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saminbooks
  1. 종교

이미지


 


콤플렉스(complex)


 


 


 


여러분은 콤플렉스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여러분이 갖고 있는 콤플렉스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일단 콤플렉스가 무엇인지 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콤플렉스(complex)
란?


 


 


 


콤플렉스라는 개념을 정신분석병리학 용어로 처음 사용한 것은 S.프로이트의 정신분석요법의 단서를 열었던 J.브로이어입니다. 그는 ‘개념복합체 Ideenkomplex’라 말합니다. 그러나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가장 강조한 것은 C.G.융(칼 구스타브 융)이었습니다.


그는 언어연상(言語聯想) 테스트에서, 자극어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시간의 지연, 연상불능, 부자연스런 연상내용이 그가 말하는 ‘감정이 담긴 복합체’에 유래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습니
다. 예컨대 ‘죽음’이라는 자극어에 이상한 반응내용과 반응시간의 지연을 나타낸 인물이 부친에 대하여 마음 속에서 격렬한 공격감정을 품고 있어, 그것은 부친의 죽음을 바랄 정도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경우 따위입니다. 이 때 마음 속의 부친에 대한 격렬한 공격감정이 ‘감정이 담긴 복합체(콤플렉스)’입니다. 즉, 어떤 감정에 의해 통합된 심적 내용의 집합인 것이지요. 융은 단순히 ‘콤플렉스’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융에 의하면, 병자든 건강인이든 누구나 콤플렉스를 품고 있으며, 의식적인 경우와 무의식적인 경우가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모두 습관적인 의식 상태 혹은 의식적인 태도와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콤플렉스는 무의식화되면 될수록 강력한 것이 되어 병리성을 지니게 됩니다.


 


융은 다중(多重)인격도 콤플렉스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며, 부분인격과 콤플렉스는 거의 같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와 같이 융의 콤플렉스 개념은 매우 광범하여 오늘날 우리가 어떤 일에든 콤플렉스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은 융에 의하면 반드시 잘못은 아닙니다.


 
 


 


한편, 콤플렉스란 간결하게 ‘마음속의 응어리’라고도 정의합니다. 프로이트가 제창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거세(去勢) 콤플렉스는 유명한 말이나, 프로이트 및 그 이후의 정신분석자는 콤플렉스라는 명칭을 좋아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프로이트는 콤플렉스란, 이론적으로 만족스런 개념이 되지 못한다고 하며, 함부로 여러 가지 콤플렉스를 끄집어내는 것은 심리학적 유형화에 빠지게 되어 증례(症例)의 특수성을 무시하게 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오늘날 정통 정신분석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은 위의 두 가지 콤플렉스 개념입니다. 각종 콤플렉스는 보통 유년기(幼年期)의 갈등상황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유년기의 갈등상황에서나 그 후의 관념표상(觀念表象)에서 반복회귀(反復回歸)하므로 일련의 콤플렉스가 노출됩니다.



콤플렉스 용어 설명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콤플렉스는 누구나 갖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는 융! (두번째로 올라가있는 사진의 인물이라죠)


 


 


인간이라면 흔히들 갖고 있지 않을까요? 얼굴의 코가 낮은게 콤플렉스야, 자신감이 없는게 콤플렉스야 등...외적이거나 내적인 부분 등 전부~


 



△ 왼쪽부터 세계 4대 성인 : 예수/석가/공자/마호메트


 


인간이었던 예수도 사실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세계 4대 성인 중 한 명인 예수에게 콤플렉스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기독교인들에게 모독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석가, 공자, 마호메트도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


이점은 그들이나 우리 자신들이나 별반 다를 것 없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만나게 됩니다.


 


근데 이들 성인의 콤플렉스는 성인이나 범인이나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마찬가지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들이나 우리 자신이나 별반 다를 것 없기 때문이죠.


 


다르지 않지만 콤플렉스 극복을 통해 성인이 될 수 있었던 예수.


 


사실 십자가에서 처형을 당하지 않아도 되었지만, 예수의 콤플렉스는 십자가를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최후를 불러들였습니다.


 


그런데 이 길은 예수 이외에는, 다른 살마이 대신 가줄 수도 없는 '예수만의 길'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는 그런 최후를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예수는 새롭고 보다 높은 관계로 승화될 수 있었습니다. (톨스토이의 말)


 







 


사생아 구설수에 시달렸던 갈릴리 나사렛의 목수 요셉의 아들 예수는, 이제 콤플렉스와 화해한 열반의 예수, 해탈의 예수로 부활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바야흐로 세계정신으로 우뚝 서고 있었다. 십자가에서 우뚝 선 것처럼.


 


- 「7장 예수의 최후와 콤플렉스의 완성」 중에서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기에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던 예수.


그리고 극복하였기에 그는 성인이 될 수 있었습니다. 


 


예수는 어떤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던 것일까요? 어떻게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일까요?


삶을 살아가는 에너지로 만든 그, 콤플렉스라는 약점을 오히려 '강점'으로 만들었던 예수의 이야기.


 


그 자세한 내용은 <예수의 콤플렉스>에서 확인하세요~!


 



 


 


- <예수의 콤플렉스>는 현 개신교 목사 송상호 목사(더아모의 집 청소년 쉼터 건물을 직접 짓고, 활동하지만 쫓겨나기도 합니다)의 책입니다.


 


 







예수의 콤플렉스


송상호 저
삼인 | 2011년 06월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saminbooks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1.7.2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1.7.29
  2. 작성일
    2011.7.2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1.7.28
  3. 작성일
    2011.7.2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1.7.28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170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142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30
    좋아요
    댓글
    57
    작성일
    2025.4.3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