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장수
  1. 여러 이야기

이미지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3대 왕인 유리 이사금이 6부의 이름을 짓고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 성을 내려 주었는데, 양부는 이씨, 사량부는 최씨, 모량부는 손씨, 본피부는 정씨, 한기부는 배씨, 습비부는 설씨라 하였다. 

그러나 실제 신라에서 성이 쓰이는 것은 법흥왕 이후의 일로 위 기록은 하위 귀족을 이룬 집단들이 자신의 경주 편입 역사가 길고 성을 쓸만큼 높은 계급임을 남기기 위해 후대에 첨삭 기록으로 만든 듯하다. 

거기다 삼국사기 등 여러 기록을 바탕으로 보면 6두품 신분들은 한 번에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시간의 흐름과 함께 차츰 나타났다. 

1. 삼국시대 말기 : 손씨, 설씨 

2. 통일신라 초, 중기 : 이씨, 배씨, 정씨 

3. 통일신라 중, 말기 : 최씨 

또한 일반적으로 진골 성으로 알려지고 있는 김씨 중에서도 6두품 신분들이 확인되는데, 이들은 본래 6두품 김씨로 출발한 집단과 진골 김씨의 서자로 6두품이 된 집단으로 구분된다. 물론 진골 성으로 알려진 박씨, 가야계 김씨 등도 6두품 신분으로 밀려난 경우가 보여진다. 

즉 6두품이라는 개념이 우리의 인식과는 달리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가 있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6두품 성은 중국 성씨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듯 하다.

우선 설씨의 경우 중국의 북위 효문제가 한화정책을 펼치면서 선비족에게 성을 부여할 때 고, 원, 설 등의 성이 많이 쓰였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삼국통일 시기 활약한 당나라 장수 이름으로도 설인귀가 있다. 설인귀는 대단한 명성을 얻어 한 때 황해도에는 그를 모시는 사당까지 있었다고 하니 그만큼 설이라는 성에 대한 관심도 컸을 것이다. 

최씨, 이씨, 정씨의 경우는 당 태종 시절 만든 씨족지에 등장하는 관동 4성 명문가인 노씨, 최씨, 이씨, 정씨에서 영향을 받은 성이다. 배씨도 중국 하동지역 명문가인 배씨 가문을 바탕으로 구성된 듯하다. 

이처럼 6두품 성들이 중국의 유명 성씨를 기본으로 만들어 졌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의 교류가 잦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진골 다음가는 귀족 집단들의 성씨로 연결된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떤 식으로 신라 내에서 활약하였을까? 

이 이야기는 반응을 보아 2탄에서..




< width="100%" src="http://api.v.daum.net/widget1?nid=52884489" frameborder="no" height="90">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목연 공식계정

    작성일
    2014. 2. 14.

  2. 대표사진

    그림자장수

    작성일
    2014. 2. 14.

    @목연

그림자장수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7.2.11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17.2.11
  2. 작성일
    2017.1.3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7.1.30
  3. 작성일
    2017.1.15

    좋아요
    댓글
    3
    작성일
    2017.1.15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0
    좋아요
    댓글
    223
    작성일
    2025.5.2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9
    좋아요
    댓글
    158
    작성일
    2025.5.1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1
    좋아요
    댓글
    96
    작성일
    2025.5.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