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자미원국
  1. Wish List

이미지

이것은 미신이 아닌 과학이다.


어떤집이 건강할까 아침밥을 꼭 먹는집.


어떤집이 건강할까 화장실문을 꼭 닫고 사는 집 왜?


아침밥이야 모두 다 아는 사실이고 그럼 화장실은 무슨 까닭일까.


한국전통사상가들은 그런다 집안에서 가장 음기가 강한 곳이 화장실이고 그 중에서도 음기가 강한 곳이 변기라고,..


과학자들은 그런다 화장실의 변기에 세균이 많은데 변기뚜껑을 열고 살면 이것들이 화장실은 물론 화장실문을 열어놓았을 경우엔 점점 번져 1초1초 지나며 세월이 가듯 알게모르게 시름시름 집안을 시름하게 한다고..


즉,동양사상이든 서양과학이든 변기뚜껑과 화장실문은 항시 닫아두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정 열고싶으면 환풍기를 틀든가 창문이 있을 경우 창을 열라는 이야기다.


그건 니 생각이고란 분이 계시면 예를들겠다.


이슬람에선 돼지고기를 먹지않는다. 또 돼지꿈을 꾸면 바로 복권방으로 달려간다 왜?


베드위족등 사막의 유목민들은 이동을 하는데 만일 돼지를 기를 경우 이동에 차질이 생겨 생활에 지장을초래해 교훈으로 내려오던 것이 어떤땐 어떻게 해야한다는 교조적인 명령이 되어 아예 종교적 경전화 즉 바이블이 되어버렸다.


그러나 농본사회에서는 돼지는 주는대로 다먹고 새끼도 많이 낳는다 다산의 상징으로 풍요를 뜻한다. 사람이든 돼지든 많으면 그만큼 부자가된다는 이야기다. 또 닭똥은 비료로선 최고지만 땅을 궃게해 농사를 망치게할 우려가 있는데 여기에 돼지똥을 섞으면 그런일이 말끔히 해소가 된다. '집가'자도 지붕밑에 돼지가 있는 형상이니 그만큼 농본사회에서는 신주단지 같은 존재로 취급해 이것이 꿈에나오면 꿈속부터 환호성을 지르는 것 아이가.


우리 전래 동화에는 쥐나 구렁이가 많이나온다.


요즘에도 어느 집에 구렁이가 어떻게 되었다는 이야길 가끔 듣는다.


그럼 구렁이는 어떤 의미일까.


요즘이야 곡식이 흔해 음식 아까운줄 모르고 그걸 자식에게 가르쳐주는 것 자체를 잊어버린 골 빈 부모들이 많지만 예전엔 곡식이 금보다 더 귀한 시절도 있었다.


오죽했으면 쌀은 특권계급만 먹었으며 평생 고깃국에 쌀 밥 한 번만 먹어봤으면 이야기가 있었을까


'광'이란 곳이 집집마다 있었다. 또 초가집의 지붕은 구렁이가 서식하기에 안성맞춤인 환경이었는데 광에 곡식을 쥐가 먹고 그 쥐를 구렁이가 먹는데 광에 곡식이 줄면 먹을거리를 찾아 쥐가 집을 나가고 쥐가 없어지면 먹이를 찾아 구렁이도 떠나니 구렁이가 그 집에서 나오면그 집이 망하다는 이야기가 그래서 생긴 것이다.


모든 일엔 원인가 결과가 있다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우리나라 세시풍속에 정초에 여자가 다른 집에 가면 안된다는 것도 다 이유가 있다.


음야오행에서 여자는 음 남자는 양인고 새해첫날엔 양이 시작된는 날인데 음을 대표하는 여자가 그 집을 방문하면 그 집의 양기를 상쇄시켜 1년간 그 집을 쇄하게 한다는  이야기다.


새해아침밥.백설기.돌잔칫날,생일밥,흰실 다 이유가 있다.


그럼 젓가락과 포크는 어떨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젓가락은 농경민의 상징이요 포크는 유목민의 상징이다.


지금 우린 '빨리빨리'를 모토로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냈다. 그런 우리들에게 30년이란 시간은 정말 긴 시간이 아닐 수 없다.


그 동안 서양문물은 들어왔지만 서양의 예의범절은 같이 들어오지 못했다.


곡식이 금보다 더 귀한 시절도 있었을 것이다.


오죽했으면 쌀은 특권계급만 먹었겠는가 평생 고깃국에 쌀밥 한 번만 먹어봤으면 이야기가 있었겠는가..


옛날엔 잘살던 못살던 '광'이란 곳이 집집마다 있었다. 또 초가집의 지붕은 구렁이가 서식하기에 안성맞춤인 환경이었는데 광에 곡식을 쥐가 먹고 그 쥐를 구렁이가 먹는데 광에 곡식이 줄면 먹을거리를 찾아 쥐가 집을 나가니 쥐가 없는 집에서 구렁이도 떠난다 구렁이가 그집에서 나오면 그 집이 망한다는 이야기가 그래서 생긴것이다.


모든 일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다. 우리나라 새시풍속에 정초가되면 여자가 다른 집에 가면 안된다는 것도 다 이유가 있다. 음양오행에서 여자는 음 남자는 양인데 새해는 양이 충만한 날인데 새해 아침부터 여자가 그 집에 가면 1년의 재수를 모조리 없앤다는데서 조심한다는 의미이다.


새해아침밥도 생일밥도 돌잔칫날 흰실,백설기,백의,백마강,백록담 다 이유가 있다.


그럼 젓가락과 포크는 어떨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젓가락은 농경민의 상징이요 포크는 유모민의 상징이다.


유럽을 휩쓴 반달족이나 훈족도 유목민인데 그들의 문화가 서양의 포크로 남아있는 것이다.


그럼 동양은 왜 포크가 없을까


너무 오랫동안의 농경문화 때문이라해도될까 그럼 흔적이라도 있어야지 있다.


순대와 육포 말위에서 생활하던 그들은 내려서 쉬면 전투에 지장을 주기에 게데스라는 전튁량을 말위에서 먹었고 그게 조금씩 변하여 순대가 된 것이다.


육포야 말할 필요도 없고 신라 기마토용의 뒤세 쇠솥이 붙어있지않은가 다 이유가 있다.


또 유목민족은 새로운 곳에 빨리 정착을 하고 적응을 해야하기에 현지에 더 집중을 하는 습성이 있다 거기서 유래한게 냄비근성이다.


지금 우리 '빨리빨리'를 모토로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냈다. 그런 우리들에게 30년이란 정말 긴 시간이 아닐수 없다.


그 동안 서양문물은 들어왔지만 서양의 예의범절은 같이 들어오지 못했다.


나이프와 포크는 무기적개념이 아닌 그런 것을 적절히 균형을 가지고 다룰때 우리의 생활이 얼마나 풍요로워지고 존중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서양예의범절인 것이다.


포크와 젓가락을 같은 통에 넣고 쓴다.


즉, 융화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이제는 뒤도 좀 돌아보고 옆도 좀 돌아볼 때가 되지 않았을까


건강의 시작이 변소,변기뚜껑 닫기부터 시작해서 화장실문 닫고 살자는 이야기에서 젓가락과 포크로 마무리했다.


원인과 결과를 알고 그것을 음미해보면 더 풍요로운 삶을 사는데 도움이되지 않을까해서 심심풀이삼아 써보았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미원국님의 최신글

  1. 작성일
    5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5시간 전
  2.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7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97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58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15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