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 계발

새로이
- 작성일
- 2020.1.19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
- 글쓴이
- 정주영 저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유튜브 공신닷컴 강성태님 추천으로 접하게 되었다.
이 책은 하버드 상위 1%인 엘리트로 뭉쳐져 있는 블랙다이아몬드의 사례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성공한 사례를 이야기하고 있다.
핵심은 이 책의 부제인 신호를 차단하고 깊이 몰입하라는 것이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우리는 주변에서 하는 여러 이야기들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런 이야기들에 의해 뇌가 지배당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신호들을 차단하여야 하고 무슨 일이든 한 가지 일을 오래도록 몰입하여 일하게 되면 훌륭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에 읽은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와 통하는 부분이다. 평균의 함정에 속지 말고 자신만의 열정을 쏟을 분야를 찾아 몰입하여 일하게 되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인데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핵심은 부정적인 신호를 차단하라는 것이다.
P62. 첫 번째 원칙. 다른 사람들이나 사건에 패하도록 자신을 내버려 두지 말자.
퀴리부인은 여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에서 벗어나서 보이지 않는 방사선을 연구하여 라듐의 분리를 발견하게 된다.
P.208 하버드에 입학하는 것은 30년 동안 3배 이상 힘들어졌다. 1980년대만 하더라도 대부분의 학생들은 AP 과목을 3개 정도 들었고 과외 활동은 3개 정도 했다. 하지만 요즘 학생들은 AP 과목을 8개나 듣고 과외 활동은 9개 이상 해줘야 한다. 좀 더 많은 과목을 완수했다면? 하버드 합격률이 높아진다.
우리나라도 동일한 것 같다. 예전에는 스펙 쌓기가 있지 않고 학력고사만 잘 보면 되는 시절이 있었고 요즘에 잘 알지도 못하는 여러 가지 입학 전형이 생겨났다.
P.212 AP 과목 9개보다 AP 과목 1개를 깊게 파헤치는 학생이 필요하다.
그것이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의 결론이다. 매캐덤이 도로 한복판에서 4만 킬로미터를 걷고 걸으며 또 생각했던 도로에 대한 '깊은 이해'는 모든 세상의 도로를 바꿀 만큼 혁명적인 힘이 되었다.
P.224 한 분야에서 가장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기간의 노력보다 노력의 정도가 같더라도 얼마나 장기간 그 분야에 몸을 담았는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은 수백 건의 논문들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P.250 매슬로는 우리 자신이 스스로를 먼저 평범하다고 생각하고 위대한 꿈을 품지 않는 모습을 '요나 콤플렉스'라고 부른다. 성서에 나오는 요나는 중대한 사명을 지우려고 그를 찾는 신의 부름에 겁먹고 도망치려 한 소심한 상인이다.
나 자신도 그동안 평범하다고 생각하는 요나 컴플렉스에 빠져 있었구나.
P. 260 월튼의 실험 (공부에 대한 생각)
1. 공부에 별다른 의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들
2. 공부를 할 때 자기중심적 목적이 강한 학생들
3. 배움의 목적을 두고 자신의 분야에 진실된 이해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
유의미하게 배움의 목적을 두고 자신의 분야에 진실된 이해를 가지는 모습이 보이는 학생들은 끝까지 지루한 공부의 과정을 견뎌냈고, 학업 성취도도 끝까지 일관되게 유지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P.276 월스트리트의 가장 인상적인 면접 (맥과이어)
대머리의 흑인으로서 월스트리트에 도전한 맥과이어 (흑인은 안된다는 선입견이 있는 면접관에게)
"월스트리트의 이렇게 치열한 전쟁 한복판에서 제가 당신이라면 이 정도 되는 지원자가 반대편의 기업에서 당신의 기업을 노리게 하는 것보다 함께하는 방향을 택할 것 같군요. 당신이 불합격을 찍으면 저는 당신의 기업을 노리러 갈 거니까요."
P.282 오늘날처럼 대학이 서열을 만들고 그 서열이 만드는 신호에 학생들이 익숙해지기 전에 학번 없는 평균적인 사람들이 근대화의 모든 혁신을 완성시켰다. 산업혁명 이후에 표준화된 엘리트를 양산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학에 모든 신호를 결집시킬 때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없는가? 오히려 미래의 역사학자들은 또 이렇게 평가하지 않을까? 학교 교육은 되려 창의적인 정신을 둔화시키는 데 이바지했을 따름이라고.
우리는 이제 첼시에게 열 과목을 모두 잘하게 요구하기보다 한 과목에 대한 깊은 이해를 찾을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호의 힘은 한 교실의 어두운 집단 속에서 테러리스트(세이겔)와 하버드 최연소 교수(더쇼비츠)를 만들어낼 만큼 치명적으로 강력하다. 그리고 그 신호를 이해하면서 깊은 이해를 더할 때 우리는 새로운 다쿠안을 만날 수 있다.
부정적인 신호는 차단하고 긍정적인 신호를 받아들여 깊이 몰입하라.
부정적인 남의 시선과 말에 휘둘리지 말고 긍정적으로 얘기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깊이 몰입하라.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