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침표

자목련
- 작성일
- 2016.4.13
두번째 봄
- 글쓴이
- 애거사 크리스티 저
포레
누군가의 보호를 받는 시절은 영원할 수 없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어른이 되는 순간 보호는 사라진다. 육체적인 성장뿐 아니라 정신적인 독립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혼을 하게 되면 어른으로 대우한다. 한 남자의 아내로, 한 여자의 남편으로 서로에게 부여된 의무와 책임을 받아들인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두번째 봄』은 여자에게 결혼이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
소설은 초상화가 래러비가 만난 서른아홉 살의 여자 셀리아의 인생이다. 절망의 순간과 맞닿은 셀리아의 이야기는 행복했던 어린 시절의 기억으로 시작한다. 선명하게 떠오르는 연보라색 아이리스가 기둥을 휘감은 것 같은 아기방의 벽지. 유모가 있었고 셀리아의 전부가 되었던 엄마 미리엄과 다정한 아빠, 유쾌하고 친절한 할머니. 모든 게 완벽했다. 동화 속 행복한 공주였던 셀리아의 삶에 불행은 없었다. 아빠를 잃었지만 셀리아는 걱정하지 않았다. 피아노와 성악을 배운 뛰어난 미모의 그녀에게 남자들의 청혼이 이어졌다.
평생 돌봄을 받았던 셀리아에게 결혼은 도전이었지만 군인 더멋과 함께 한다는 것만으로 이겨낼 수 있었다. 더멋은 멋진 남편이 될 것이고 딸 주디에게 최고의 아빠라 믿었다. 그러나 가정에 소홀하는 더멋을 바라보며 어린 시절 그랬듯 셀리아는 그녀만의 이야기를 만들며 혼자의 시간을 보낸다. 누가 불행을 예비하고 살겠는가. 때문에 미리엄의 죽음으로 힘겨운 상황에 마주한 더멋의 외도에도 기다림으로 응수할 수 있었다. 어쩌면 자신이 능동적으로 선택한 결혼이기에 맏아들일 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왜 자신에게 이런 일들이 벌어졌는지 감당할 수 없던 것이다. 셀리아는 소설 곳곳에 행복했던 어린 시절을 반추하는 것으로 성장이 아닌 도피를 원했다.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 때까지 추억과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두려움을 상대하는 보통의 사람들이 그러하듯이.
우리네 인생엔 목적지를 입력하면 소요 시간을 알려주는 길 찾기 앱이 없다. 다양한 길을 발견하고 걸어봐야 한다. 변화가 주는 놀라운 힘을 경험해야 한다. 셀리아가 자신의 길을 찾기 위해 방황하고 두번째 봄을 맞은 것처럼 말이다. 악재라 말하는 아홉 수를 견디고 다시 성장을 위해 돌아간 그녀. 소설은 애거사 크리스티의 자전적 소설이다. 초상화가 래러비가 그림이 아닌 글로 셀리아를 묘사하듯 추리소설가가 아닌 애거사 크리스티라는 한 여자의 생을 읽는 것이다.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상처와 좌절을 견디고 추리 소설의 여왕으로 두번째 봄을 맞은 그녀의 황홀한 비상은 우리에게 내면의 성장을 선물한다. 맹렬한 추위의 끝에 얼굴을 내미는 환한 봄처럼.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