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쭈미쭈미
- 작성일
- 2023.11.24
초등 5, 6학년 공부의 정석
- 글쓴이
- 권태형 외 1명
북북북
6학년은 중학생이 얼마 안 남았구나 하는 생각이 큰데요. 그러다보니 엄마 속만 끓게 되더라고요.
그리고 초등 5학년이 되면 아이 말투와 행동도 예전 같지 않다는? 뭔가 느껴질 때가 많죠? ㅠ0 ㅠ
이 때의 참을 인은 진짜 아이가 어릴 때의 행동의 참을 인과는 다른 기분일 거예요. 그때는 뭐 ㅋㅋ도장 새기듯 참을 인이면 초등고학년때는 진짜 인두로 지지는 듯한 느낌의 뜨거우면서 묵직한 참을 인이 팍팍 새겨질거예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어떻게 하면 잘 갈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초등 고학년( 5,6학년) 자녀를 분 육아맘을 위한 솔루션 이 책 한 권이면 되요
< 초등 5,6학년 공부의정석> 으로 아이를 이해하고 또 반드시 키워야할 역량이 무엇인지, 공부 기초체력을 만들면서 중등가서도 무너지지 않는 방법들이 상세하게 담겨져 있어요.
초등 저학년 아이들의 실력은 '종이 한 장' 차이 입니다. 단원평가 준비를 얼마나 햇는지, 평소에 얼마나 규칙적인 습관을 들여 공부했는지에 따라 성적이 결정되죠. 하지만 초등 5,6학년에서는 지금까지 잘해왔다고하더라도 사춘기를 잘 넘기지 못하고 주저 앉게 되는 아이도 있고요. 지금 까지 해왔던 실력이 진짜가 아니라 거품이 되는 아이일 수도 있어요.
지금부터 해도 늦지 않았고, 기본기를 잘 갖추어 중학교에 진학해서 그때 꽃을 피우는 아이들도 있어요.
저학년 때 부터 이어온 잘못된 학습 패턴을 과감히 버리고 지금부터라도 제대로된 공부를 시작해야할 골든타임 입니다.
사춘기 아이를 공부시키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부모-자식 간의 관계에서 '공부'가 질책의 수단이 되는 순간부터 서서히 관계에 금이 생기게 됩니다.
아이들의 불안은 나름대로 심각합니다. 아이는 공부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도 부모는 그의 행동에 양이 차지 않고 공부를 핑계로 아이의 행동이나 외모 등에 간섭하며 잔소리하는 경우가 많죠
그럴 때 아이는 '엄마아빠는 나한테 공부 말고는 할얘기가 없는건가? ' 혹은 '내가 성적이 나쁘면 사랑해주지 않는건가?' 라고 생각할수 있다고 해요.
그러니 일단 지금 시기에 공부가 중요한 것은 알겠지만 아이와 관계가 더 우선이라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해요
본 책의 들어가며 파트 에서 2아이의 이야기를 보면서 나도 아이에게 잔소리보단 기다림을 할 수 있을 까 싶었네요
초등 사회 ,과학 생각지도 못하게 의외로 많은 포기자가 나오는 과목인데요.
최근 초5를 중심으로 '사포자'가 다수 생겨나고 있어요. 3-4학년군에 비해서 같은 시수 성취기준의 수가 무려 2배으로 다루는 영역과 범위 자체가 엄청나게 넓어지고 있어요. 초5-2학기 사회는 정말이지 아이들이 질려버리는 사포자 생성의 일등공신이래요.
아이가 사회공부에 대해서도 좀 더 집중을 해야하며 디테일한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으로서 중고등 때 다시 배울 사회 과목 맛보기를 하는 정도로 학습목표를 잡아요.
과학도 마찬가지로 흥미로운 관찰과 실험만으로는 부족해지는 시기이므로 교과서의 내용도 과학용어(어휘) 표와 그래프 해석이 점점 중요하니 늦어도 초4 겨울방학부터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수업의 내용을 깊이있게 이해하기 어렵다고해요.
이 책에서는 학업성취도 (높음/낮음)과 자기주도성(수동,능동)에 따라서 4그룹을 나눠봤는데요.
지금 아들은 거의 수동적이긴 하지만 자신의 실력과 나름 성실함으로 좋은 성적을 유지하고 있는 중이거든요. 거기다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는 돌다리형 아들램!
잘하고 싶은 마음은 알겠으나 돌이켜보면 저도 아이에게 크게 칭찬하지 않았어요 ㅠㅠㅠ칭찬이 입에 베이질 않네요. 어제도 수학 단원평가지 점수에 속상해서 크게 혼내기도 했네요. ㅠㅠ 아무튼 이 책을 통해서 우리아이의 특성에 따라서 공부 혹은 자녀교육을 어떻게 이끌어야하는지 생각해보는 시간이였어요,
초등 중학년 까지는 주요 과목 수학에 비해서 독서(국어)와 영어 학습 시간이 훨씬 길었습니다. 수학 학습을 본격적응로 진행하지 않았다면 하루 20분, 교과문제집 2장정도만 시켰다면 이것은 현행 잘 따라가는 수준이예요. 하지만 어려워진 제학년 수학, 중등 대비 수학 시간 투자를 좀 더 해야 하는 때입니다.
교과서 수준 이라면 매일 15분씩 , 응용수준이라면 매일 10분, 심화수준이라면 5분 더 투자해야 해요.
심화 학습하는 시간은 초 5,6학년기준으로 90분 이상, 방학중에는 120분 이상 매일 학습하는 것을 추천해요
이번 겨울 방학 때 초등고학년 아이 공부 태도 및 방향에 있어서 도움이 되었고요 꼭 엄마표가 정답도 아니고 학원도 정답도 아니라 다각도로 내 아이에게 어떤 맞춤설계를 하는지 그리고 읽고 끝나는게 아니라 실천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나와있어서 도움이 된 시간이였네요
* 본 리뷰는 업체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된 후기 입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