하는 단골손님이기에 영화의 hearing을 위해서 기억해 놓으시면
유용하리라 생각됩니다. 뜻은 '상관하다, 신경쓰다' 인데 주로 don't give a shit or damn
about ~ 의 형태로 잘 쓰입니다.
먼저 위의 명대사 코너에 소개된 영화 'Gone with the wind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보시지요. 'Frankly, my dear, I don't give a damn.' '솔직히 말해 난 신경쓰지 않소.'
이 대사는 제작 당시 'damn'이라는 불경한 말 때문에 5천달러라는 거액의 벌금을 물면서
까지 사용한 문구로 유명합니다.
이후로 자주 영화에서 사용되었는데, 수학천재 소년과 그를 변화시키는 숀교수와의
감동적인 스토리를 그린 영화 'Good Will Hunting'을 봅시다. 윌은 숀교수의 그림을 보고
그의 아내를 모욕하는 등 버릇없이 행동하는데 그 다음 만남에서 숀교수는 이런 말을
하죠. 'Personally, I don't give a shit about all that.''난 그런거 상관하지 않는다.'
'I can't learn anything from you I can't read in some fucking book unless you
wanna talk about you, who you are.' '네가 네 자신에 대해, 네가 누구인지 얘기하려
하지 않는다면 널 알 수 없고, 어떤 거지같은 책에서도 읽을 수 없기 때문이야.'
이번엔 우피골드버그가 열연한 영화 'Sister act'를 보겠습니다. 영화초반, 정신없이
메들리를 하는데 반응이 시원치 않자 들로리스가 이렇게 외치지요.
'You don't give a shit' '관심 좀 보여봐요.' 또 얼마후에 남자친구와 다툰후 방에
들어왔는데 남자측에서 선물 상자를 가져오자 'I don't give a damn what's in that
box.' 'I don't care' ' 상자에 뭐가 들었는지 신경도 안써.' '관심 없다구.' 라고 하지요.
다음주에 계속 이어집니다.
give a shit or damn (II)
이번엔 잭 니콜슨과 헬렌 헌트의 명연기가 돋보이는 영화 'As good as it gets'에서
찾아볼까요. 영화 초반 강아지를 싫어하는 유달씨는 사이먼의 강아지 버델을 쓰레기장
관속으로 밀어버리고는 시치미떼며 오히려 큰 소리 칩니다.
'I don't give a rat crap what or where you shove your show.'
'당신이 어디에서 무슨 쇼를 하든 난 쥐뿔도 관심 없다구'
마지막으로 실제 인물을 모델로 제작한 영화 'Patch Adams'를 보겠습니다.
스스로 정신병원에 입원한 패치는 스스로 깨달은 바가 있어 병원을 떠나려 하는데
담당 의사가 허락없이 퇴원할 수 없다고 하자 이렇게 대꾸하지요.
'And my report will read "IDGRA" "I don't give a rat's ass. And my name is
Patch" '그러면 내 보고서에는 'IDGARA'로 기록될 거요. 난 쥐꼬리 만큼도 개의치
않을 거란 뜻이지요. 그리고 내 이름은 이제부터 패치 올시다.
자 이제 실제 영화를 보며 이 표현이 얼마나 자주 나오나 확인해 보세요.
'진정해' 의 여러가지 표현
영화 'Titanic'의 초반 탐사 장면에서 루이스가 탐사정을 조종하는데 옆에 있던 브록이
뭔가 냄세를 맡고 흥분하자 이렇게 대꾸하지요. 'We're good, we're good. Just chill,
boss.' '좋아, 좋아요. 진정해요, 대장.' 여기서 chill은 긴장을 풀어라 는 뜻인데
'chill out' 으로도 많이 쓰입니다.
영화 'Terminator2'에서 이 숙어를 친절하게 설명해 주는 대목이 있는데요,
터미네이터가 'Affirmative' 같은 군사 용어를 자꾸 사용하자, 일상용어들을
알려주는데 'Or if someone gets upset you say "chill out''
'혹 누군가가 매우 화가 나 있을땐 진정해 라고 말해요.'
'Calm down' 'Take it easy' 는 모르는 분들이 없으실 겁니다. 정말 단골손님들이구요.
'Get a grip on oneself' 란 말이 있습니다. 영화 'Leon'에서 마틸다가 한 불량 소년에게
한 눈을 팔자 레옹이 화를 내며 충고하지요. 이때 마틸다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Get a grip!' 이게 무슨 말일까요? 단단히 잡으란 말이니까 역시 '흥분하지 마세요' 란
뜻이 되는 겁니다.
또 'Pull oneself together' 란 말이 있습니다. '네 자신을 당겨 놓아라.' 이 또한
'자기 통제를 유지하라, 진정해라'의 뜻이구요, 영화 ' My Best Friend 's Wedding'에서
자기 남자 친구 마이클의 결혼 소식에 흥분하여 전화를 거는 줄리안에게 그녀의 친구인
조지가 이 말을 하지요. 'Pull yourself together.'
한편 '결혼해서 가정을 이루어 정착하다'라는 뜻의 'settle down'도 '진정해' '흥분을
가라앉혀'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답니다. 'You've got to settle down.' '좀 진정해'
그 밖에도요 'Cool down' 'Relax' 'Take a pill' 등의 다양한 표현이 있습니다.
위의 단골 손님들은 앞으로 영화에서 절대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Keep an eye on
Keep an eye on ~ 는 ~를 감시하다, 잠깐 돌봐주다 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번에도 먼저 영화 'Titanic'을 살펴보겠습니다. 잭은 칼과 러브조이의 묘략에 빠져
타이타닉이 침몰하는 가운데 수갑을 차고 방에 가둬지게 됩니다. 이때 칼의 하수인
러브조이가 의미심장한 한마디를 하죠. 마치 당한 빚을 갚겠다는 듯이.
'Go on, I'll keep an eye on him.' '가봐요, 내가 저 놈을 감시하죠.'
이번엔 맥라이언과 톰행크스 주연의 'Sleepless in Seattle'에서 찾아봅니다.
샘의 아들 조나는 여자친구 제시카의 집에서 뉴욕으로 갈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입니다.
이때 제시카의 엄마가 집을 나가면서 'Keep an eye on things up until I get back?'
'엄마가 나갔다 돌아올 때까지 물건들 잘 지키고 있을래?' 라고 당부하지요.
피아노에서 열연한 안나파킨이 출연한 영화 'Jane Air (제인에어)'에서도 등장합니다.
이유없이 제인을 미워하는 고모는 아주 엄격한 로우드 학교에 입학시키기 위해
교장선생님을 집에 초대하는데, 다짜고짜 제인을 이렇게 소개합니다.
'You must warn her teachers to keep a strict eye on her'
'선생님들에게 엄하게 다스리도록 지시 하세요' 'take one’s eyes off' 란 말은
'~의 눈을 떼다, 경계를 소홀히 하다.' 인데 don't를 써서 역시 감시하다 란 뜻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영화 'Leon'에서 마틸다가 레옹에게 사격지도를 받는 장면입니다.
레옹이 말하길,' Don't take our eyes off him.' '그에게서 눈을 떼지마, 잘 감시해.'
이들의 쓰임새를 잘 알아두세요.
Get out of here! 의 두가지 뜻
Get out of here! 처럼 영화에서 자주 나오는 말도 드뭅니다.
하지만 그 뜻을 정확히 파악하시는 분은 많이 계실까요?
만약 상대방이 화를 내며 Get out of here! 라고 했다면 그때는 '여기서 당장 나가!'
'썩 나가버려!' 란 뜻이 되겠지요. 자, 그럼 실제 영화를 보며 살펴보겠습니다.
맥라이언과 빌리 크리스탈의 재치있고 순발력있는 언변력이 돋보이는 영화
'When Harry met Sally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에서 해리와 샐리가 남녀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는데 샐리가 여자들은 잠자리에서 남자들을 속일 수
있다고 합니다. 'Most women at one time or another have faked it.' 이 때 해리가
어이없어 하며 'Get outta here!' 라고 하죠. 이 말이 '썩 나가버려!'란 뜻일까요?
여기서 영화속 해리의 표정을 보십시오. 화가 나 있는 게 아니고 못 믿겠다는 표정을
짓고 있네요. 이 때는 '농담하지 마세요!' '내가 그 말을 믿을 것 같아요?' 란 뜻입니다.
Don't pull my leg! 와 비슷하게 관용표현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자 그럼 계속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둘은 그들의 친구인 제스와 마리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그들의 집을 방문하는데요, 마리가 레스토랑, 극장과 60, 80년대와의
관계에 대해 얘기했는데, 해리가 잡지에 자기가 쓴 글이었다고 주장합니다.
이때 마리가 역시 'Get out of here!'라고 하지요. 초대해 놓고선 기껏해야 웃고 넘어갈
허풍을 떤 해리에게 '당장 나가요!'라고 했을 까요? 여기서도 역시 '농담하지 마세요.'의
뜻이겠죠.
마지막으로 영화 'Sister Act'를 보겠습니다. 도망자의 신세가 된 들로리스는 수녀원에
들어가 수녀로서의 생활을 시작하게 되는데, 감옥같은 방에서 한탄하다가 밤잠을
못이룹니다. 새벽 5시. 동료 수녀님들이 들로리스를 깨웁니다.
'Up and et'em!' 'We don't want to be late. It's five a.m.'
이 때 들로리스, 어이없어 하면서 내던지는말,
'Get outta here, I just went to bed twenty minutes ago.'
'웃기지 말아요, 난 20분전에 잠들었단 말이에요.'
위와 같이 상황을 보고 'get out of here' 의 의미를 추측하는 연습을 열심히
하시기 바랍니다.
Wrap something up
AFKN등의 방송을 보면 프로그램이 끝날 즈음 'wrap it up'이란 말을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널려진 짐꾸러미를 다시 싸고 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면 이 말의 뜻을 미루어
짐작하실 수 있어요. 'Wrap it up'은 'conclude' 또는 'finish' 즉 '끝내다, 그만하다' 라는
뜻의 구어체 표현입니다.
먼저 맥라이언, 톰 행크스 콤비의 영화 'Sleepless in Seattle'에서 찾아보겠습니다.
몰래 방송국에 전화를 한 조나덕에 방송 출연을 하게 된 시애틀의 잠못 드는 사람,
샘은 간신히 전화인터뷰를 마칩니다. 마지막으로 정신과 상담의가 방송의 끝을 알리는
말을 하지요. 'Well, it's time to wrap it up.' '자 이제 끝낼 시간이군요.'
영화 'Sister act'의 초반부에서도 나옵니다. 나이트클럽에서 들로리스를 비롯한 3인조
가수가 노래하는 도중 그 중 한 여자가 들로리스와 또 다른 동료가수에게
'All right, wrap this up, okay? Wrap it up.' '좋아, 이제 그만 하자, 끝내자구.'
마지막으로 에니메이션 영화 'Antz (개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개미 Z가 뜻밖에
전쟁 영웅으로 환대받고 모든 일개미들의 정신적 우상이 되려고 하자, 맨디블 장군은
그의 심복 커터와 음모를 짜기 시작합니다. 개미군중들 앞에서 연설하기 전 맨디블은
커터에게 질문을 합니다. 'Can I depend on you or not?'
'자네를 믿어도 되겠는가?' 'Yes, sir!' 그 때 흡족한 맨디블이 하는 말,
'All right, then, let's wrap this up.' '좋아, 그럼, 얘기 끝내도록 하지.'
Beck and call
쥴리 앤드류스 주연의 감동적인 멜로디, 영화 'Sound of Music' 의 첫장면입니다.
마리아는 산속에서 노래를 부르다가 그만 수녀원의 저녁 기도시간을 지키지 못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원장 수녀님에게 불려가고,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을 해명하는데
그 중 이런 대사가 있습니다. 'Oh, Reverend Mother, I'm sorry. I just couldn't help
myself. The gates were open and the hills were beckoning and before I...'
여기에서 the hills were beckoning..은 언덕이 오라고 손짓을 했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beck은 손짓으로 부르는 행위, call은 소리내어 부르는 행위를 의미하구요,
'beck and call'은 누가 손짓을 하건, 소리내어 부르건 그 명령에 따른 준비가
되어 있다는 뜻이 되는 겁니다.
현대판 신데렐라, 영화 'Pretty Woman' 에서 에드 워드는 비비안에게 이런 제안을
하지요. 'Would you consider spending the week with me?
I'll pay you to be at my beck and call.' '내가 시키는 데로만 하면 그 댓가를
지불하겠소.' 그러자 비비안이 하는 말, 'Look, I'd love to be your beck and call girl,
but you're a rich, good-looking guy...' '이봐요, 당신이 시키는 대로 행동하는 것도
좋지만, 당신은 부자에다 잘 생긴 남자에요...'
이와 같이 at someone's beck and call의 형태로 잘 쓰이니 꼭 기억해 두시고요,
끝으로 우리 영화의 자존심, '쉬리'의 주제가를 혹시 아시나요?
Carrol kid의 'When I dream' 중에도 이 단골손님이 등장한다는 것,
'I could fly to Paris. It's at my beck and call~'
'난 파리의 하늘까지 날아갈 수도 있어요. 그건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지요.~~'
Bingo
이번 주 단골손님은 잘 쓰이면서 아주 재미있는 감탄사 하나 소개할까 합니다.
Bingo라는 단어인데, bingo라는 게임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 게임은 20세기 들어
생긴 것이라고 합니다. 번호를 부르면 빙고판에 불려진 숫자를 표시하고 표시된 것이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줄을 이루면 'Bingo!' 라고 외치고 이기는 게임입니다.
이 말이 현재에는 '성공이다, 이겼다, 찾았다, 해냈다!'란 뜻으로 일상회화에서 자주
사용된답니다.
먼저 키아누리브스 주연의 영화 'Matrix' 에서 찾아보겠습니다. 모피어스는 네오를
예언가 오라클에게 데려다 주며 그녀가 도움을 줄 거라고 얘기합니다.
네오와 오라클의 첫만남, 하지만 오라클은 보기에도 수수한 동네 아줌마 모습입니다.
전자렌지에서 음식이 다 되었다는 종이 울리자, 'Bingo!' ' I got to say I love seeing
you non-believers.' 여기서는 '됐다!' '그렇지!'정도의 의미겠지요?
이번에는 'As good as it gets'에서 유달씨를 문전박대한 후 캐롤이 병에 걸린 아들
스펜서의 체온을 재는 장면인데요, 하나, 둘, 셋을 외치고 체온계를 빼내며,
'Bingo!' 라고 외치지요. 여기서는 '좋아!' '됐다!' 정도의 의미가 되겠지요.
이혼녀, 이혼남의 하루 사이의 에피소드를 그린 영화 'One fine day'에서도 등장합니다.
시장의 부정을 고발하는 기사를 내고 졸지에 회사를 ?겨나게 될 상황에 처한 신문사
기자 잭은 시장이 뇌물을 받았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그 사실을 국장에게 전하는데,
국장이 안도의 한 숨을 쉬며 외치는 한마디, 'Bingo!' '옳거니, 좋았어, 해냈군!'
마지막으로 귀여운 에니메이션 영화 'Bug's life'를 보면 골칫덩이 플릭이 전사벌레라고
착각하고 서커스단 벌레들을 개미왕국으로 데려오는데 공주 Atta는 'We don't fight
grasshoppers.' 이때 옆에 있던 일개미들 하는 말, 'We don't, but they will' 'Bingo!'
'저들은 싸울 수 있다고.' '됐다, 좋았어, 이겼어!'
Ring a bell
상대방 말을 듣다가 무슨 생각이 떠올랐을 때, 머리 속에서 종이 울리는 것 같지 않나요?
그러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재밌는 말이 바로 'ring a bell' 입니다.
우리 말로는 '그러니까 생각이 난다.' 정도의 뜻이 되며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
영화속에서 찾아볼까요?
먼저 휴그랜트, 쥴리아 로버츠 주연의 영화 'Notting Hill'의 첫장면에서 윌리엄은
뜻밖에 자신의 서점에서 대스타 애너를 만나게 되고 뜻밖에 키스까지 나누고 말았습니다.
그 후 호텔에 연락해 애너를 찾는데 그녀의 가명을 몰라 애태우고 있는데 친구가
'Try Flinstone.'이라고 하자, 윌리엄이 하는 말, 'I don't suppose Flinstone rings any
bells, dose it?' '플린스톤이란 이름은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 그렇죠?'
다음은 끈질기게 죽지않는 영화 'Die Hard 3' 에 브루스가 경찰과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입니다. 'The name Gruber mean anything to you, Lieutenant? '
'It rings a bell, yeah. ' '그러고 보니 어렴풋이 기억이 나는 군.'
'That thing in the building in L.A. ' 'L.A 빌딩 폭파 당시 말이야.'
마지막으로 영화 'Sister Act' 에서 성가대 지휘를 맡은 들로리스는 단번에 유명세를
타게 되며 급기야 는 TV에 출연하게 됩니다. 이를 본 서더 반장이 기겁하며 하는 말,
'You supposed to be hiding out, remember? Bullets flying through the air at
you. 'Ring a bell?''당신은 숨기로 돼 있잖아? 잊었소? 총알이 당신을 노리고 있다구.
기억해요?'
이와 같이 뭔가가 기억을 되살려준다는 의미로 쓰이며, 되살려 주는 원인이 주어가
되어 사용된다는 것 꼭 기억하세요.
Count의 여러가지 쓰임새
Count를 단순히 '셈하다' '계산하다' 정도로만 알고 계시다면 지금부터 영화속에서
이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우선 영화 'Sleepless in Seattle'입니다. 아들덕에 얼떨결에 라디오 방송국에
출연한 샘은 정신과 의사가 ' We hope you call again soon and let us know how it's
going.' '다시 전화해주셔서 어떻게 지내시는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라고 하자
'Oh, you can count on it.' '아,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여기서는 on과 함께 사용되어
'기대하다, 의지하다' 란 뜻이 되지요.
이번엔 여전사 시고니위버 주연의 'Ailen1'입니다. 전멸할 위기에 놓인 탐사대원들,
에이리언들이 우글거리는 기지속을 탈출하는 최후의 방법으로 누군가가 송전탑으로
가 우주선을 불러와야 합니다. 리플리가 'Well, somebody's gonna have to go out
there.' 하자 대원 중 하나가 'Oh, yeah, sure! With those things running around?
You can count me out!' '오, 그래, 좋군. 괴물들이 돌아다니는데? 난 빼줘!' 여기서
count me out은 'Don't include me in your plan' 즉 '그 계획에 날 끼우지 마세요.'
'난 빠질래요.' 가 됩니다.
이번엔 영화 'Titanic'입니다. 바다에 빠질뻔한 로즈를 가까스로 구해준 잭에게 로즈의
약혼자 칼은 고맙다는 표시로 단돈 20달러를 쥐어주려 합니다. 로즈가 그러한 칼의
째째한 행동에 실망을 표시하자 칼은 'What to do? I know. Perhaps you could join us
for dinner tomorrow evening.' 이때 잭이 받아치는 말, 'Sure, count me in.'
'좋죠, 저도 끼워 주십시오.' 여기서는 count ~ out과 반대의 뜻이 되겠지요?
Count의 여러가지 쓰임새 (II)
이번에도 영화 'Titanic'으로 이어갈까 합니다. 로즈를 구해준 대가로 잭은 1등칸의
저녁식사에 초대를 받습니다. 자칫 주눅이 들만도 한데 잭은 당당하기만 합니다.
자리를 뜨기 전에 하는말, 'I figure life is a gift and I don't intend on wasting it.'
이어 건배하며 외치는 말, 'To make each day count!' 그러자 만족스러운 표정의
로즈도 역시 'To make it count.' Count를 셈하다 라고만 알고 계시다면 '매일매일을
세기 위하여!' 라는 엉뚱한 해석이 되지요. 이 말은 '매일매일을 소중하게 여깁시다.'란
뜻이며, 이 때 count 는 '중요하다, 가치가 있다'란 뜻을 갖습니다.
이제 메디칼 드라마 'Patch Adams'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부벌레이면서 얼음장같이 차갑기만 한 캐린은 엉뚱한 행동만 하는 패치의 놀라운
성적을 보며 이렇게 말합니다. 'You know this completely disrupts my point of
view.' '당신 성적이 내 생각을 완전히 뒤흔들어 놓는군요.' 이 때 패치는 자기가
스터디그룹에서 성적땜에 왕따당하는게 싫었나 봅니다. 'Don't count me out.'
'그래도 그룹에서 날 아직빼지는 말아요.'
이렇듯 다양한 count의 쓰임새를 꼭 기억해 두세요.
make it up to
make it up to someone은 누구에게 화해 또는 사과하는 의미로 어떤 행동을 한다는
뜻인데, 영화에서 무척 자주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애인과의 데이트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면 'How can I make it up to you?' '제가 어떻게 사과할 수 있을까요?'
실제 영화를 보며 살펴 볼까요?
영화 'As good as it gets' 의 초반 장면입니다. 유달은 사이먼의 사랑스런 강아지 버델을
쓰레기 장으로 밀어버렸으나 결국 들통이 나게 되지요. 하지만 오히려 적반하장격으로
화를 내는 유달에게 사이먼의 매니져인 프랭크가 한마디 하지요.' I like him enough to
batter you unrecognizable if you verbally abuse him or so much as touch that dog
again. ' '다시 한번 더 그런짓하면 정신을 못차릴 정도로 패주겠어요. 난 사이먼을
좋아한다구요.' 'I'm gonna think of some way that you can make it up to him
someday.' '언젠가 보상해야 할 거예요, 아저씨.'
영화 중반부에 유달의 소설속에서도 나옵니다. "You saved my life." she said.
"You better make it up to me." '당신은 내 생명의 은인이에요. 그녀가 말했다.
내게 보답하는게 좋겠소.'
이번에는 영화 'One fine day'입니다. 멜라니는 잭의 어설픈 행동덕에 소풍가는 배를
놓쳐버립니다. 매사에 자신만만했던 잭, 하지만 잘못은 인정하는군요.
'Melanie. I feel awful about this, and we'll make it up to you.'
'멜라니, 정말 안타깝군요. 어떻게 해서든 이 일은 제가 보상하지요.'
Piss off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속어표현입니다. 귀로만 듣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겠지요.
'piss'는 '쉬하다' 란 뜻이고요, 'piss off' 는 2차세계대전 당시 생겨난 표현으로 주로
'열받다''짜증나다' 란 뜻으로 쓰입니다.
영화 'As good as it gets'에서 독설가 유달씨가 이 표현을 두번 사용하지요.
한창 작품의 착상이 떠올라 신나게 글을 쓰고 있는데 사이먼의 친구 프랭크가 문을
두드려 훼방을 놓습니다. 이에 흥분하는 유달씨, 'I'm pissed off. I'm really pissed
off!''나 정말 열받았다구!'
이번엔 영화 'One fine day' 입니다. 잭은 멜라니에게 자신의 좋은 감정을 드러내는데요,
자신의 말실수를 해명하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Now, as for the panties, that remark
was directed to my editor, Lou, simply to piss you off.' '팬티 얘기는 당신을 골려주기
위해 우리 편집국장에게 그냥 한번 떠들어본 얘기였소.'
멧 데이먼 주연의 법정영화 'Rainmaker'의 초반 독백부분에서 주인공이 이런 말로
시작합니다. 'He drank and beat my mother up. He beat me up, too. So you might
think I became a laywer just to piss him off.' '우리 아버진 술에 취해 엄마와 나를
폭행했지요. 아마 여러분들은 내가 아버지를 난처하게 만들기 위해 변호사가 되었다고
생각하겠지요.'
참고로 piss off가 명령형으로 사용되면 '썩 꺼져라'란 뜻을 갖습니다. 영화 'Mrs.
Doubtfire'의 초반부에서 성우 다니엘은 아이들에게 해로운 장면을 방송국에서 그대로
방영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담당PD와 다툰후 해고되면서 만화주인공 목소리로
다음과 같이 말하지요. 'Piss off, Lew' '썩 꺼져라, 루!'
이상의 표현들, 알아두시면 정말 유용할 겁니다.
have a crush on
'have a crush on someone' 하면 대부분 혼자서 누구를 흠모하다, 짝사랑하다 라는
뜻이 되며 로맨스 영화에서 꼭 등장하는 관용표현입니다.
영화 'Great Expectation (위대한 유산)'에서 주인공 핀은 첫사랑 에스텔라를 잊지
못한채 뉴욕으로 떠나게 되는데 그곳에서 그림작업에 몰두합니다. 한 여자가 에스텔라의
그림을 보고 'Why don't you tell me this one, this beauty right here.'라고 묻자,
핀이 당황하며 하는, 'That...that's some girl I knew back in Florida.'
'I used to have a huge crush on her but..' '플로리다에서 알고 지냈던 소녀에요.
전 그녀를 무척 흠모했었죠, 하지만..' 이처럼 crush앞에 huge 등을 붙여 그 뜻을
강조하기도 합니다.
이번엔 영화 'Patch Adams'에서 환자들을 위한 깜짝파티를 끝내고 귀가하던 중 패치가
캐린에게 얼떨결에 고백하였던 대사입니다. 'I have a crush on you. I can't believe I
just blurted that out.' '난 당신에게 반했어요. 이런말을 꺼내다니 믿을수가 없군요.'
다음엔 알파치노와 미셸 파이퍼가 주연한 영화 '프랭키와 쟈니'입니다.
둘은 같은 음식점에서 일하는데 쟈니의 열렬한 구애에도 불구하고 과거남자에 대한
나쁜 기억으로 프랭키는 늘 쟈니에게 퇴짜를 놓습니다. 쟈니가 말을 붙입니다.
'If I start giving you present, would that help?' '내가 선물을 주기 시작한다면,
도움이 되겠소?' 'I don't like present.' 프랭키의 관심없는 답변에 이번에는
'I got to tell you something. I got a crush on you.' '할말이 있어요. 난 당신에게 푹
빠졌다구요.'라고 고백하지요.
마지막으로 두 여자의 아름다운 우정을 그린 영화 'Walking & Talking'입니다.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던 아멜리아와 로라의 우정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 사건의 발단이 되는 로라의 대사입니다. 'I've a crush on one of my patients.'
'난 내 환자들 중 한 사람한테 반했어.' 이에 아멜리아는 놀랄 수 밖에 없었죠.
'What? What do you mean?' 비슷하게는 be crazy about ~를 쓸수 있구요,
참고적으로 I flipped over her, I am head over heels about her.' 하면
'그녀에게 뿅갔다' 정도의 표현이랍니다.
강도나 경찰들이 잘 쓰는 말
Stay right where you are. Don't move. Freeze! (거기 꼼짝마, 움직이지마, 한발 짝도!)
이런 표현들은 영화속에서 정말 자주 등장하지요. 과거 Freeze란 단어의 뜻을 몰라
봉변을 당한 외국인도 있었습니다. 원래 뜻은 '얼어붙다' 인데요, 미국인들은 '꼼짝마'를
뜻하는 속어로 'Don't move' 보다 더 자주 사용합니다.
물론 주로 경찰 (cop)이나 강도 (burglar)들이 많이 사용하겠지요.
다 아시는 영화 '이보다 더 좋을순 없다'의 첫장면에서 카펫트위에 오줌을 싸려는
강아지 버델에게 유달씨가 'Freeze!'를 연발 외치지요.
영화 'Titanic'에서는 로즈가 배에서 뛰어내리려고 할때 기다리던 잭이 'Don't do it.'하며
만류합니다. 이때 로즈,'No! stay where you are. I mean it.' '저리가요, 거기 꼼짝말고
있어요, 정말이에요.' 하고 외치지요.
에니메이션 영화 'Toy story'의 첫장면 기억하세요? 주인집 꼬마 앤디가 장난감을
가지고 서부 영화 흉내를 내는데요, 미스터 포테이토가 강도입니다. 'All right, everyone!
This is a stickup! Don't anybody move!' '좋아, 모두들, 난 권총강도다!
아무도 움직이지마!' 주변의 장난감, 공포에 떠는데요, 이때 우리의 주인공 woody가
등장하면서 자동응답기의 목소리가 이렇게 나오지요. 'Reach for the sky.'
이 말은 '하늘로 향해 손을 쭉 뻗어라' 곧 '손들어'란 뜻이며 'Stick them up'
'Hands up' 역시 같은 뜻입니다.
위의 표현을 한 번 종합해 볼까요?
Freeze, everybody! Don't move. I will blow your head off if you do.
꼼짝마, 모두들! 움직이지 마. 한발짝이라도 움직이면 머리를 날려 버릴거야.
Reach for the sky. I'm a cop. Turn around, wide your leg, and follow your nose.
Got it? 손들어! 난 경찰이다. 뒤로 돌아, 다리벌려. 곧장가. 알았나?
여기서 follow your nose는 '네 코를 따라가라'인데, 자기코를 따라가는 것은 결국
'곧장가' 라는 의미가 됩니다.
이상의 표현들은 생명(?)과도 관계있으니 꼭 기억합시다!
When it comes to~
'~에 관한한' , '~을 두고 말하면' 의 뜻으로 미국사람들이 즐겨 쓰는 편한 말인데
영화속에서도 쉽사리 이 문구를 들을수가 있답니다.
에니메이션 영화 'Lion King'을 보면 무파사 집안의 골칫덩어리 스카가 혼내려
온 형한테 이런 하소연을 늘어놓지요. 'Well, as far as brains go, I got the lion's share.
But, when it comes to brute strength ...I'm afraid I'm at the shallow end of the gene
pool.' '영리하기로는 나도 사자의 핏줄을 타고 났지만 힘을 두고 말하자면 난 항상 얕은
웅덩이에서만 노는 신세란 말이야.' 여기서 lion's share는 원래 '큰 몫'을 의미하나
여기서는 그 의미 그대로 '사자의 몫'으로 해설될 수도 있으므로 이중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요.
이번에는 영화 'As good as it gets'로 가 볼까요? 게이 사이먼은 강도를 당한 후유증
으로 마음 고생이 심합니다. 유달씨의 자의반 타의반의 호의로 같이 여행을 떠나게
되는데요, 차안에서 사이먼은 자기에게 관심이 없는 부모님에 내심 섭섭해 합니다.
이때 캐롤이 해준 격려의 말 한마디, 'But when it comes to your parents or your kid,
something will always be off for you unless you set it straight.' '당신 부모님이나
자녀들에 관해서라면 만약 당신이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았다면 떠나 있는게 좋겠죠.'
영화 '굿바이 마이 프렌드'에서도 등장합니다. 덱스터의 어머니가 친구 에릭을 집으로
초대했는데, 에릭이 정신없이 음식을 먹다가 에이즈에 걸린 덱스터가 남긴 음식을
서슴없이 먹으려고 합니다. 이때 덱스터의 어머니가 하는말, ''When it comes to other
people’s children, We decided, um, not to take any chances. '우린 다른 집애들에
관한한, 위험이 따를 만한 일은 안하기로 했단다.'
자, 그럼 한 번 연습해 볼까요? 'Do you know of any good restaurants around
here?' '이 근처 어디 식당 좋은데 없어요?' 'Actually, why don't you ask her?
When it comes to eating out, she is an expert.' '그녀에게 물어보지 그래요.
먹는데라면 그녀가 꽉잡고 있다구요.'
nest egg
'nest egg' 하면 '비상시나 은퇴시를 대비해 준비하는 돈' 또는 '밑천'이란 뜻으로
영화에서 잘 사용되는 말입니다.
영화 처음부터 끝까지 speedy한 영화 'Speed (I)'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해도해도 이렇게 까지 돈에 눈이 멀수 있을까요? 은퇴한 경찰 피스크는 버스 승객의
목숨을 담보로 잭에게 돈을 요구합니다. 잭이 버스폭발을 목격후 피스크가 공중전화로
호출을 하자 이렇게 따집니다. 'Why didn't you just come after me?' '왜 직접 나를
찾아 없애려고 하지 않았지?' 그러자 어이없는 피스크의 대답, 'No, this is about me.
This is about my money. Three-point-seven million dallars. It's my nest egg, Jack.
At my age, you got to think ahead.' '아니지, 이건 내 일이야. 내 돈에 관한 일이야.
370만 달러. 그 돈은 내 노후 밑천일세. 내 나이가 되면 앞으로의 일을 생각해 놔야
하거든.'
한편 영화 'French Kiss'에서도 이 말이 등장하는데요, 영화 초반 예쁜 집도 사고 좋은
가정을 꾸리겠다는 희망으로 차곡차곡 돈을 모으던 케이트, 약혼자 챨리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There's somethin I have to tell you. Since I turned 21, I've been putting
money aside every week, my whole adult life into a savings account.'
'당신에게 해 주고 싶은 말이 있어요. 난 스물한 살이 되던 해부터 매 주 저축을 해왔죠.
성인이 되면서부터 쭉 말이에요.' 'What are you talking about?' '무슨 얘길 하는
거야?' 'I've made us a nest egg.' '우리를 위한 밑천을 마련해 놨어요.'
뉴스에서 이런 말이 자주 나옵니다. 'You shouldn't put all eggs in one basket.'
즉 '한 군데 모든 자산을 한꺼번에 투자해서는 안된다'는 말이죠.
그러니까 'put all eggs in one basket' 하면 '밑천을 한 군데 몰아서 한꺼번에 투자하다'
란 뜻입니다.
마지막으로 영화 'Die Hard 3'에서 찾아볼까요? 월터가 'Put 20 man on each floor.
Send the other 50 man down in the basement with us.' '20명은 각 층에 배치시키고
나머지 50명은 우리와 함께 지하에 배치시키지.' 이때 챨리의 말, 'This is kinda like
putting all our eggs in the same basket, isn't it?' ' 이건 한꺼번에 우리 자산을 한 군데
투자하는것과 마찬가지라구요, 안그래요?'
그럼, 다음주에도 계속 돈(money)에 관한 단골손님으로 이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돈 (money)과 관련된 여러 표현 (I)
지난주에 이어 우리가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하지만 경계해야 할 '돈 (money)'에 대한
단골손님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dollar라 하면 모르는 분들이 없으시겠지
만 'buck, grand' 라면 혹 아실런지요? 굉장히 많이 등장하는 말들이라 특정한 영화를
일일이 열거할 수는 없고, 영화 '여인의 향기' 하나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영화 초반부에 챨리의 친구들이 추수감사절때 스위스에 스키타러 가자고
의논합니다. 이때 한 학생이 하는 말, 'But it's gonna take at least three grand to
get there.' '하지만 거기 가려면 적어도 3000달러는 들걸' 여기에 나온 grand는 원래
형용사로 '장대한, 웅대한'이란 뜻으로 잘 쓰이지만 여기서는 '천달러 (thousand
dollars)'를 가르키는 비공식 단위로 쓰였습니다.
다시 영화로 돌아가서..이제 챨리는 퇴역장교 슬레이드와의 힘든 면접을 끝내고
일자리를 주선했던 로시부인에게 돌아갑니다. 기가 꺽인 챨리를 보며 로시부인이
설득하는말 'I promise you an easy three hundred bucks.' '쉽게 300달러를 벌 수
있다고 약속할 수 있어요.' 여기서 buck은 dollar와 같은 뜻이나 실제 미국에서는
dollar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말입니다.
buck은 원래 숫사슴이란 뜻으로 미국 독립선언후 숫사슴의 가죽이 물물교환되었던
것에 기원하여 오늘날 dollar가 buck이란 별명을 가졌다고 합니다.
한편 'easy money'는 쉽게 번돈을 의미하는데요, 영화 '터미네이터2'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지요. 지구 최후의 지도자 꼬마 '존 코너'는 친구와 함께 오락비를 얻기 위해
카드인출기를 조작합니다. 너무나도 쉽게 돈을 빼낸뒤 코너가 하는말 'Easy money!'
'거져 먹기지!'
'Money talks'란 영화는 혹 아시나요? 여기서 'money talks'는 '돈이 말한다?'
즉 '돈이 모든걸 다 해결한다.' 란 뜻입니다. 얼마전 인질극을 벌인 범인이
'유전무죄, 무전유죄'를 외쳐 화제가 되었었는데 'money talks'란 말을 잘 표현한 것
같습니다. 그럼 계속해서 다음주에도 흥미진진한 돈 이야기로 이어 나가겠습니다.
돈 (money)과 관련된 여러 표현 (II)
돈세탁이란 말은 영어에서도 'launder money'로 표현합니다.
영화 'Ghost (사랑과 영혼)'에서 영매 오다매가 억울하게 죽은 샘의 입장을 몰리에게
설명하는 장면입니다. 'He was murdered. He found out Carl was laundering money
at the bank.' '그는 살해된 거예요. 칼이 은행에서 부정한 거액의 돈을 합법적인 돈으로
만들려고 타은행으로 옮기려는 것 (돈세탁)을 알아냈기 때문이죠.' 세탁이 안 된 검은
돈은 'black money' 세탁이 된 돈은 'laundered money' 또는 'white money'라 합니다.
계속해서 영화 '사랑과 영혼'입니다. 영혼이 된 칼과 친구가 된 오다매는 은행에서 칼의
도움으로 거금을 찾게 됩니다. 하지만 칼은 그 돈을 불우이웃을 위해 기부하라고 하는데,
오다매는 아까워 어쩔줄을 몰라합니다. 칼이 하는말, 'It's bloody money. I was killed
for this money.' '이건 피묻은 돈이에요, 난 이 돈때문에 죽은 거라구요.' 여기서 'bloody
money'는 '살인과 관계된 돈'을 의미합니다.
이번에는 신데랄라 이야기 'Ever After (에버에프터)'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음씨 착한 대니엘르는 변변치 못한 옷만 입고 늘 계모가 시키는 일을 해야만 합니다.
어느날, 그녀의 친구 구스타브가 'They are buying a broach.' '계모와 그 딸들이
브로치를 사고 있어.' 라고 알려주자, 'Unbelievable. She ignores the manor, blames
us for her debt, and still pretends to have money to burn.' '믿을 수가 없어. 저택은
생각지도 않고, 자신의 빚을 우리 탓으로 돌리면서도 어떻게 엄청난 돈을 가진것 처럼
행동할 수가 있지.'하고 대니엘르가 열받아 하며 한마디 하지요. 여기서 'money to
burn'은 '태워서 연료로 쓸만큼 많은 돈'이란 뜻입니다.
마지막으로 영화 '제리 맥과이어'에서 흑인 선수가 자기 메니저인 Jerry에게 따지듯이,
랩을 하며 외치는 말이 있죠. 'Show me the money.' 이 말은 맨날 돈을 벌게 해준다고
큰 소리만 치지 말고 어디 돈을 내 손에 쥐어줘 봐. 즉 '돈을 눈앞에 보여주면서 잔소리를
하라구.'란 뜻이죠.
start from (the) scratch
조금 생소한 숙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영화를 자주 보기 전에는 한번도 접하지
못했던 말이었으니까요. 'scratch'하면 '긁다, 할퀴다.'란 뜻인데요, 달리기 경주에
앞서서 출발선을 막대기등으로 쭉 그어 놓는 것을 연상하시면 됩니다.
먼저 탐 크루즈, 니콜 키드먼 부부 주연의 영화 'Far & away'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땅을 얻고자 낯선 미국땅으로 무작정 떠난 두 주인공, 삶이 평탄할 리 없습니다.
죠셉은 생계를 위해 주먹질을 하며 승수를 쌓고, 그 경기에는 많은 도박사들이 몰려
돈을 겁니다. 경기가 시작되기에 앞서 꼬마 심판이 이렇게 외치지요.
'Come to scratch!, come to scratch!' 즉 '출발선에 서세요!' 즉 '싸울 준비 하세요!'
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from the scratch'의 뜻을 미루어 짐작하자면 '출발선에서부터'
니까 결국 '처음 (무)에서부터' 란 뜻이 되는 겁니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영화속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영화 'One Find Day'입니다.
그렇게도 주의를 주었건만, 멜라니의 아들 새미는 엄마가 프레젠테이션에서 선보일
도시설계 모형을 박살내고 말지요. 아무리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식이라지만
이 정도쯤 되면 쥐어박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을까요? 하지만 침착하고 자상한 멜라니,
다 망가져 버린 모델을 작업소로 다시 가져갑니다. 거기서 직원이 하는말, 'So it's
conceivable I could lift out the damaged portion and replace it with the same piece
from the model.' '내 생각에는 손상된 부분만을 들어내고 새로 바꿔 끼기만 하면 돼요'
그러면서'That way, I wouldn't have to start from scratch.' '그런식으로 하면 다시
만들 필요 없겠네요.'
이번엔 영화 'Regarding Henry (헨리의 이야기)'입니다. 도도하며 일과 출세밖에 모르던
변호사 헨리에게 어느날 불행이 닥칩니다. 갑작스런 강도의 공격으로 반신불수가 된 것입
니다. 아울러 언어장애까지 겹쳐 변호사 생활이 어렵게 되었습니다. 병원에서 그의
아내에게 의사가 소견을 밝힙니다. 'Even though your husband seems to have the
capacity to recover, there's no telling how well or how long it might take.' ' 남편께서
회복될 가망성도 있어 보이지만, 얼마나 회복되실지 또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될지는 말씀
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 In some ways, he's starting from scratch here.' '어쨌든,
여기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실 겁니다.'
마지막으로 영화 'First Wive's Club (조강지처클럽)'에서 주인공 애론이 이런 한탄을
하지요. 'Who the hell's gonna want me? I'm 46 years old. I'd have to start from
scratch.' '누가 날 쓰겠냐고? 난 마흔 여섯이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구. '
자 이제 'from (the) scratch' 가 동사 start와 함께 사용되어 '처음부터 시작하다,
무에서 시작하다'란 뜻이 된다는 것, 꼭 기억하세요.
cut out to be ~
Cut out to be~ 는 우리말의'~가 되기에 적격이다.' '안성마춤이다.' 또는 우리 속어
로 '그 사람이 딱이야, 와따지.'에 꼭 맞는 표현입니다. 재단할 때 규격에 딱 맞게 자른다
는 느낌이 잘 나타나 있지요.'적격자'라는 표현으로는 'a well- qualified person, a
person fit for the position' 또는 'the right man for the position' 등이 있지만 말 자체가
cut out to be~ 에 비해 좀 딱딱한 편이지요.
자 얼마나 자주 영화에 등장하나 살펴볼까요? 먼저 영화 'Patch Adams'입니다. 아직
의사 면허증이 없는 학생 신분으로 무료 진료를 행해오던 늦깍이 의대생 패치에게
무자비한 월콧 학장은 퇴학처분을 내립니다. 'You make the patients and everyone
else around you uncomfortable.' '자네는 환자나 주위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든다고.'
이 말에 패치는 발끈합니다. 'I make you uncomfortable.' '학장님을 불편하게 하는
거겠죠.' 정곡을 찔리자 이번에는 패치에게 의사로서의 자질이 없다는 말을 합니
다. 'Well, you can make this into a personal issue if you'd like but the reality is
you are not cut out to be a physician.' '그래, 원한다면 이 일을 사적인 일로 생각해도
좋네. 하지만 실은 자넨 의사로서 적합한 사람은 아니야.'
이번엔 에니메이션 영화 'Antz (개미)'의 시작부분입니다. 일개미 Z가 자신의 신세를
이렇게 한탄하지요. 'My father was basically a drone, like I've said.' ' 우리 아버지는
제가 늘 말해왔듯이, 근본적으로 무위도식자였어요.' And the guy flew away when I
was just a larva.' ' 제가 애벌레일때 집을 나가 버리셨죠.' 'And my job don't get me
started on...because it really annoys me.' '그리고 저한테 일하라고 하지 마세요.
정말 짜증나니까요.' 'I was not cut out to be a worker, I'll tell you right now.'
'지금부터 말하지만 저는 일개미로서는 적합하지 않았어요.'
마지막으로 영화 'Bact to the Future'를 봅니다. 밴드 경연회에 참석한 마티 팀은
안타깝게도 중간에 탈락하고 맙니다. 마티가 믿기지가 않는다고 불평하자 제니퍼
왈 'One rejection isn't the end of the world. '한번 퇴짜 맞았다고 세상이 끝장
나는건 아냐.' 그러자 마티가 이렇게 대꾸하지요. 'Naw, I just don't think
I'm cut out for music.' '맞아. 난 그저 내가 음악하곤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
'저는 연예인으로는 적합하지 않아요.' 'I'm not cut out to be an entertainer.' 등등..
많은 연습을 통해 위의 단골손님을 익숙해질때까지 꼭 연습하도록 합시다.
Big deal
deal은 원래 '거래, 흥정'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는 건 다들 아실 겁니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How much is this?' '500 dollars, that's my best price.' '500달러입니다.
더 이상을 깍아드릴 수 없습니다.' Okay, it's a deal.' '좋아요. 그렇게 하죠.'
여기에서 'It's a deal'은 거래할때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요구에 긍정적으로 응할때
yes나 okay보다 좀더 적극적인 찬성의 의미를 갖기도 합니다. 반대로 'No, deal'하면
'계약에 반대해요.싫어요.'가 되겠지요. 한편 big deal하면 '대단한 일, 아주 중요한 일'
을 의미합니다.
감이 잡히지 않으니 영화속에서 한번 살펴볼까요? 먼저 어린이 유괴의 심각성을
고발하는 영화 'Ransom'입니다. 꼬마 숀을 납치한 유괴범 중 한명이 숀에게 사탕도
주고 농담고 하며 놀아주다가 다른 동료한테 들킵니다. 'What the hell is going on?'
'대체 무슨 짓을 하는 거야?' 그러자 그도 이게 뭐가 잘못됐냐는 반문을 하지요. 'I'm
telling the kid a joke. What's the big deal?' '꼬마에게 농담을 해 주는 거야. 뭐 대수야?'
이번엔 영화 'My Best Friend's Wedding' 입니다. 줄리안은 키미와 마이클과의 결혼을
방해하려고 결국은 E-mail까지 조작해 놓고 망설이지만 결국 양심의 가책을 받고 그
메일을 지우려고 합니다. 하지만 호텔의 문은 잠겨 있고 쩔쩔매는 줄리안에게 마이클이
이상하다는 듯 물어봅니다. 'What's the big deal about getting the file?' '지금 파일을
찾는게 뭐 그리 중요하다고 그래?' 속이 타는 줄리안 왈, 'I'm up against dead line.'
'마감 시간이 다 다 되었단 말이야.'
한편 big deal은 종종 상대방이 한 말을 냉소적으로 받아들여 역설적으로 '하찮은 일'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영화 '마이티 아프로디테'를 잠깐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자인 레니와
화랑 큐레이터인 아만다 부부가 택시를 타며 이렇게 말다툼을 합니다. "Why are you so
angry?' 'Because you won't come.' '당신이 안간다니까.' 'Last time I went I got a
tick.' '지난번에 갔을때 진드기에 물렸다구.' 'Big deal.' '별 것도 아닌걸 가지구.'
마지막으로 영화 '제리 맥과이어'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식축구경기에서 드디어
Dan은 빛을 보기 시작합니다. 그의 경기를 보며 아나운서 Dan은 이런 얘기를 하지
요. 'Who could've believe this? Here is the deal. If Arizona wins tonight...'
'누가 이런 일이 있을 거라고 예상이나 했겠습니까? 이제 이렇게 됩니다.
만일 Arizona가 오늘 밤 이기고..' 여기서 'Here's the deal'은 관용표현으로'일이
이렇게 진행되는 겁니다.' 라는 뜻으로 사태의 추이를 알려주면서 상대의 주의를 끌어
들이는 효과를 갖습니다.
야구와 관련된 여러가지 표현들 (I)
최근 박찬호, 김병현 등 해외파 선수들의 눈부신 활약 덕분에 야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미국인들은 야구를 무척이나 좋아하며 일상생활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스포츠가 되었기에 당연히 그들의 언어에도 야구와 관련된 표현들이 무척이나
많습니다. 'hardball'은 우리가 주로 즐기는 야구게임에서 사용하는 단단한 공을 의미
하나 구어로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 노골적인 태도'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따라
서 'play hardball'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행동하다.' '세게 나온다.'란 뜻입니다.
영화를 보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짐 캐리 주연의 영화 '라이어 라이어'입니다.
거짓말을 밥먹듯 하는 변호사 플레처에게 어느날 시련이 닥칩니다. 아들이 생일소원으로
하루동안 거짓말을 못하게 되길 빌었기 때문입니다. 사만다와 짜고 그녀의 전남편에게서
돈을 뜯어낼 궁리를 한후 법정에서 서로 만납니다. 상대방이 'How much will it take to
put an end to all this ?' ' 이 소송을 끝내는데 얼마를 받으면 되겠소?' 묻자 플레처
왈 'Fifty percent of your estate.' '당신 재산의 반이지.' 그러나 이어 거짓말을 못하며
말하는 시늉만 합니다. 상대방 변호인 다나가 참다못해 이렇게 얘기하지요. 'Very funny,
Fletcher ! You wanna play hardball?' '아주 우습군요. 세게 나오시겠다 이거군요?'
이번엔 영화 '귀여운 여인'입니다. 에드워드는 조선회사의 소유주와 만찬을 하고 있습니
다. 에드워드는 이미 모스 회사의 주식을 천만주나 가지고 있고 따라서 그 회사를 인수하
려 합니다. 소유주가 열을 내며, 'How the hell were you supposed to pull something
like that?' '도대체 당신 어쩌자고 그 따위 짓을 저지를 생각을 하지?' 그 옆의 다른 소유주
가 말리면서 하는 말, 'Easy, calm down, Mr. Lewis plays hardball.' '진정해, 루이스씨
는 물불을 가리지 않고 나온다구.' 'ballpark figure' 'It's in the ball park.' 란 말이 있습니
다. 이는 '대충 비슷하다'는 뜻인데 타자가 친공이 대충 야구장 (ball park)안에 떨어지는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고 야구장의 관람객 수를 대충 세어본다는 데에서 기인된
표현이라고도 합니다.
영화 'The Scent of woman (여인의 향기)'입니다. 드디어 챨리는 친구 조지와 함께 학교
법정에 서게 됩니다. 그곳에서 교장선생님에게 모욕을 주었던 친구들을 고자질하여 대학
에 진학하느냐, 친구와의 의리를 지키느냐의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됩니다. 계속되는
교장선생님의 협박조 질문에 비열한 죠지가 친구들의 이름을 열거합니다. 아울러 이렇게
덧붙이죠. 'Ball park, best guess.' '대충 짐작해 낸 거예요.' 다음주에 계속 이어집니다.
야구와 관련된 여러가지 표현들 (II)
지난주에 이어 야구에서 유래된 표현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off base'라는 표현입니
다. '베이스에서 떠나있다'는 직역이고 우리말로는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란 뜻으로
어떤 사실이나 핵심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You don't know what
you're talking about. You are a bit off base.' '당신은 지금 자신이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 모르는 모양이군. 당신 얘기는 사실과 거리가 좀 멀어요.'
그럼 쥴리아 로버트, 카메룬 디아즈 주연의 영화 'My Best Friend's Wedding'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쥴리안의 거짓 이메일로 말미암마 마이클과 키미는 심하게 다툽니다.
하지만 여전히 둘은 서로를 사랑하고 마이클은 쥴리안에게 부탁하여 키미의 마음을
알아내려고 합니다. 'Do you think she still loves me?' 그러자 쥴리안의 대답, ' I don't
know I'm necessarily qualified as a... I mean I guess I wouldn't be totally off base,
if I said that, in her way, she does possess strong feeling.' '내가 대답할 자격이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 그러니까 내 말은 사실과 다른 이야기는 하고 싶지 않아. 키미 말대로
하면, 아직도 확실한 감정을 가지고 있데.'
이번엔 복습의 의미로 지난주 표현인 'play hardball'이 등장하는 헤리슨 포드 주연의
영화 'Sabrina'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브리나를 동생 데이빗에게 양보한 라이너스는
회사 합병계획을 세우고 관계된 여러 사람들을 회의실로 불러들여 이렇게 얘기합니
다. 'We may have played hardball on occasion, but I think we have a healthy
respect for our individual business abilities.' '우리는 가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노골적으로 다투긴 했지만 서로의 사업 수완을 존중해 왔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야구 중계를 듣다보면 'pinch-hitter'란 말을 자주 듣는데, 이건 타격이 약한
선수 대신 '대타'를 기용하는 걸 말하는데요, 이 말이 일상회화에서는 '대신한다.'
즉 'substitute for~' 'fill in for~'와 같은 뜻으로 잘 쓰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Professor Kim won't be able to teach for the rest of the term.
Do you know who's going to pinch-hit for him? 김교수님이 병원에 입원하셔서, 이번
학기 나머지 수업을 가르치실수 없어. 너 누가 대신 강의하실지 아니?'
Hit it off
처음 만났는데도 얘기가 잘 통하고 해서 만나자 마자 금방 친해지는 사람이 있지요?
죽이 잘 맞아 금방 친해지는 경우에 hit it off 라는 표현을 씁니다. 'When I first met her,
we hit it off right away.' 하면 나는 처음 그녀를 만나자 마자 아주 죽이 잘 맞았어.'
입니다. 특히 영화속에서는 남녀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이야기할때 아주 잘 등장하는
표현이지요.
그럼 먼저 요리사와 웨이트리스의 사랑이야기를 그린 영화 '프랭키와 쟈니'를 봅니다.
교도소를 출감한 쟈니는 요리사로 맨허턴의 한 식당에 취직하는데 하루는 함께 일하는
웨이트리스인 코라와 함께 머물게 되었습니다. 쟈니가 'Can I stay here?' '내가 여기서
자도 되겠소?' 'No, because if you stay over, the two of us are just going to lie here
all night awake, pretending to be asleep, and wondering why we didn't hit it off.
'안돼요. 당신이 머물면 우리 두 사람 다 밤새 잠을 못이루고 여기 누워서 잠든 체하며
왜 우리는 죽이 잘 안맞을까 궁금해 하고 있을 테니까요.'
이번엔 영화 'When Harry met Sally'입니다. 샐리의 친구인 마리는 은근히 샐리와
해리가 연결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파티에 둘을 초대하기에 앞서 샐리에게 얘기를
꺼냅니다. 'Look! Harry is one of my best friends and you are one of my best friends
And if by some chance you two hit it off then we could all still be friends instead of
drifting apart...' '봐! 해리는 내 제일 친한 친구중 하나고, 너도 제일 친한 친구지. 너희
둘이 혹시나 궁합이 잘 맞게 되면 소원해지지 않고,우린 모두 계속 친구로 지낼 수 있어.'
마지막으로 영화 'As good as it gets'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달은 드디어 캐롤과
여행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물론 귀찮는 존재 사이먼도 동행하게 되었지만요. 아들
스펜서의 회복소식에 기쁨을 감추지 못하는 캐롤은 유달에게 같이 춤추자고 제의를
하고, 뛸듯이 기뻐하는 유달은 그녀를 데리고 근사한 식당에 가게 되었습니다.
캐롤왈, 'Tell me why you wanted me here. It's okay. If you ask me, I'll say
yes.' '왜 날 여기 데려오고 싶어했죠? 좋아요. 당신이 원한다면 그렇게 할께요.'
하지만 분위기를 깨는 유달의 대답, 'I thought you kiss him, me, when you two
seemed to hit it off.' 당신이 사이먼과 잘 어울리는듯 싶었을때, 나한테처럼 그한테
키스할 거라고 생각했소.'
What a small world!
얼마전 일본을 좀 다녀왔습니다. 동경에서는 특히 디즈니랜드에서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
는데요, 특히 Small world에서는 세계각국의 어린이 인형들이 춤을 추며 '작고 작은 이세
상'이라는 노래를 부르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정말 작고 귀여운 세상이었지요. 저녁
때 동경거리를 거니는데 뜻밖의 사람을 만났습니다. 북한에서 귀순한후 현재에는 유명한
냉면집을 운영하는 김모씨였습니다. 아는체하며 인사하고 악수도 나누었습니다. 세상 정
말 좁지요? 서론이 너무 길었나 봅니다. 이번주에는 그 경험을 토대로, '정말 세상 참 좁
군'에 해당하는 단골손님을 공부해 볼 까 합니다. 영어로는 'What a small world!' 'It's a
small world.' 또는 줄여서 그냥 'Small world!'라고 표현합니다.
그럼 영화속에서 한번 만나봅시다. 먼저 이혼녀, 이혼남의 하루 에피소드를 그린
영화 'One Fine Day'입니다. 기자인 잭은 시장의 비리를 폭로하는 기사를 다룬 후
해고당할 위기에 처하게 되고, 자신을 도와줄 시장 부인을 찾아 어느 미용실에까지
찾아옵니다. 'Is Mrs. Lieberman, Elaine Lieberman in here by any chance? I'm
looking for Elaine Lieberman.' '혹시 여기 리버만 부인 계십니까?, 전 리버만 여사를
찾고 있는데요.' 이 때 한 여자가 대답을 하는데, 'She just left.' '방금 나갔는데요.'
그 옆에 때마침 잭의 열성팬인 멜라니의 엄마가 잭을 발견하곤 이렇게 소리치죠.
'Jack! Is that you? Do you believe what a small world?' '잭! 당신인가요? 세상 참
좁다는게 믿겨 지세요?'
이번엔 끝까지 숨막히는 액션의 영화 '인디아나 존스 III (최후의 성전)'입니다.
인디아나 존스는 자신이 손에 넣은 코로나도의 십자가를 약탈했던 악당과 26년만에
다시 만납니다. 악당이 하는 말 'Small world, Dr. Jones.' '세상 참 좁지, 존스
박사.' 'Too small for two of us.' '우리 두 사람에게는 너무 좁군.' 그러자 악당이
인디의 호주머니에서 십자가를 꺼내며 'This is the second time I've had to reclaim
my property from you.' '박사에게서 내 물건을 되찾아가는게 이번이 두번째군.'
마지막으로 영화 '체이싱 아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화가 홀든은 만화가 모임에서
알리사라는 여류 만화가를 소개받게 되고 그녀를 보는 순간 좋아하게 됩니다. 고향이
같다는 걸 알고 홀든이 말을 합니다. 'What a small world. So you know the area?'
'세상 참 좁네요. 그럼 그 곳 잘 알아요?' 알리사 왈, 'Quiz me.' '뭐든 물어보세요.'
이렇듯 살다 보면 전혀 예기치도 않은 장소에서 아는 사람을 만나거나, 서로 연관이
없을 것 같은 사람이 알고 보니 아는 사람인 경우가 종종 있기 마련인가 봅니다.
Get a life!
'Get a life'가 무슨 말일까요? 직역하면 '인생을 가져라'인데 이상하지요? 이 말은
'할 일이 그렇게 없느냐?' '인생을 그렇게 살지 말아라'란 뜻의 충고 비슷한 말입니다.
예를 들어 싫다고 하는 여자를 계속 따라다니는 친구가 'I'm going to keep asking her
until she says yes.' '난 그녀가 좋다고 할때까지 계속 조를 거야.' 한다면 'Why don't
you get a life?' '정신 좀 차리지 그래?' 라고 말해 줄 수 있겠죠.
그럼 영화속에서 단골손님으로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영화 '이보다 더 좋을순 없다' 입니다. 유달씨는 심한 강박증 환자여서 문이 잠긴걸
여러번 확인해야 하고, 뉴욕 거리를 거닐때면 보도블럭의 금을 밟지 않으려고 이쪽
저쪽으로 옮겨 다니며 사람들을 밀치지요. 'Whoa, whoa, don't touch!' 이때 지나가던
중년 부인이 혀를 내두르며 한 마디 하죠. 바로 'Get a life!' '할일이 그렇게도 없수?'
즉 'Don't you have anything better to do?'와 비슷한 말이죠.
이번엔 영화 'Sliver (슬리버)'의 마지막 장면입니다. 비디오로 입주자들의 사생활을
엿보는 윌리엄 발드윈에게 주인공 샤론 스톤이 비디오를 부수며 이렇게 외치지요.
'Get a life!' '인생을 그렇게 살지 말라!'
이번엔 시츄에이션 코메디 영화 'Analyze this (애널라이즈 디스)'입니다. 캐롤린은
자신을 떠난 애인을 잊지 못하고 정신과 의사인 소볼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I just can not believe that it's over between me and Steve, you know. I mean,
maybe there's still hope.' '스티브와 제가 헤어졌다는 걸 믿을 수가 없어요. 아니,
아직 희망이 있을 거예요.' 그러자 소볼은 제발 좀 떠난 사람은 잊고 자기의 삶을 찾으라
고 소리치지요. 'Well, the first thing that I think that you should do is to stop whining
about this pathetic loser, for Christ sake's.' '일단은 그런 형편없는 놈 때문에 그렇게
징징짜지 좀 말아요, 제발.' 'You are a tragedy queen... who gives a shit. Get a
fucking life!' '당신은 비극의 여왕같다니까요... 누가 신경이나 쓴데요? 제발 그렇게 살지
좀 말아요! (철 좀 들어요!)'
up to~의 여러가지 쓰임새
이번주에는 간단한 단어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양한 뜻을 갖는 'up to~'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영화 '타이타닉'입니다. 잭을 좋아함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집안
형편으로 인한 어머니의 만류로 로즈는 잭을 피하게 됩니다. 'Jack, this is impossible.
I can't see you. Jack, I'm engaged. I'm marrying Cal. I love Cal...(중략)' 로즈의
말에 믿기지 않는다는 잭, 'Really? They've got you trapped, Rose and you're gonna
die if you don't break free...' '정말이에요? 저들은 당신을 가둬 놓았어요. 로즈, 당신은
자유롭지 않으면 아마 죽을 거예요...' 이 때 로즈의 실망스런 한 마디, 'It's not up to you
to save me, Jack.' '나를 구하는 건 당신 책임이 아니에요, 잭.'여기서 로즈가 사용
한 'up to~'는 '~할 의무(책임)가 있다.'는 뜻이 됩니다. 예를 들어 'It's not up to me to
help her.' '나는 그녀를 도울 의무가 없다.'가 되는 거지요.
이번엔 영화 '시스터 액트'입니다. 좌충우돌, 말썽장이 수녀가 된 들로리스는 운이 좋게도
성가대를 지휘하게 됩니다. 이때 그 동안 형편없는 실력으로 성가대를 지휘해왔던 수녀님
왈, 'You think I took vow yesterday? I know what you're up to. You and Reverend
Mother.' '내가 하루 이틀 수녀 생활하는 지 알아요? 당신이 계획한 일이 뭔지 알겠어요.
당신과 원장 수녀님이 꾸민 일을 말이에요.' 이런 얼토당토 되지 않는 말을 하지요.
여기서의 up to는 '~을 계획하고 있다.'는 뜻이지요. 또 예를 들어 볼까요? 'We got to
find out what they're up to.' '그들이 무슨 일을 꾸미고 있는지 알아 내야 한다.'
이제 영화 '이완 맥그리거의 인질'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 초반 루이스는 애인인
릴리에게 실연을 당하고 집까지 ?겨 나게 됩니다. 사람으로 분장한 여자 천사가 그에게
당장 집을 비우라고 하면서 이렇게 얘기 하지요. 'We can do this with violence or
without. It's up to you.' '우린 폭력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어요.
그건 당신에게 달려 있죠.' 여기서 'up to'는 '~에게 달려 있다'란 뜻으로 쓰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영화 '엔트랩먼트'를 봅시다. 보험회사 수사관인 진은 또한 보험회사 담당관
인 헥터에게 비밀스런 범행을 전화로 보고 하고 있습니다. 'We've got him for
possession, we've got him for conspiracy..' '그 놈을 횡령으로 체포할 수도 있고,
음모로 체포할 수도 있고..' 'But I can't catch him with his hand in the till.' '하지만
현장을 잡지 못하겠어요.' 'You think you're still up to that?' '계속 할 수 있겠나?'
여기서 'up to'는 '~까지'의 뜻으로 쓰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면, 'The stadium
can accommodate up to 10 thousand people.' '그 경기장은 만명까지 수용할 수
있습니다.'
fall for~의 두가지 뜻
'fall for something'은 단순히 '거짓말, 사기에 속아넘어가다' '허위사실에 이끌리다'란
뜻으로 잘 쓰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Many people fall for that exaggerated
claims.' '많은 사람들이 과대선전에 속아 넘어가고 있다.'가 되는 거지요.
영화 '러브 어페어'를 통해 살펴봅시다. 서로에게 관심이 있지만 줄곧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던 마이크와 테리 두사람은 우연히 갑판에서 단 둘이 만나게 됩니다. 마이크가
먼저 참다못해 불만을 토로합니다. 'I saw what was going on with you and the
captain and I want you know that I'm not going to put up with it for another
moment.' '당신하고 선장사이에 무언가가 진행되고 있는 모양인데 내가 더 이상 그
꼴을 못 참아주겠다는 걸 당신이 알기 바라오.' 테리 왈, 'Hey, they may be pretty
faces, darling, but they're shallow.' '이봐요, 그사람들 겉 모양은 번지르르할지
몰라도 깊이는 없어요, 마이크.' 'Well, did she fall for it?' '그런데 그녀가 그 말을
믿던가요?' 'What?' 'That ridiculous story about...' '그 엉터리같은 말 말이에요.'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fall for는 believe something that is not true의 의미이지요.
이번엔 영화 'Sister act'의 초반장면입니다. 밤무대 가수 들로리스에게 그 폭력배 남자
친구 빈스가 멋진 모피 코트를 선물했습니다. 친구들 모두가 부러워 하는데 막상 들로리스
는 이렇게 얘기하지요. 'Well, see some woman would fall for that, but not me.' '어떤
여자들은 이런것에 넘어갈지 모르지만 난 아냐.'
이번에는 fall for가 다른 의미로 사용된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 '내 남자 친구의
결혼식'입니다. 마이클은 그렇게도 믿었던 쥴리안에게 속아 그만 결혼을 앞둔 하루 전날
결혼식을 취소하려 합니다. 'It's over. She denied it. She said I was crazy and
paranoia.' '다 끝났어. 자기는 하지 않았데. 내가 미쳤고 편집증에 걸렸다는군.' 아울
러 'It's for the best, it really is. I am crazy to fall for someone I hardly knew.'
'잘 된 거야. 정말로. 잘 알지도 못하는 사람한테 푹 빠졌었다니 내가 미쳤지.' 여기서
fall for someone은 '~에게 푹 빠지다, 좋아하다.'란 뜻입니다. 영화의 흐름을 통해
fall for의 두가지 의미를 잘 구별하시길 바랍니다.
Have something (nothing) to do with~
'have something to do with'는 '~과 관련이 있다.' 'have nothing to do with'는 '~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란 뜻인데 언뜻보면 문어체에서나 사용될법한 숙어같지만 미국에선
일상회화나 영화에서 무척이나 자주 사용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I have nothing to do
with that accident.'라고 하면 '나는 그 사고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가 되는 거지요.
그럼 얼마나 자주 영화속에서 등장하는지 한번 살펴봅시다.
먼저 한 여인의 실화를 바탕으로 전개되는 영화 '에린브로코비치'입니다. 에린은 마을
사람들의 의료기록을 보다가 의욕을 품고 진상을 조사하게 되는데 PG&E사가 유출시키
는 크롬성분이 사람들을 해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러한 얘기를 들은 마을의
한 부부가 병든 닭의 사진을 가지고 에린을 찾아 옵니다. 'How many were born like
this?''이렇게 병든 닭들이 몇마리나 태어났죠?' 'Twelve or thirteen or so.' '열두 마리에
서 열세마리 정도에요.' 'Yeah, when Donna told us about you and what you told her
about the chromium, we figured that that migh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is,
too.' '맞아요. 도나가 당신에 대해 얘기하면서 당신이 크롬에 대해 말했다고 했을 때,
저희 집의 닭들이 그 크롬과 무슨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여기
서 'have something to do with'하면 '~과 관련이 있다'란 뜻이 됩니다.
이번에도 역시 줄리아 로버츠 주연의 영화 '노팅힐'입니다. 헐리웃의 대 스타인 애나
스콧은 작은 서점을 운영하는 윌리엄이라는 청년을 자주 만나게 되고 서로 좋아하게
되지만 결국 언론의 심한 보도에 기자회견을 하게 됩니다. 리포터 왈 'Anna, how much
longer are you staying in the U.K. then?' '애나양, 그럼 영국에는 얼마나 더 머무르시
나요?' 'No time at all. I leave tonight.' '얼마고 뭐고 없어요. 오늘밤 떠납니다.'
'Is your decision to take a year off anything to do with the rumors about Jeff
and his present leading lady?' '일년 쉬기로 한 결정이 Jeff와 그의 여자 친구에 관한
소문과 무슨 관계라도 있는 건가요?' 여기서는 의문문에 사용되었으므로 anything이
사용되었네요.
이번엔 영화 '패치 아담스'를 보겠습니다. 무료병원을 운영하는 것을 계기로 늘 패치에게
쌀쌀맞았던 캐린은 자신의 아픈 과거에 대해 얘기합니다. 'I hated men so much. I
wanted nothing to do with them. Then I met you. The way that you help people,
Patch-the changes I see in everybody that's around you..' '난 남자들을 너무 미워했
어요. 그들과는 아무 상관없이 지내고 싶었죠. 그러다가 당신을 만난 거예요. 당신의 도움
을 받고 변하는 사람들을 보았어요.'
마지막으로 영화 '어느 멋진날'입니다. 우여곡절끝에 새미와 메기 두 아이를 이번에는
멜라니가 돌보게 되었습니다. 식당에서 아이스크림을 주문해 먹는데 아이들이 잭에
관해서 뭔가 얘기하고 싶어하고 멜라니는 은근히 잭에게 관심이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물어봅니다. 'Come on, you guys, tell. Secret about me and Jack. Dose it have
anything to do with feelings?' '자, 애들아, 말해. 나와 잭에 대한 비밀이라. 어떤
느낌과 관련있는 거니?'
sleep on it
어떠한 문제에 대해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때 '곰곰히 생각해 보다' '숙고하다'란 뜻으
로 'sleep on'이란 표현을 씁니다. 단어속에는 어떤 문제를 베개 삼아 베고 자면서 생각
해 본다는 뉘앙스가 들어 있구요 이 말을 단순히 '하룻밤 자면서 생각해 볼께'정도로 생각
하면 뜻이 약간 다르게 와전되는 것이니 주의합시다. 예를 들어 'You'd better sleep on
it.'하면 단순히 '하룻밤 동안 잘 생각하는 게 좋겠군'이 아니라 몇날 몇일이든 시간을 두
고 '곰곰히 잘 생각해 보게'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럼 영화속 어떤 상황에서 이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지 실전에 들어가 보도록 하죠.
먼저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입니다. 늘 결정적인 찬스때마다 찬물을 끼얹는 유달씨
의 발언으로 캐롤은 기분이 몹시 상했습니다. 여행을 다녀온 후 전화를 통해 캐롤은 그만
만나자는 뜨끔한 제안을 유달씨에게 합니다. 상심한 유달, 평소 경멸하던 그의 이웃 사이
먼에게 하소연합니다. 'She doesn't want contact with me. I'm dying here.' '나와 연락
하기 싫다고 그러더군. 괴로워 죽겠어!' 'Because you love her.' '그녀를 사랑하니까 그
런 거예요.' 그러자 유달씨 발뺌합니다. 'No. And you people are supposed to
sensitive and sharp?' '아냐, 그러고도 자네같은 사람들이 섬세하고 예리하다 할 수 있는
가?' 'Then you tell me why.' '그럼 얘기를 해 보시죠.' 이때 유달, 한숨 쉬며 하는 말,
'I don't know. Let me sleep on it.' '나도 모르겠어, 곰곰히 생각해 봐야 겠어.' 위의 상황
과 같이 절박하고 꼬이는 상황에서 어떻게든 생각해서 해답을 찾아내야 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는 표현이 바로 'sleep on it'이죠.
이번에는 아담 샌들러 주연의 영화 '빅대디 (Big Daddy)'입니다. 변변한 일자리 없는
철부지 써니에게 어느날 느닷없이 꼬마가 하나 생겼습니다. 미운정 고운정도 들고 해서
써니는 자기가 그 아일 맡아 키울까 생각중입니다. 옆에 있던 친구 필이 하는
말, 'Sometimes women get pregnant to try to fix a troubled relationship, why can't
a guy adopt a kid to do the same thing?' '여자들도 가끔 안풀리는 관계를 만회시키기
위해 임신을 하는데, 남자라고 관계개선을 위해 입양을 왜 못하냐구.' 그 동안 고민했던
여자친구 바네사와의 관계를 생각하니 그 말이 옳은 것 같았나 봅니다. 'I didn't think of it
like that. That's a good point.' '그렇게까진 생각하지 못했는데. 좋은 지적이야.' 이때
다른 친구 토미는 걱정스럽다는듯이 'Sounds nuts to me, pal. Do yourself a favor.
Sleep on it.' '이봐 그건 미친 짓이야. 네 자신을 생각해야지. 신중을 기해서 생각하라구.'
마지막으로 알콜중독자 아내와의 사랑을 그린 영화 '남자가 사랑할때'입니다. 아내를
사랑하는 마이클은 아내를 알콜 중독치료원에 보내고 자신이 아이들을 돌봅니다.
어느날 아내 앨리스를 만나기 위해 병원을 찾아갔습니다. 앨리스왈 'At my meetings,
when you have six months, you stand up and tell your story.' '6개월이 지나면,
일어나서 자신의 얘기를 해야 해' And it, it's a week from Saturday.' '다음주 토요일
이야' 'And I'd really like you to come.' '당신도 왔으면 좋겠어' 이 제안에 내심
기분좋은 마이클, 그러나 한번 튕겨 봅니다. 'What?' '왜?''I'm not gonna say bad stuff
about you.' '당신에 대해 나쁜 얘긴 안할 거야' 'Oh, you're gonna lie, huh?' '거짓말을
해야겠군?' 다시 한번 앨리스가 부탁합니다. 'I'd really like you to come.' '당신이 와
줬으면 좋겠어.' 이때 마이클이 하는말, 'Well, I'll sleep on you... it.' '글쎄, 당신과 같이
자고 싶은데.. 생각해 볼께.' 여기서 sleep on you는 원래 sleep on it을 써야 하나 마이클
이 목적어를 you로 바꾸어 내심 앨리스와 함께 잠자리를 같이 하고 싶다는 욕망을 표현했
다가 it로 수정하는 모습입니다. 일종의 언어유희 또는 말장난이라고 보면 되겠죠. 비슷한
표현으로 'think it over'가 있다는 건 다들 아시죠?
만나고 헤어짐의 표현들 (I)
새로운 한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우리의 곁을 가고 오는 많은 시간과 사람들을 생각하며
이번주에는 만나고 헤어짐에 관련된 표현들을 살펴볼까 합니다. 먼저 사람을 소개할
때 'Let me introduce~' 혹은 'I would like to present~'를 사용한다는 것쯤은 잘 아실테
구요, 만약 미국사람이 두 사람을 바라보며 'Did you meet each other?' 한다면 단순
히 '두분 서로 만나셨습니까?'가 될까요? 이때는 단순히 '만나다'란 뜻이 아니라 처음 만나
는 사람끼리 '인사하다'란 뜻으로 쓰인 겁니다. 따라서 '두 분 서로 인사하셨습니까?'란 뜻
으로 아직 안했다면 서로 인사들 나누라는 소개의 표현입니다.
그럼 영화 'Titanic (타이타닉)'의 첫부분을 볼까요? 우연찮게 타이타닉의 탐사장면을
TV로 본 로즈 할머니는 실제 탐사현장에 브록의 초청을 받고 도착합니다. 'Welcome to
the Keldysh. Are your staterooms alright?' '켈디쉬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특별실은
마음에 드세요?' 'Oh, yes, very nice. Have you met my grand-daughter, Lizzy?'
'오, 그래요. 아주 좋군요. 그런데 내 손녀딸과는 인사하셨나?' 이때 손녀딸,'We met just
a few minutes ago.' '몇분전에 인사했어요.' 방금전에 인사하는 걸 보았는데 또 인사하
라는 로즈 할머니의 장면에서 과연 수십년전의 대형참사를 기억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
을 고의적으로 불러일으키게 하는 장면이었습니다.
'ask'는 '묻다, 부탁하다'인데 그럼 'ask out'은 무슨 뜻일까요? ask와 out사이에 사람이
위치하여 뜻은 남녀사이에 '데이트를 신청하다'입니다. 그럼 영화 '패치아담스'를 보도록
합시다. 패치와 친구들은 캐린을 위해 깜짝 생일파티를 진행하고 얼음장같이 차가웠던
캐린의 마음이 서서히 녹기 시작합니다. 단둘이 교정을 거닐면서 캐린이 먼저 말을 꺼내
죠. 'You know you could have saved yourself a lot of trouble and just asked me
out.' '그냥 데이트하자고 말했으면 그런 수고 (멋진 풍선파티와 시낭송 등등의 이벤트)
를 덜 수도 있었을텐데요.' 'Who said anything about asking you out?' '누가 당신에게
데이트를 신청하는 것에 대해 뭐라고 했나요?'
다음은 영화 '웨딩싱어'에서 돈만 아는 줄리아의 남자친구 글렌과 여자친구 홀리 그리고
줄리아가 만났습니다. 홀리가 은근히 웨딩싱어인 로비에게 호감을 보이며 줄리아의
눈치를 봅니다. 'Hey, if you don't want me to, I won't do it.' '네가 싫다면 안만날께.
'줄리아는 애써 자신의 마음을 감추며 'Well, why would I not want you to?' '내가 왜
네가 로비와 사귀는걸 싫어하겠니?' 'Good. Then I'm going out with him.' '잘됐다.
그럼 만나야지.' 여기서 'go out with'하면 '~와 데이트하다'란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She asked me out but I'm not sure if I really want to go out with her.'
'그녀가 나한테 데이트 신청을 했는데 난 정말로 그녀와 데이트를 하고 싶은지 잘
모르겠어.'
그럼 꾸준히 데이트하고 관계를 지속시키고 있다는 표현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럴땐 단순히 'see'동사를 사용해서 'I'm seeing her.' '나는 그녀와 사귀고 있어.'가
됩니다. 영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를 보시면 수도 없이 나오는 표현이란걸 아실
겁니다. 사용시에 진행형으로 쓰셔야 한다는것 유념하시구요. (^.^)
계속 이어지는 상황, 이번에는 옆에 있던 글렌이 한 술 더 뜹니다. 'You know, Jules is
chums with him. She'll fix it up, won't you, Jules?' '줄리아가 그 친구랑 친하니까
주선해 주겠지. 안 그래, 줄리아?' 여기서처럼 'fix someone up with ~'하면 '누구를 ~와
소개팅시켜 주다'란 의미입니다. 즉 'I'll fix you up with one of my friends' '내 친구 중
하나와 소개시켜 줄께.'와 같이 사용되지요.
만나고 헤어짐의 표현들 (II)
지난주에 만남의 표현들을 살펴본데 이어 이번에는 헤어짐의 표현들을 연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속에서는 무수히 많은 만남들이 이루어지지만 또한 이루어 지지 않는
무수한 사랑과 인연들이 있습니다. 먼저 약속을 지키지 못해 상대방을 '바람맞히는 경
우'가 있습니다. 영화 '당신이 잠든 사이에'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병원에서 피터의
가족들과 지내고 자기 집으로 들어가던 루시는 옆방의 조 주니어와 마주칩니다.
'What gives? You stood me up.' '뭐가 문제야? 넌 날 바람맞혔어.' 'For what?'
'무엇을?' 'Our date.' 껄렁껄렁한 죠 주니어가 상대방의 의견도 물어보지 않고 약속을
했었다고 우기던 재미있는 장면이었습니다. 여기서 'stand someone up' 직역하면
'누군가를 세워둔다.'겠지만 우리말의 '바람 맞히다'에 해당되는 표현입니다. 상대방을
자꾸 바람 맞힌다면 좋은 관계가 유지될리가 없겠죠.
이번엔 영화 '제리 맥과이어'입니다. 자신의 유일한 직원인 도로시의 집을 찾아온 제리.
하지만 술에 취해 꼴이 말이 아닙니다. 'I'm so glad you're home. You know I..
it's just that, the alone thing is not my specialty.' '당신이 집에 있어 너무 기뻐요.
있잖아,나..단지 그게 말이에요. 혼자 있는게 내 전공이 아니라서요.' 이때 제리가
색안경을 벗자 눈썹위의 상처가 드러나지요. 계속해서 하는말 'Oh, my God, well, I
broke up with Avery..' '이런 맙소사 그래, 난 에이브리와 헤어졌어요..' 약혼녀였던
에이브리에게 'loser'라는 말까지 들어야 했던 그였기에 이 대사는 더욱 더 그를 처량
하게 합니다.
이번엔 영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의 장면입니다. 공교롭게도 같은 차를 타게 된
둘은 식당에서 저녁을 역시 같이 먹게 됩니다. 해리가 불쑥 꺼내는말, 'So how come
you broke up with Sheldon?' '그래 어쩌다 쉘던과 헤어지게 됐소?' 'How do you know
we broke up?''우리가 헤어진걸 어떻게 알죠?' 'Because if you didn't break up, you
would't be here with me.' '그렇지 않다면 나와 여기 있을 이유가 없잖소.' 이러한
공방전은 영화 내내 치열하게 계속된답니다.
'break up with'와 비슷하게 쓰일 수 있는 표현에는 'be through with' 'Someone is
history.'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We are history.' 하면 '우린 역사속에 묻혔어' 즉 '우리
의 관계는 끝났어.'가 됩니다.
영화 '슬라이딩 도어즈'에서 애인 제리의 바람피우는 것을 목격한 헬렌은 친구집에
머물게 되지만 은근히 그가 그녀를 찾아오기를 바랍니다. 'Hello, Helen, it's Gerry.
I'm a twat. Please come home, I love you." All that shit. Oh, I don't care anyway.
Bollocks to him. I'm over him. '헬렌, 나 제리야. 내가 죽을죄를 졌어. 제발 집에 돌아
와. 사랑해." 그런 말만 해주면 될텐데. 어쨌든 난 신경 안 써. 될 대로 되라지 뭐.
그하고는 끝이야.' 여기에서처럼 'I'm over him' 도역시 '그와는 끝장이야, 끝났어.'가
됩니다. 한편 'break up with'와 비슷하지만 다른 상황에서 쓰이는 말이 있습니
다. 'seperate'가 그것인데 우리말로는 역시 헤어져 있다는 뜻이나 '부부 관계에서
별거중일 경우' 사용합니다.
영화 '남자가 사랑할때'에서 마이클이 알콜중독 치료병원의 모임에서 얘기하는 장면입니
다. 'This is the first time I've talked. My wife is alcoholic and we're separated.' '이곳
에서는 첫번째 얘기하는 겁니다. 제 아내는 알콜중독이고 저희는 지금 별거중입니다.'
지금까지 얘기했던 표현들은 우리 일상에서 가급적이면 사용할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
다. 그럼 한주동안 또 화이팅 하세요!!
get away with
'Get away with~'는 어떤 나쁜 짓을 하고도 '처벌받지 않고 모면하다' 즉 'escape
without punishment'를 뜻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영화속에선 주로 뻔뻔스러운 범죄자
들을 향하여 정의감에 불타는 주인공들이 한마디씩 내뱉는 표현이지요. 먼저 제가 그리
좋아하는 영화는 아닌데요, '스크림 (Scream)'입니다. 철썩같이 믿었던 남자친구가 자신
의 엄마를 죽인 범인이라는 사실을 안 시드니는 경악을 합니다. 친구중 한명인 스튜어트
왈, 'It's a fine game, Sidney. See we ask you a question, and if you get it wrong?
You die!' '멋진 게임이잖아, 시드니. 문제를 내는데, 만일 정답을 못맞춘다면? 넌 죽어!'
시드니가 오열하며 외칩니다. 'You're crazy, both of you. You'll never get away wth
this.' '너희들 모두 미쳤어. 너희들은 절대 처벌받지 않고 모면하진 못할 거야.'
이번엔 액션 느와르 'LA 컨피덴셜'입니다. 세명의 흑인 용의자들까지 잡아들여 단순한
살인사건으로 끝난 줄 알았던 카페살인사건이 뭔가 심상치 않음을 눈치챈 버드 (러셀
크로우)와 에드, 각자 단독 수사를 시작합니다. 신참내기 에드는 돈만 밝히는 얌체 경찰
잭에게 자신의 파트너가 되어 달라고 설득합니다. 'Rollo was a purse snatcher. My
father ran into him off duty. And he shot my father six times and got away clean.'
롤로라는 놈은 소매치기였어요. 우리 아버지는 근무시간이 아니었는데 그놈과 마주치게
되었죠. 그 놈은 아버지에게 여섯발을 쏘고 깨끗이 도망쳤죠.' 이상하게 여긴 잭, 'What's
your point?' '요점이 뭐야?' 'Rollo Tomasi's the reason I bacame a cop. I wanted to
catch the guys who thought they could get away with it. It was supposed to be
about justice.' '그 놈 때문에 난 경찰이 됐죠. 죄를 짓고도 용케 빠져나갈 수 있다고 생각
하는 놈들을 잡고 싶었어요. 정의감란 거죠.'
이번에는 치매 아버지를 돌보는 딸들의 이야기, '지금은 통화중 (Hanging up)'입니다.
이기적인 큰 언니 조지아가 성공하게 된 계기가 둘째 언니 (맥 라이언) 이브의 요리법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된 세째 딸 매디는 경악을 금치 못합니다. 'God, she doesn't even
cook. Where did she get that recipe from, anyway?' '세상에, 근데 큰언니는 요리도
못하면서 그 요리법은 대체 어디서 배웠데?' 이브왈, 'It was mine.' 'God, I hope you
blew up at her.' '세상에.. 난 언니가 큰언니한테 따졌으면 좋겠어.' 'Well, no.' '글쎄,
싫어.' 둘째 언니의 시큰둥한 반응에 막내가 이렇게 대꾸하지요. 'You let her get away
with anything.' '언니는 큰언니가 잘못하더라도 그냥 넘어가게 해.' 즉 '언니는 큰언니
한테 너무 관대해.'로 해석하면 좋겠습니다. 정리하자면 'You can't get away with it.'
는 즉 'You'll be punished for this.' '당신이 그런짓을 하고도 무사할 줄 압니까?' '그에
따른 처벌을 받을 것입니다.'가 되구요,
참고적으로 'get away with murder'하면 '살인을 하고 빠져 나가다'란 뜻보다는 '매우
나쁜짓을 하고도 처벌받지 않고 넘어가다'란 뜻입니다. 범죄가 일어나서도 않되겠지만
죄를 짓고도 처벌받지 않고 넘어가는 일은 더더욱 일어나선 안되겠지요.
근데 말이야, 이거 아세요? 의 표현
이번주에는 간단한 말이면서도 약간씩 용법이 다른, 하지만 영화에서는 빈번히 사용되는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로 의문사인 'what'을 사용하여 표현되는 문구
들인데요, 예를 들어 'Guess what?' 'You know what?' 'I'll tell you what?' 입니다.
먼저 'You know what?'하면 단순히 '당신은 무엇을 아느냐?'란 뜻이 아니라 말하는 사람
이 어떤 놀랄만한 뉴스를 발표하는 경우에 쓰는 관용 표현입니다. 예를 들면 'You know
what? I'm quitting my job.' '있잖아, 나 직장을 그만 둘거야.' 'What? You're
kidding!' '뭐? 너 농담하는구나!' 처럼 말이지요. 다른말로 표현하자면, 'Do you know
about this?' 'I've got news for you.' 정도가 되겠지요. 이와 비슷한 표현으로 'Guess
what?'이 있습니다. 직역하면 '무엇을 추측해 봐라'가 되는데 이 역시 뭔가 새로운 정보
를 상대방에게 전하려 할때, 본론을 꺼내기에 앞서 먼저 꺼내는 말로 상대방과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표현이지요. 우리말로는 '저 말이야' '그거 알아?' '근데 말야'
정도입니다. 예를 들어 'Guess what? I was selected to represent our class in the
annual singing contest.' '근데 말이야, 연례 노래 대회에 내가 우리반 대표로 뽑혔다
구.' 'Good for you.' '거 잘 됐네.' 또는 'Hey, guess what? We won the match 4-1.'
'이봐, 이거 알아? 우리가 4대1로 이겼다구!'
한편 'I'll tell you what'이라는 문장은 뭔가 새로운 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면서
꺼내는 말이지요. 곧 'Here is an idea.'와 상통하는 표현입니다. 쉽게 보이지만 영화에서
의 빈번히 나오는 단골손님이고 그 쓰임새를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하면 좀처럼 써먹기
어려운 표현이니 잘 기억해 두세요!!
'요령을 터득하다' 의 표현
'~의 다루는 법을 알게 되다.' '~의 요령을 터득하다.'란 표현을 할 때에 우리는 'to learn
how to do something or use something'을 떠올리게 됩니다. 미국에서는 구어체 표현으
로 간단하게 'get the hang of' 또는 'get the knack of'란 표현이 즐겨 사용됩니다. 영화
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지요.
먼저 자칫 간과될 수 있는 가족간의 사랑을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영화 'Marvin's
Room'입니다. 병든 아버지를 모시고 있는 베시는 어느날 의사를 찾아가 진료를 받습니
다. 베시가 'Is there a problem?''문제가 생겼나요?' 묻자, 의사는 새로온 남자 간호사
얘길 하는 줄 알고 이렇게 동문서답하지요. 'No, no, he's just new here. He'll get the
hang of it.' '아닙니다. 여기서 처음 일하는 거라서요. 곧 익숙해 지겠죠.' 베시가 답답해
하며, 'No, no. I meant with my blood test.' '그게 아니고요, 제 혈액검사 얘기예요.'
이번엔 영화 'Sister Act'입니다. 범죄자들을 피해 가짜 수녀가 된 우피에게 수녀 생활이
평탄할리 없습니다. 동료 수녀들과 친해진 우피는 이런 하소연을 합니다. 'I'm not gonna
get this. This is a little too complicated for me.' '못하겠어. 내 한테는 너무 복잡한 일이
야.' 이 때 옆에 있던 뚱보 수녀가 조언을 합니다. ' Don't worry. You'll get the hang of
it. I'll help you.' '걱정 마세요. 금방 잘하게 될 거예요. 제가 도와드릴께요.'
마지막으로 영화 'Miracle on the 34th Street'의 초반 장면입니다. 진짜 산타의 모습을
한 크리스는 가짜 산타가 마차를 끄는 모습에 한심해 합니다. 가서 충고를 하게 되는
데, 'Bring it up right up high, and down she comes! Ha, ha, ha! It's just in the wrist,
you see. It's really quite simple, you know, when you get the knack of it.' '채찍을
높이 들어 올리면 자연히 이렇게 내려온다네. 하, 하, 하! 손목을 잘 쓰는 것이 요령이외다.
정말 간단하지요. 당신이 요령을 터득하기만 한다면..' 아직도 컴퓨터 배우기를 두려워 하
는 사람이 있다면 이렇게 조언해 주면 어떨까요? 'Using a computer isn't difficult once
you get the hang of it!' '컴퓨터는 일단 익숙해 지면 (요령을 터득하게 되면) 어렵지 않아
요!'
'소란을 피우다, 추태를 부리다' 의 표현
'scene'이라 하면 주로 '장면, 광경'의 뜻을 생각하기 쉬운데, '큰 소란, 추태'란 의미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동사 make와 함께 사용되어서 '소란을 피우다' '추태를 부리다'란 뜻이
됩니다. 예를 들어 '모욕을 당한 기분이지만 소란을 떨며 추태를 부리고 싶지는 않습니
다.'를 영어로 표현한다면 'I feel humiliated but I don't want to make a scene.'이 되는
거지요. 그럼 영화속에서 한번 살펴 볼까요?
최근 종강한 영화 '조강지처클럽'입니다. 우직한 아내 브렌다는 어느날 백화점에서 옷을
고르다가 남편의 외도 장면을 목격합니다. 'Well, look at you. You look
prosperous.' '오, 이봐요, 부티가 나시는군요.' 이때 다급해진 남편 하는 말, 'Brenda,
don't embrass me.' '브렌다, 날 망신시키지 마.' 'Don't make a scene.' '소란 피우지
말라구.' 화가 난 브렌다 왈, 'Don't embrass me, don't make a scene? You've got a
nerve.' '망신시키지 말라, 소란 피우지 말라구? 당신 참 뻔뻔스럽군!'
이번엔 에니메이션 영화 '타잔 (Tarzan)'입니다. 초반부터 인상이 좋지 않았던 탐험 대장
클라이튼이 마침내 일을 저지릅니다. 제인과 박사를 배반하고 고릴라를 포획하기 시작합
니다. 타잔을 가두고 하는 말, 'So sorry about the rude welcome, old boy.. but I
couldn’t have you making a scene when we put your furry friends in their cages.
'이렇게 무례하게 환영해서 미안하군. 하지만 털복숭이 당신 친구들을 우리안에 가두려
할때 자네가 소란을 피우게 할 순 없거든.'
마지막으로 스포츠 에이전트를 다룬 영화 '제리 맥과이어 (Jerry Mcquire)'입니다.
라이벌이자 회사 동료인 슈가와 제리는 어느날 같이 점심을 먹으러 레스토랑에서 만납니
다. 하지만 뭔가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느낀 제리, 'What's up?' '무슨 일이야?' 묻자,
친구 기다렸다는 듯이, 'Came here to let you go.' '자넬 해고하려고 왔어.' 제리의 반응
이 없자, 'It's real. You should say something.' '진짜야. 뭐라고 말 좀 해 봐.' 드디어
격분한 제리 , 'Oh, shit. A crowded restaurant so there won't.. won't be a scene.
You.. ungrateful, unctous..' '이런, 제길. 내가 소동을 못 피우게 복잡한 식당에서 말이
지. 너.. 배은 망덕하고, 뺀질뺀질한..'
'언짢게 생각 말게, 악의는 없었네'의 표현
'고의는 아니니 섭섭하게 생각 말라'는 표현으로 'No hard feeling.'이란 간단한 말이 무척
이나 자주 사용됩니다. 'Hard feeling'에는 '거북한 기분, 악감정, 악의'란 뜻이 내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나는 아무런 유감이 없습니다.'는 'I don't have any hard feelings.'라
고 표현합니다. 그럼 영화속에서 얼마나 자주 등장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영화 '쇼생크 탈출'입니다. 쇼생크 감옥에서 도서관 사서로 일하던 브룩스는 결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살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남긴 편지를 앤디가 읽고 있습니
다. 'I doubt they'll kick up any fuss. Not for an old crook like me. p.s. Tell Heywood
I'm sorry I put a knife to his throat. No hard feelings. Brooks.''나 같은 늙은 사기꾼
한 명이 죽는다 해서 소동을 피울 사람은 없을 걸세. 추신. 목에 칼을 대서 미안하다고 헤
이우드에게 전해 주게. 악의는 없었다네. 브룩스.' 교도소를 떠나기 전 한바탕 소동을
일으킨 것을 후회하며 헤이우드에게 용서를 구하는 씁쓸한 장면이었죠. 이 장면에서
'No hard feeling'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첩보영화 '어싸인먼트'입니다. 라미네즈는 잭의 끈질긴 설득끝에 카를로스를
잡는 첩보 요원이 되기로 결심하고 캐나다의 어느 폐쇄된 감옥에서 온갖 특수한 훈련을
받게 됩니다. 처음 도착했을 때 만난 아모스란 사람은 전에 이스라엘에서 이유없이
라미네즈를 고문했던 사람이었습니다. 라미네즈가 불쾌하다는 듯이 말을 건넵니다.
'I didn't recognize you without my foot chained to the floor.' '내 발을 쇠사슬에 묶어
놔야 당신을 알아볼 수 있을 거야.' 그 때 아모스, 미안하다는 표시로 손을 내밀며 이렇게
말하죠. 'I hope there are no hard feelings.' ' 언짢게 생각 말기를 바라네.
하나만 더 볼까요? 임신과 출산에 대한 해프닝을 다룬 코믹 영화 '나인먼쓰'입니다. 샘과
그 친구는 어느날 어린이 장난감 가게에 들어가게 되는데 입구에서 판촉을 하는 인형과
신경전을 벌이게 되죠. 'My kids think your show sucks.' '우리 아이들이 당신 쇼를
보면 형편없다고 할거요.' 하며 지나간후 미안한 마음이 들었는지 이렇게 얘기해 주지
요. 'Hey, no hard feelings, OK?' '이봐요, 악의는 없었소!'
'용기, 배짱이 있다'의 표현
'용기'하면 우리는 'courage'를 우선 떠올리는데요, 미국 구어체에서는 'gut'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Gut'은 원래 '창자, 내장'을 뜻하는데, 다른 의미로 '용기,
베짱, 깡다구'란 뜻으로도 무척 자주 쓰입니다. 그래서 'have the guts to do
something'하면 '~할 용기나 베짱이 있다.'가 되며 예를 들어, 'I didn't have the guts to
ask her out.' '난 그녀에게 데이트 신청할 용기가 없었어.'가 되지요. 그럼 구체적으로
영화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수잔 서랜든과 숀팬이 주연한, 사형제도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영
화 'Dead Man Walking'입니다. 사형집행날이 되어 매튜는 그동안 자신을 도왔던 헬렌
수녀에게 자신의 심경을 고백합니다. 'I was a fucking chicken. He was older and
tough as hell. I was just boozing up, trying to be as tough as him.' '전 바보 같은 겁
쟁이였죠. 그는 나보다 나이도 많고 무척 거칠었어요. 저는 술에 취해서 그냥 그 사람처럼
거칠어지려고 했어요.' 그러면서 'I didn't have the guts to stand up to him.' '그 사람에
게 맞설 용기가 없었어요.' 이제 'have the guts to~'의 용법을 대충 아시겠죠?
이번엔 영화 'City of Angel'입니다. 천사 세스는 병원에서 뜻밖에도 자신을 알아보는
메신저라는 남자를 만나게 됩니다. 그가 말하길, 'Hello. Jeez, you look good. I forgot
how good everybody looked. Thirty years of silence. You got guts, kid, showin'
yourself like that.' '안녕한가. 와, 잘생겼구만. 내가 천사들이 모두 잘 생겼다는 걸
잊고 있었군. 30년 동안 내게 나타난 천사는 없었는데. 자넨 용기가 있군. 그렇게 스스로
를 내보이다니 말이야.' 여기서 'You got guts'도 마찬가지로 '당신, 베짱이 있군.'이란
뜻이 되겠죠.
이번엔 영화 '더블 크라임'을 볼까요? 부인에게 살인 누명을 씌우고 자신은 총각 행세를
하던 닉, 마침내 부인에게 잡히게 되지요. 변명이 라고 하는 말이, 'You have to
understand something, we were going under.' '당신이 알아야 할 게 있어. 우린 실패
직전에 몰렸었구.' 'We were gonna lose everything. And if I had any guts, I would've
killed myself, but...' '모든 걸 잃기 직전이었어. 내가 배짱이 있었다면 자살이라도 했겠지만..'
무엇보다도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용기있는 행동이 아닐까요?
'It takes a lot of guts to admit that you've made a mistake!'
'아주 쉽다'를 뜻하는 여러가지 표현들.
'아주 쉬운 일'을 이야기할때 우리들은 '누워서 떡먹기' 혹은 '식은 죽 먹기'란 표현을
즐겨 사용하지요? 또 '장난이지'란 표현도 있구요. 마찬가지로 영어에도 다양한 표현들이
존재합니다. 먼저 제일 많이 알려진 표현 'It's a piece of cake!'이 있겠죠. '케?한 조각
먹는 것 처럼 쉽지!' 곧 '누워서 떡 먹기지.'란 뜻이랍니다. 미셸 파이퍼가 선생님으로 열연
한 영화 '위험한 아이들 (Dangerous Minds)' 중에서 건달같은 학생들에게 선생님이 이
런 얘기를 하죠. 'Poetry'll be a piece of cake for this crowd.'
'너희들에게 시는 식은 죽 먹기일 거야.' 또 '꼬마 유령 캐스퍼'에서도 유령을 잡으러 온
한 유령 사냥꾼이 유령이 나온다는 성으로 들어가며 'It's a piece of cake!'하고 들어
갔다가 혼쭐만 나서 도망가는 장면이 있습니다. 참고로 'piece of cake'은 반드시 쉽다는
뜻만 가진 것은 아닙니다. 'I got my piece of cake.' 하면 '나의 몫을 받았다.'가 되니
주의합시다.
이번엔 '007 네버다이'의 장면중 일부입니다. 'Will it trigger the torpedoes?' '폭탄이 터질
까요?' 'It might. But even if it does not, there's enough plutonium to make Chernobyl
look like a picnic.' '그럴 수도 있죠. 하지만 설사 터지지 않더라도, 체르노빌 사건과는
비교도 안 될 엄청안 양의 플루토늄이 유출될 겁니다.' 여기서 'picnic'은 속어로 '매우
쉬운 일'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The test was a picnic.'은 '그 시험을 정말 쉬웠다.'
이고, 'It's no picnic'하면 '그 일은 장난이 아니다.'는 말입니다. 위에 나온 'make
Chernobyl look like a picnic'은 '끔찍한 체르노빌 사건도 어린애 장난처럼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돼 버린다'라는 뜻이죠.
그 밖에도 '찰깍 소리내다'란 뜻의 동사 'snap'을 써서 'That's snap.'하면 '(손가락 퉁기
는 것만큼이나) 아주 쉬운 일이다.'이고 'It's a breeze.' 'It's a blow-off.' 역시 '미풍'
이나'후불기'란 뜻이니까 '아주 쉽다'란 뜻이 됩니다. 또, 'Nothing to it'이란 말도 있는
데, 'Changing a light bulb is easy. Nothing to it!' '전구 가는 건 쉬워요. 별 거 아니죠!'
마지막으로 'cinch'란 단어를 써서 'The test was a cinch. I finished it in 15
minutes!' '시험 엄청 쉬웠어. 15분에 끝냈다니까!' 쉽다는 얘기 참 많죠?
'freak'의 여러가지 쓰임새
'freak'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이상한 생물, 변종, 돌연변이' 등을 의미합니다. 영화 'X-
men'에서 보면 손등에서 강철 손톱이 나오는 주인공을 보고 술집 주인이 소스라치게 놀
라며 'You, freak!' '이런 괴물 같으니!' 라고 하지요.
또 'Sixth Sense'에서는 영혼이 보이는 무서운 경험을 하는 꼬마 소년 콜이 울면서 엄마
에게 물어보지요. 'You think I'm a freak?' '제가 괴물같이 느껴지세요?' I would never
think that about you... ever... Got it?' '그렇게 생각해 본 적은 한번도 없다, 알겠니?'
한편 'freak out'이라 하면, '뭔가에 크게 놀랐을 때' '겁을 먹었을 때' '흥분했을 때'
잘 쓰이는 숙어랍니다. 영화 '델마와 루이스'에서 주부 델마는 평범한 삶에 회의를 느끼고
친구 루이스에게 이틀 동안의 모험을 제안하지요. 'Well, look. Jimmy'll come in off the
road, you won't be there, and he'll freak out and call you like a hundred thousand
times...' '이봐, 지미는 여행을 멈추고 집으로 돌아올 거고, 네가 집에 없다는 사실에
완전히 맛이 갈 거라구. 수천만번이라도 더 너한테 전화할걸.' 즉, 'freak out'은 '흥분해서
맛이 가다.' '놀라서 제정신을 잃다'의 뜻입니다.
이번엔 'freak'의 다른 의미를 살펴 볼까요? 영화 'One Fine Day (어느 멋진날)'에서
멜라니가 자신의 입장을 잭에게 솔직하게 얘기합니다. 'I'm not like every other woman
you know.' '난 당신이 알고 있는 다른 여자들과는 틀려요.' You probably think I'm a
real control freak, and I'm not at all.' '당신은 내가 지배하기 좋아한다고 생각할지 모르
지만 전혀 아녜요.' 여기서 쓰인 'freak'은 '중독자, 열광자'를 뜻하고 'control freak'하
면 '지배하기 좋아하는 사람'을 말하며, 동사로는 'boss around'란 표현과 비슷하구요.
역시 'neat freak'하면 지나치게 깨끗함을 추구하는 사람, 즉' 결벽주의자'를 의미한답니다.
'Freak'가 얼마나 중요한지 이제 아시겠죠?
'꿀먹은 벙어리'에 해당하는 표현.
내가 물어보는 말에 묵묵부답, 대답이 없는 상대방. 화는 슬그머니 치밀어 오고 답답하기
만 합니다. 그럴때 우리말에 '꿀먹은 벙어리야?' '왜 갑자기 꿀먹은 벙어리라도 된거
야?'란 표현이 있죠. 영어에도 이와 딱맞는 재밌는 표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Why
aren't you answering me? Has the cat got your tongue?' 하면, '왜 대답을 안하는 거
야? 꿀먹은 벙어리라도 된거야?' 'Has the cat got your tongue?'을 직역하면 '고양이가
당신의 혀를 물어갔어요?'인데, 영화속에서도 무척 자주 등장합니다. 그럼, 하나 하나 예
를 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맥라이언 주연의 영화 '남자가 사랑할 때 (When a man loves a woman)'입니다.
앨리스의 알콜중독으로 인해 결국 마이클은 딸과 함께 따로 살기로 결정합니다. 무슨
영문인지 몰라 궁금해 하는 딸, 케이시가 물어봅니다. 'You going on a trip?' '여행가는
거예요?' 'Bad decision.' '잘못 결정한 거예요.' 그래도 아빠가 대답이 없자, 바로
이말을 하죠. 'Cat got your tongue?' '왜 말이 없어요?' 여기서처럼 구어체에서는
대부분 'Has the'를 생략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는 영화 '트레인스포팅'으로 가보죠. 랜튼은 디스코텍에서 다이앤이라는 매혹적인
여자를 발견합니다. 이름이나 고향을 물어보며 특유의 끼를 발휘해 보려 하지만 오히려
당하기만 하지요. '..Don't us girls just love that?' '우리 여자들이 그런걸 좋아할 것
같아요?' 랜튼이 말이 없자, 이렇게 다그치죠. 'Well, what's wrong, boy? Cat got your
tongue?' '이봐요, 뭐가 잘못됐나요? 왜 꿀먹은 벙어리가 되었죠?'
이번엔 마지막으로 재미있는 장면을 소개해 볼까요? 동화를 원작으로 한 영화 '스튜어트
리틀 (Sturt Little)'입니다. 스노우벨이라는 고양이는 어느날 갑자기 입양된 생쥐 한 마리
로 인하여 찬밥 신세가 됩니다. 그러다가 친구 고양이 몬티의 도움으로 뒷골목 고양이
보스인 스모키에게 스튜어트를 없애 달라고 부탁하게 되지요. 돌아오는 길에 스노우벨이
몬티에게 말합니다. 'Are you sure he'll keep this hush-hush?' '스모키가 이걸 비밀로
해줄까?' 'You kidding? Cat's got his tongue. Get it? Cat's got his tongue because
he's a cat!' '장난하니? 벙어리처럼 아무말 없을 거야. 알겠어? 자신이 고양이니까
당연히 자기 혀를 가지고 있겠지!' 처음의 'Cat got his tongue'은 배운 그래도 '꿀먹은
벙어리'를 뜻하나, 두번째에는 그 말을 패러디하여 표현한 것이 아주 재미있습니다.
자, 아주 쉽고도 재밌는 표현 하나 또 익히셨죠?
'덤벼봐, 한번 해 보자'의 영어 표현
영화 'Bring it on'을 아시죠? 깜찍하고 발랄한 치어리더들의 이야기. 그런데 혹시 'Bring
it on'의 뜻은 잘 아시나요? 영화를 보면서 그 뜻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공포영화를
패러디한 코믹 영화 '무서운 영화 (The Scary Movie)'입니다. 할로윈데이 축제를 마친
여러 친구들은 집으로 차를 몰던 중 사람을 치게 되고, 차에 치었던 사람은 다시 일어나
걸어가는데 우연찮게 그들이 던진 콜라병에 맞아 죽습니다. 그 사건 후로 경찰에 자수하자
며 서로 옥신각신 하는 장면입니다. 'Ray, you're a dead man.' '레이, 너 죽었어.'What?
You want to get buck-naked and wrestle?' '뭐? 다 벗고 레슬링이라도 하자는 거
야?' 'Bring it on, Ray.' '덤벼봐, 레이'
이와 같이 '한 판 해보자, 덤벼봐'란 뜻으로 'Bring it on'이란 숙어가 구어체에서 무척 잘
쓰인답니다. 이번엔 코메디 애니메이션 '쿠스코 쿠스코'입니다. 못된 이즈마의 계략으로
죽을뻔 한 쿠스코 대왕은 라마로 변신한 채 가까스로 목숨을 건지는데, 이번엔 맹수들을
피해 도망가다가 커다란 폭포를 만납니다. 'Let me guess. We're about to go over a
huge waterfall.' '가만 있자. 우리 지금 폭포를 건너야 하는거지.' 선한 농부 파차
왈, 'Yep' '그렇습죠.' 'Large sharp jagged rocks at the bottom?' '커다랗고 들쭉날쭉한
바위들이 밑에 깔려 있겠지?' 'Most probably.' '아마도 그럴 가능성이 크죠.' 'Bring it
on.' '어디 한번 해 보자구' 즉 '어차피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면 과감히 맞서 보자
구' 'Let's accept a challenge enthusiastically.'
이번엔 마지막으로 처음에 말씀드렸던 영화 'Bring it on'입니다. 서로 앙숙지간인
토로스팀과 클로버스팀이 미식축구시합을 하기전입니다. 'Why don't you let your
cheerleaders play for you? At least they win shit occasionally.' '니네 치어리더들보
고 너희대신 시합해 달라고 그러지? 쟤넨 가끔은 이기기도 하잖아.' 비꼬는 클로버스팀
에게 대꾸하는 토로스팀, 'Yeah, come on, bring it on!' '그래, 좋다, 덤벼라!' 마지막으
로 한마디, 'What makes you think english will be any harder? Bring it on!'
잘 쓰이면서도 생소한 형용사들
영화를 보다보면 한번씩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형용사들이 있습니
다. 'weird' 'groovy' 'pathetic' 등은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는 표현들인 것 같습니다.
그럼 하나 하나 정리를 해 보죠.
'weird'는 '상황이 유별나고(unusual) 뭔가 매우 이상할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I saw Jim working in the office today.' '오늘 짐이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더
군.' 'That's weird, he's supposed to be on vacation.' '그것 참 이상하네, 그 친구는
휴가중인데 말야.' 한가지 더. 'weird'에서 파생한 단어 'weirdo'는 '옷차림이나 행동이
유별나고 이상한 사람'을 말합니다. 'I wouldn't want to be left alone with him - he's a
real weirdo (=strange person).' '나 혼자 그 사람과 같이 있지 않을 거야 - 그 남자는
정말 이상한 사람이거든.'
'That's groovy!' 는, 상대방이 근사하고 흥미로운 예기를 할 때, '야, 그거 멋진데!' 하며
장단을 맞춰주는 표현으로 'Excellent!' 'Great!' 'Awesome!'등과 비슷한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I've decided to take a holiday and go to New Zealnd!' '휴가 받아서
뉴질랜드에 가기로 했어!' 'Groovy! I wish I was going!' '근사한데! 나도 갔음 좋겠다!'
'pathetic'은 사전상으로는 '애처로운, 연민의 정을 자아내는' 등의 동정적인 의미가
있으나, 실지로 구어체에서는 훨씬 부정적으로 '너무 형편없어서 어처구니 없고, 한심
하다'는 의미로 잘 쓰입니다. 예를 들어, 'Are you telling me you're frightened to speak
to her? How pathetic!' '그 여자에게 말하기가 겁난다는 겁니까? 정말 딱하네요.' 'It's a
bit pathetic when a thirty five year old man can't stand up to his own father.'
'35살이나 먹은 사람이 아버지에게 맞서지도 못하다니 좀 한심하다.'
정중하며 조심스러운 표현들
우리가 회화시 비교적 잘 사용하는 어구가 있지요. 'I think~' 'I need~' 'I want~' 'You'd
better' 등이 바로 그 예죠. 'I need your help.' '당신의 도움이 필요해요.' 'I want to talk
to you.' '당신에게 할 말이 있어요.' 'I think so.' '난 그렇게 생각해요.' 등등 무척 흔한
표현들이죠. 그런데 위의 문구들은 경우에 따라 무례하게 들리거나 우리의 반말
형태의 어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남발해서는 안되겠지요. 이번주에는 그 부분을
한번 짚어봅시다.
'I want to talk to you.'에서는 많이들 아시다시피 'would like to'를 써서 'I would like to
talk to you.'한다면 '당신과 얘기를 하고 싶어요.' 'I'd like to have a cup of coffee.'
'커피 한잔 마시고 싶네요.' 등과 같이 부드러우면서도 조심스러운 표현이 됩니다.
특히 이번에 강조하고자 하는 표현은 'I could use~' 입니다.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어구같지만 익숙해지지 않으면 당황하게 됩니다. 영화를 통해 그 쓰임새를 파악해
봅시다. 'Toy story2'의 마지막 장면에서 햄이 오락하다가 공룡 렉스에게 이런 말을
합니다. 'I could use a hand over here.' 직역하면 '이곳에 손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상하지요. 이 말은, '여기 손 좀 빌려줘.' '누가 좀 도와줬으면 좋겠어'란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I could use~'라고 말하면 'I need~' 'I want~'의 내용을 담은 희망사항을
포함하며 '~하면 좋겠어요.' 정도의 뜻이랍니다. '당신이 잠든 사이에'를 보면 루시가
피터를 지하철에서 구한후에 피터 가족들이 그녀를 약혼녀로 오해하는 일이 생기는
데요, 그때 피터의 할머니가 이렇게 말하지요. 'So, tell us how you met Peter.
We could all use a nice story. ' '어떻게 피터를 만나게 됐는지 얘기해 봐요. 우리 모두
멋진 얘기를 들었으면 좋겠는데.' 또한 '패치 아담스'의 월콧 학장처럼 사물을 주어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The auditorium could use a good cleaning.' '강당을 잘 청소
했으면 좋겠어요.' 이렇게 말이죠.
마지막으로 상대방에게 권유할때 잘 쓰이는 문구, 'Why don't you do that? '
'You'd better do that.' 대신 'You might want to do that.' 를 쓰는 것도 역시 한결
공손한 표현이 된다는 것 잊지 마셔요.
법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들.
미국영화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장면이 바로 법정에서의 공방 장면입니다. 법정
장면을 통해 결론에 도달하는 영화가 많이 있지요. 일반 회화에는 큰 도움이 되진
않지만 영화를 보며 '아, 이런 말이구나!'하고 잘 들릴 수 있도록 이주에는 법정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의 법정은 배심원제 (jury system)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형사사건
(criminal cases)은 배심재판 (jury trial)을 원칙으로 합니다. 민사사건 (civil case)
의 경우 판사 (judge)가 단독심을 하기도 하지만 배심재판을 택할 수도 있습니다.
증인으로 채택되어 법정에 출두할 경우 증인석에 앉기 전에 거쳐야 하는 절차가 있는
데 바로 진실만을 말하겠다고 선서 (oath)를 하는 것이지요. 'You may take the
stand.' '증언대에 서 주십시오.' 'Do you solemnly swear the testimony you are
about to give in this cause will be the truth, the whole truth, and nothing but the
truth, so help you God?' '본 사건에서 당신이 하고자 하는 증언이 오직 진실만을
말하는 것임을 하나님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까?' 이 말을 들으면 증인석에 선 사람은
'I do.'라고 대답하고 자리에 앉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선서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언
내용이 거짓임이 드러나면 위증죄 (perjury)로 기소 되죠.
제일 잘 등장하는 말은 바로 'Your Honor!' 사법권의 독립을 최대한 존중한다는 의미
가 들어있기 때문에 재판장을 부를때는 매번 'Your Honor!'란 호칭을 사용합니다.
재판중에 'Objection'하면 '이의 있습니다.' 이때 판사가 '이의 제기를 인정합니다.'
라는 말은 'Sustained.' 이의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는 'Overruled' 혹은 'Denied'
라고 합니다. '그는 유도 심문을 하고 있습니다'란 말은 'He's asking a leading que
-stion'이라 하고 남이 내놓은 안에 '제청합니다'는 'I second.'라고 하지요.
마지막으로 재판이 끝나면서 판사가 하는 말, 'Adjourn the court' '휴정합니다.'
잘 기억해 두시면 영화 보실때 귀에 쏙쏙 들어 올 겁니다
긴 표현을 짧게 줄여 쓰는 경우 (I)
속도가 생명인 현대 사회. 언어도 당연히 그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해야 겠지요.
이번 주에는 긴 표현을 짧게 구어적으로 줄여 쓰는 예, 그 첫째 내용을 주저리 주저리
할까 합니다. 먼저 숫자로 이루어진 짧은 말, '24/7'에 관해서입니다.
올해 최고의 애니메이션,'슈렉'을 보도록 할까요? 공주를 용의 성에서 구출한 슈렉과
당나귀는 공주를 파쿼드 성주에게 데려가는 도중 하룻밤을 묵게 됩니다. 우연히 당나
귀가 공주가 자는 동굴로 들어오게 되고, 공주의 흉칙한 모습에 당나귀 하는 말,
'What happened to you? You're a.. different.' '어떻게 된 거예요? 다른 모습이네요'
공주의 자초지종을 들은 당나귀가 공주를 위안합니다. 'You're not that bad. Wait,
wait, I'll not lie, you are ugly.' '그렇게 흉하지는 않아요. 아니, 잠깐만, 솔직하게
좀 못생기긴 했네요.' 'But you only look like this at night. Shrek's ugly 24/7'
'하지만 공주님은 밤에만 못생겼잖아요. 슈렉은 24/7(?)이예요' 여기서 '24/7'은 무엇
을 뜻할까요? 이 말은 '하루 24시간, 일주일에 7일 (24 hours a day, seven days a
week)'을 의미합니다. 즉, '항상, 늘'이란 뜻이지요. 따라서 위에서 한 말은 '슈렉은
하루 24시간, 일주일에 7일, 늘 못생겼어요.'란 뜻이겠죠. 그럼 발음은 어떻게 할까요?
당나귀가 하는 말을 들어보면 단순히 '24'와 '7'을 순서대로 읽어 준 것 뿐이네요.
참, 간단하고 재밌는 표현이지요? ^__^
이번엔 다른 영화 'Someone Like You'를 살펴 보겠습니다. 토크쇼의 진행자인 다이
앤이 여러 임원들을 모아 놓고 다그치고 있는 장면입니다. 'Ray, where are we on
interactive?' '레이씨, 웹싸이트는 어떻게 되고 있어요?' 'The website should be up
and running on Monday.' '월요일에는 다 준비되어서 운영되어야 하는데..' 이때
부터 다그침 시작! 'Not should be.. will be!' ''되어야 하는데'가 아니라 될겁니다!'
'We can not sell this show on the pissant advertising budget they've given us.'
'We need to be streaming 24/7...' '쥐꼬리만한 광고 예산 가지고는 우리 쇼가 팔릴
리가 없다구. 하루 24시간, 일주일에 7일 내내 스트리밍 비디오로 가야 한단 말이야.'
예를 하나 더 들어, 이 표현을 확실히 익혀 봅시다.
'Now, thanks to the Internet, we can get the lastest news 24/7!'
'이제 인터넷 덕분에 최신 뉴스를 언제나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에 계속 이어집니다. 기대하셔요! :+:+:schoolboy:+:+:
긴 표현을 짧게 줄여 쓰는 경우 (II)
작년에 이어 짧아진 표현들을 살펴볼까 합니다. ASAP란 말은 많이 들어 보셨지요?
'As soon as possible'의 줄임말로서 원래는 메모나 서류에 등장하는 말이었는데
차츰 일상용어로 자주 사용되게 되었다고 합니다. 발음은 '아삽'이 아니라 알파벳을
순서대로 읽어 주지요. 영화 'Mrs. Doubtfire'에서 로빈 윌리암스가 만화영화 더빙을
하는 첫 장면입니다. '911! 911! Police! ASPCA! ASAP!' '911! 경찰! 동물학대방지협회
요! 빨리빨리!' 새가 ?기면서 하는 말이죠. 'ASPCA'는 별로 중요치 않고, 그 다음의
'ASAP'는 급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이니 꼭 알아 두어야 겠죠. 하지만 다소
명령조의 느낌을 주므로 손윗사람에게는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야 겠죠.
'BYOB'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애니메이션 영화 'Bug's Life'를 봅시다. 엄청난 하퍼
일당과 싸워야 한다는 말을 들은 서커스 벌레들, 도망가려 하고 다급해진 플릭이
공주에게 작전을 짜야 한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Shouldn't I come too?' '저도 가야
하지 않나요?' 공주의 물음에 플릭 횡설수설합니다. 'No, it's classified D.M.Z.
Gotta go ASAP. You know, strickly BYOB' '비무장지대로 분류되어 있어 안돼요.
어서 서둘러 가야 해요. 아시다시피 술은 각자 가져 와야 하구요.' 다급한 나머지
이것저것 짧은말이란 말은 다 갖다 붙인 장면입니다. 여기서 'BYOB'는 'Bring Your
Own Bottle'의 약어로 각자 자신이 마실 술을 가지고 오는 파티를 말합니다. 우리에
게는 좀 생소한 파티 문화죠.
'MYOB'는 뭘까요? 현대판 스크루지 이야기 'The Kid'를 통해 살펴 봅시다. 어느날
우연히 만난 꼬마가 자신의 어릴적 모습이란 걸 발견한 주인공 러스. 꼬마는 러스와
같이 일하는 에이미라는 여성에게 물어봅니다. 'Amy.. will you marry me?' '에이미,
저와 결혼해 주겠어요?' 이에 러스, 우린 사귀지도 않는다고 발뺌하다가 'Since
when?' '언제부터?' 'MYOB' 'What?' '뭐라고?' 이때 에이미가 풀어 줍니다. 'Mind
Your Own Beeswax' '참견 말라는 거예요.' 내용이 좀 복잡해 보이는데 영화를 보시
면 무슨 말인지 아실 거예요. 여기서 'beeswax'는 'business'대신에 사용되었는데
속어라는 것 잊지 마시구요. 'MYOB'는 즉 'Mind Your Own Business, It's none of
your business.'를 뜻한다는 것 기억하세요.
비밀과 관련된 표현들 (I)
세상에 비밀 없는 사람이 어디 없겠습니까만, 제 생각엔 밝혀져야 할 비밀은 꼭 밝혀져야 하지만
반면에 숨겨둬야 할 비밀은 그 비밀이 꼭 보장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주저리!?)
비밀에 관련된 표현들도 영화속에서 무지 많더라구요.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Lion King'을 보면 '우리 둘만의 비밀로 하자'란 말이 나옵니다. 스카가 무파사를 죽이려고
계략을 꾸민후 심바에게 나무 밑에서 기다리라고 하는 장면입니다. 'Oh, and just between us,
you might want to work on that little roar of yours. Hmm?' '오, 그리고 이건 우리끼리의 비밀인데,
으르렁대는 연습 좀 잘하고 있거라, 알았니?' 'Between us' 'Just between you and me'
'Just between the two of us' 모두 '우리끼리의 비밀인데...'라는 뜻입니다.
‘비밀을 지키다’는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keep a secret’은 잘 아시겠지만 다른 표현은?
영화 ‘What woman want’에서 여자의 마음을 읽을 수 있게 된 닉은 정신과 의사를 찾아가
하소연합니다. ‘Let’s say I do believe you. That you can hear what women think.
Even though I am a grown woman of…(51) 47.’ ‘당신이 여자들의 생각을 들을 수 있단 말을
믿기로 합시다. 제가 비록 47살의 (마음속으로 51살) 성숙한 여자이지만…’ 이때 닉, 하는 말,
‘Oh, my lips are sealed.’ ‘오, (51살 이군요!) 비밀 지켜드릴게요.’ ‘My lips are sealed’ 즉,
‘내 입술이 봉해졌다’니까 ‘함구하겠다, 비밀을 지키겠다’는 재밌는 표현이지요.
영화 ‘Mars Attack (팀버튼의 화성침공)’에서는 이런 표현이 나옵니다. 화성인들이 지구로 착륙하고 대통령은
케이시 장군에게 이렇게 얘기하죠. ‘General Casey, you think you can handle it?’ ‘케이시 장군,
이 문제를 잘 처리할 수 있겠나?’ ‘I’d be proud’ ‘영광으로 생각하겠습니다.’ ‘Good, but keep
a lid on it’ ‘좋아, 하지만 꼭 비밀을 지키게.’ ‘Keep a lid on it’은 직역하면, ‘’그 위에 뚜껑을
꼭 닫아라’ 인데 역시 ‘비밀 새어나가지 않게 하라’란 뜻이 되겠지요.
다음에 계속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지난 시간에 살펴본 표현을 다시 한번 복습해 보겠습니다.
알파치노와 키아누 리브스가 주연한 영화 ‘데블스 에드버킷’입니다. 잘 나가는 변호사
케빈은 어느날 뉴욕에서 커다란 법률회사를 운영하는 밀튼을 만나게 됩니다.
밀튼은 케빈이 맡는 사건마다 승소하는 데에는 어떤 비밀이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I was sure you had a secret.’ ‘난 자네에게 비밀이 있었다고 확신했는데.’ 이에 케빈
순순히 고백하지요. ‘The men’s room. There’s a hole in the wall straight through
to the next room. I spent five years listening to juries deliberate.’ ‘남자 화장실이죠.
거기엔 그 옆방으로 바로 통하는 벽에 구멍이 있어요. 전 5년간을 배심원들이 심의하는
것을 들으며 보냈죠.’ 그러면서 당부하죠. ‘Just don’t repeat it’ ‘다시 그 얘긴 마십시오.’
이때, 밀튼의 한마디, ‘My lips are sealed.’ ‘내 입술은 봉해 졌다네’ 즉,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겠네, 비밀을 지키겠네.’ 이제 확실히 기억하시겠죠?
이번엔 반대로 ‘비밀을 누설하다’ ‘폭로하다’란 뜻을 가진 표현을 찾아 볼까 합니다.
영화 ‘Erin Brockovich’입니다. 에드와 에린은 주민들에게 크롬 성분으로 인한
힝클리 지역의 지하수 오염 실체를 알리고 있습니다. 한 마을 주민 의심스럽다는 투로,
‘If PG&E messed with our water, why would they bother saying anything about it
to us at all? Why not just keep quiet?’ ‘PG&E 회사가 우리 마을의 물을 오염시켰다면
왜 굳이 우리에게 그걸 말했을까요? 왜 감추지 않았죠?’ 변호사 에드의 답변,
‘To establish a statute of limitations.’ ‘공소 시효를 확보하기 위해서죠.’ ‘So, PG&E
figures… well, we’ll let the cat out of the bag… tell the people the water’s not
perfect.’ ‘그래서 PG&E사는 생각해 낸 거죠. 좋아, 가방에서 고양이를 꺼내 버리자?
그 물이 깨끗하지 않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말해주는 거야.’ ‘We’ll let the cat out of
the bag’은 바로 ‘어떤 사실, 비밀 등을 폭로하다’란 뜻을 갖는 재밌는 표현입니다.
이와 비슷한 표현으로 ‘spill the beans’가 있습니다. 영화 ‘At first sight (사랑이
머무는 풍경)’입니다. 에이미는 휴가 기간 동안, 시각장애인 안마사 버질을 만나고
특별한 감정에 휩싸인 채 회사로 돌아옵니다. ‘I met a guy’ 남자를 만났다는 말에
회사 동료이자 전남편이 ‘You met a guy! that's great, that's really great, that's super.’
남자를 만났다니! 정말로 잘 됐군. 잘 됐어... 정말로.’ 그러면서 하는 말, ‘So spill
the beans.’ ‘다 털어놔 봐.’ 에이미가 대꾸하기를, ‘Nothing to spill, you know…’
‘특별히 털어 놓을 건 없어…’ ‘spill the beans’하면 역시 ‘비밀을 발설하다’란 뜻을 가집니다.
‘let the cat out of the bag’은 우연히, 사고로 (by accident) 비밀을 누설하게 되는 것에
반해 ‘spill the beans’는 화자의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내기, 도박과 관련된 유용한 표현들
미국인들만큼 내기와 도박을 좋아하는 국민들도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말인지
그들의 언어 가운데 내기나 도박과 관련된 말들이 무척 많이 등장합니다.
우선 '내기하다' 란 뜻을 가진 'bet' 동사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I bet he will pass the exam.' 하면 '그 친구는 틀림없이 시험에 합격할 거야'란 뜻이며,
여기서 I bet…은 I'm sure… 또는 I assure you…로 바꿀 수 있는 말로 '내기를 걸어도
될 만큼 자신있게 얘기할 수 있다.'란 뜻을 내포합니다. 한편 'You bet'은 상대방의 질문에
'Certainly.' 'Sure'의 뜻을 강하게 나타내는 긍정적인 대답으로 잘 쓰입니다.
'Did you enjoy the party last night?' 'You bet we had a wonderful time!'
'정말 재미있었어' 또는 'I wonder if you could give me a hand.'와 같이 상대방이 도움을
청했을 때 기꺼이 도와 주겠다는 뜻으로도 잘 쓰입니다. 'You bet!' '도와 드리고 말구요.'
위의 표현은 일일이 영화를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자주 사용되니 꼭 알아 두어야 겠죠.
한편 'hit the jackpot'이란 표현이 있는데 이 말은 우리 말로 '땡잡았다' '뜻밖에 횡재하다.'
란 뜻이며 여기서 'jackpot'은 슬롯머신에서 동일한 그림 3개가 나란히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영화 'While you were sleeping'를 보면 피터의 가족들이 크리스마스 선물을 나눠 주는
과정에서 할아버지 사울이 선물을 받아 들고 즐거워하며 던진 말이 바로 'We hit the jackpot!'
'땡 잡았구나!' 이지요.
'Strong suit'란 말 들어보셨나요? 'suit'란 카드놀이에서 갖고 있는 한 조의 같은 패,
즉 다이아몬드나 하트, 카드를 말하고 'strong suit'는 이 중에서 끝수가 높은 패를 말합니다.
이것에서 유래되어서 'Strong suit'는 '전문 분야' '강점'이란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영화 'What Women Want'에서 찾아 보지요. 승진 소식을 기다리던 닉에게 사장은 여자의
세상이 도래했기 때문에 경쟁사의 여성을 스카우트했다는 말을 전해 줍니다. 'But it's woman's World
out there. And getting into a woman's psyche is not exactly your strong suit.' '하지만 여자들의 세상이
펼쳐져 있다고. 그리고 여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건 자네의 전문이 아니야.'
'When Harry Met Sally'에서도 식당에서 샐리의 남자친구에 대해 해리가 이런 식으로 짖굿게
몰아 세우지요. 'But humpin' and pumpin' is not Sheldon's strong suit.' '하지만 섹스는 쉘던(
샐리의 남자친구 이름)의 강점이 아니야.'
한편 영화 'Legally Blonde'에서 엘의 선배 에밋이 엘의 금발에 관해 이렇게 조언합니다.
'You know, being a blonde is actually a pretty powerful thing. You hold more cards than
you think you do.' '금발이란 게 큰 힘이 될 수도 있지. 생각보다 유리한 때가 많거든.' 여기서 'hold
more cards'는 직역하면 '더 많은 카드를 쥐고 있다.'이며 즉, '기회가 더 많다. 유리한 점이
더 많다.'란 뜻이 되는 겁니다. 카드 게임을 좋아하는 분에게는 쏙쏙 와닿는 말이겠네요.
그 밖에도 'put one's cards on the tabel' 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카드를 테이블에 내려
놓는 것이니까 '본색을 드러내다.' '솔직히 털어 놓다.'란 뜻이 됩니다.
이상과 같은 '내기, 도박'과 관련된 표현들, 생소하지만 꼭 알아 두시면 좋을 단골손님들이랍니다.
'알만한 사람이 왜 그래?' 의 영어 표현
우리는 어떤 사람이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충분히 알 것 같은 사람인데도 그러한 행동을
하였을 때, ‘알만한 사람이 왜 그래?’ 라고 다그치듯 말합니다. 이걸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영화 속에서 찾아보면서 그 실례를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Princess Diaries’를 보겠습니다. 영화 초반부, 학교가 보이고 일부 남학생들이
담벼락에 아슬아슬하게 걸터 앉아 있습니다. 이를 본 선생님 왈, ‘Jeremiah, off the wall, please.
Come on. You know better than that.’ ‘제레미! 벽에서 내려와, 어서. 넌 그보다
더 잘 알잖아.’ 여기서 ‘You know better than that.’을 직역하면 단순히 ‘넌 그보다 더 잘
알잖아.’가 되지만 그 뉘앙스는 ‘알만한 사람이 왜 그런 짓을 하니?’ 처럼 일종의 다그치는
목소리가 섞인 것입니다.
이번엔 ‘City of angels’의 마지막 장면입니다. 인간인 매기를 사랑한 나머지 천사의 신분을
포기한 세스. 하지만 매기는 교통사고로 죽고, 세스만 홀로 남았습니다. ‘Am I being purnished?’
‘내가 벌을 받은 걸까?’ 옆에 있던 동료 천사 카셀이 이렇게 말합니다.
‘You know better than that. That’s life. You’re living now. And one day…
you’ll be dying.’ ‘알만한 사람이 왜 그랬나? 그게 인생이야. 자네도 지금 살아 있잖아.
언젠가는 자네도 죽을 걸세.’ 즉, 인간은 누구나 죽음의 슬픔을 겪게 된다는 걸 알면서
왜 굳이 인간의 길을 택하는 어리석음을 범했냐는 말입니다.
영화 ‘Ghost (사랑과 영혼)’에서는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 영매 오다매가 영혼을 불러
들이는데, 엉뚱한 올란도라는 영혼이 그녀의 몸에 들어갑니다. 다시 빠져 나온 후,
쓰러지면서 하는 말, ‘I can barely move.’ ‘몸을 움직일 수가 없어.’ 이때 옆에 있던
다른 영혼이 다그치면서 하는 말이, ‘You should know better than that. Jumping into
bodies wipes you out.’ ‘잘 알고 그랬어야지. 남의 몸에 들어가면 힘이 빠지게 된다구.’
조동사 should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의 어리석은 행동이 낳은 결과에 대해 좀 더
나무라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해마다 선거철이 되면 후보들은 그럴싸한 공약들을 내세웁니다. ‘But that’s just a political
promise. Now we know better than to believe that!’ ‘하지만 그건 정치적 약속일 뿐,
이제 우리는 그런 약속을 믿을 만큼 어리석지 않습니다!’
출처 : http://cafe.daum.net/heraldedito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