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rkfkaeoe
  1. 기본 카테고리

이미지

도서명 표기
두 얼굴의 무궁화
글쓴이
강효백 저
이담북스(이담Books)
평균
별점8.8 (29)
rkfkaeoe
우리나라 국화가 무궁화로 전해진 이유가 명확히 독립운동가들이 정해진 꽃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국화로 어떤 꽃이 어울릴까?

실은 우리나라 종의 벚꽃은 어디에서나 예쁘게 피어나고 그래서 였을까? 역사 선생님중에는 우리나라가 제대로 국화가 정해졌다면 벚꽃이었을거란 말씀을 하셨었던 기억이 난다. 일본 국화아닌가요? 어린 시절 아이들의 물음에 우리나라 토종 벚꽃은 일본의 무력화에 식민지 시절에 많이 베어지고 베어져서 얼마 남지 않았다고 전해들었고 그들이 국화로 벚꽃을 정하기 위해 우리나라 벚꽃이 너무나 아름다워서 베어버린 역사를 이야기하셨더랬다.

어느 순간 잊고 있었던 국화에 대한 이야기다. 강효백저자의 글에서 우리나라의 진실과 일본의 진실들이 빼곡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정하지 못하고 있는 건지, 너무나 안타깝고 우리나라 국민으로써 아이들에게 부끄럽기까지하다. 아이들에게 자랑스럽게 무궁화가 우리나라 꽃이라며 노래부르고 우리는 무궁화를 보면서 뿌리 깊은 민족 애국심을 다시 되새기곤 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를 상징하는 국화에 대한 논란은 지금 미래를 향해 달리고 있는 시점에서 역사는 매우 중요하다.국화에 대한 논란이 있다는 사실에 우리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해 이 책은 국가상징을 바로 잡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우리에게 무궁화에 대한 사실을 소개하고 있다.

우리의 고유한 꽃은 아니었던 무궁화라고 한다. 일본의 상징인 꽃에 가까운 무궁화는 어떻게 우리나라의 국화가 되었는지 알아야 한다.

무궁화는 일본이 치밀하게 확장시킨 꽃이라고 한다.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변함없이 우리나라의 꽃으로, 국가를 상징하는 국화로만 남기고 있다는 점이 안타깝다.

역사적인 판단과 사실에 관심을 갖는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민족과 조상이 겪은 일본 식민지의 시절의 왜곡된 역사가 있다면 그만큼의 세월이 길었던 만큼, 많은 부분에서 바뀌어야 할 것을 바로 잡아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상징인 국화가 무궁화로 남겨야 하는지 우리가 지금 생각해보아야 한다.

#두얼굴의무궁화 #국가상징바로잡기#강효백#김원웅#이담북스#문화충전200#서평단#서평단모집#서평이벤트#무궁화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ddddskim

    작성일
    2020. 9. 5.

  2. 대표사진

    computech

    작성일
    2022. 6. 6.

rkfkaeoe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4.2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5
    좋아요
    댓글
    196
    작성일
    2025.5.1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6
    좋아요
    댓글
    171
    작성일
    2025.5.1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9
    좋아요
    댓글
    127
    작성일
    2025.5.1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