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카를
- 작성일
- 2004.11.2
파우스트 2
- 글쓴이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저
민음사
헬레나 비극으로 대표되는 파우스트의 2부이다. 1832년 83살의 나이로 죽기직전에야 완성된(?) 아니 수정이 포기된 2부는 , 1800년 헬레나 -에피소드로 시작되어 다시 괴테의 손을 떠나기까지 32년을 기다린 셈이다.
헤르더를 알기까지 괴테가 과연 무슨 얘길하는지, 왜 이런 집필태도를 가졌고, 또 파우스트에 이리도 집착한 이유를 짐작하기는 어려웠다. 헤르더와 괴테가 공유한 방황과 진보의 사상이 내겐 이런 의문에 어느 정도 이해할만한 답변을 주었다. 파우스트는 왜 계속 헤매고 다니나? 그것이 인간 보편적 탐구와 삶의 원리이기 때문이다. 또한 괴테의 삶이기도 하다. 그의 소설가, 정치가(관리?), 화가, 기술자(과학자?)의 편력과 같이 파우스트는 인간 삶의 해답을 원하며 헤맨다. 해답은 놀랍게도 나선형의 진보적 방황 자체다. 결코 마지막부분의 볼테르적인 황무지개척이 아니다. (사실 그는 거기서조차 농지합병을 반대하는 노부부와 나그네 살해의 배후가 된 자신에게 괴로와 한다)
여기에 또 하나의 재미가 있다. 어떤 택일적 결론이 아닌 변증적 발전의 한가운데 개인은 방향감각을 잃고 고통스러워한다는 것이다. 그래도 그는 제대로 살고 있다는... 기승전결로 역사는 진행하지 않으며 이런저런 방황을 해서 훌륭한 인생을 마감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최선을 다해 아름답다 뭐 그런거다. 고전주의도 낭만주의도 아닌 태도를 견지하는 변증적 태도도 그렇고(헬레나와 파우스트의 산물, 오이포리온 자기 한계를 벗어난 이 예술의 총화는 그러나 자멸한다), 물로 인한 생성도 불로 인한 생성도 아닌 만물의 생성원리도 그렇다. 인간오성의 상징 호문쿨루스가 갈라테아의 옥좌에 부딪쳐 진리를 드러낸다. (사면은 온통 불에 싸여 흘러내리네요...물이여 만세 불이여 만세) 인간은 모른다. 알 수도 없다. 죽어야된다 이유도 없는 인생. 그래서 실제 죽으려한다. 파우스트도 베르테르처럼...파우스트가 발견한 인생은 찾으려 노력하는 그 자체에서 변증적 이유를 획득하는 삶이다. 괴테의 83년은 그래서 치열하고 정처없어 보이기까지하다. 그가 이런 진보적 방황의 삶을 보이고자 전세대에서 질서파괴적 탐구자인 파우스트를 그 주인공으로 삼은 점은 그래서 기가 막히게 놀라운 캐스팅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접근도 재미있다. 파우스트의 방황을 괴테 삶과 맞추어보는 거다. 인생의 이유가 쾌락인가? [즐기는게 인생야 짜샤] 젊은 시절의 괴테다. 정치가 모든 문제의 열쇠인가? [정치가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선다. 짜짠] 장년의 괴테다. 고전과 낭만의 조화 [예술의 세계가 우리에게 삶의 궁극적 이유를 보여줄 것이다] 이탈리아에서 돌아온 괴테다. 삶의 이유는, 묻지말고 남에게 득이 될 일을 묵묵히 [수행]하는 것인가? [ 자신에게 주어진 땅을 일구라. 끝, 볼테르] 계몽시대와 나폴레옹으로 인한 살상 그리고 반동의 시대에 노년을 살아간 괴테다. 변증적 파우스트는 이 모든 것이 다 틀렸다고 반기를 들고, 그래도 성공이라고 선포한다.
헤르더 책을 읽고 썼던 독후감이다.
[그래서, 이제 실수와 방황이 있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는한 역사의 흐름은 승리를 보장한다. 인간성의 실현을 위해 새로운 기술의 발명은 실수와 오류에도 불구하고 다듬어져 진보를 이룰것이다. 이성과 정의가 승리한다. 방황은 있으나 패배는 없다는거다]
이것이 파우스트에게도 잘 어울리는 결론인 듯하다. 결론은 맘에 안든다.
헤르더를 알기까지 괴테가 과연 무슨 얘길하는지, 왜 이런 집필태도를 가졌고, 또 파우스트에 이리도 집착한 이유를 짐작하기는 어려웠다. 헤르더와 괴테가 공유한 방황과 진보의 사상이 내겐 이런 의문에 어느 정도 이해할만한 답변을 주었다. 파우스트는 왜 계속 헤매고 다니나? 그것이 인간 보편적 탐구와 삶의 원리이기 때문이다. 또한 괴테의 삶이기도 하다. 그의 소설가, 정치가(관리?), 화가, 기술자(과학자?)의 편력과 같이 파우스트는 인간 삶의 해답을 원하며 헤맨다. 해답은 놀랍게도 나선형의 진보적 방황 자체다. 결코 마지막부분의 볼테르적인 황무지개척이 아니다. (사실 그는 거기서조차 농지합병을 반대하는 노부부와 나그네 살해의 배후가 된 자신에게 괴로와 한다)
여기에 또 하나의 재미가 있다. 어떤 택일적 결론이 아닌 변증적 발전의 한가운데 개인은 방향감각을 잃고 고통스러워한다는 것이다. 그래도 그는 제대로 살고 있다는... 기승전결로 역사는 진행하지 않으며 이런저런 방황을 해서 훌륭한 인생을 마감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최선을 다해 아름답다 뭐 그런거다. 고전주의도 낭만주의도 아닌 태도를 견지하는 변증적 태도도 그렇고(헬레나와 파우스트의 산물, 오이포리온 자기 한계를 벗어난 이 예술의 총화는 그러나 자멸한다), 물로 인한 생성도 불로 인한 생성도 아닌 만물의 생성원리도 그렇다. 인간오성의 상징 호문쿨루스가 갈라테아의 옥좌에 부딪쳐 진리를 드러낸다. (사면은 온통 불에 싸여 흘러내리네요...물이여 만세 불이여 만세) 인간은 모른다. 알 수도 없다. 죽어야된다 이유도 없는 인생. 그래서 실제 죽으려한다. 파우스트도 베르테르처럼...파우스트가 발견한 인생은 찾으려 노력하는 그 자체에서 변증적 이유를 획득하는 삶이다. 괴테의 83년은 그래서 치열하고 정처없어 보이기까지하다. 그가 이런 진보적 방황의 삶을 보이고자 전세대에서 질서파괴적 탐구자인 파우스트를 그 주인공으로 삼은 점은 그래서 기가 막히게 놀라운 캐스팅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접근도 재미있다. 파우스트의 방황을 괴테 삶과 맞추어보는 거다. 인생의 이유가 쾌락인가? [즐기는게 인생야 짜샤] 젊은 시절의 괴테다. 정치가 모든 문제의 열쇠인가? [정치가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선다. 짜짠] 장년의 괴테다. 고전과 낭만의 조화 [예술의 세계가 우리에게 삶의 궁극적 이유를 보여줄 것이다] 이탈리아에서 돌아온 괴테다. 삶의 이유는, 묻지말고 남에게 득이 될 일을 묵묵히 [수행]하는 것인가? [ 자신에게 주어진 땅을 일구라. 끝, 볼테르] 계몽시대와 나폴레옹으로 인한 살상 그리고 반동의 시대에 노년을 살아간 괴테다. 변증적 파우스트는 이 모든 것이 다 틀렸다고 반기를 들고, 그래도 성공이라고 선포한다.
헤르더 책을 읽고 썼던 독후감이다.
[그래서, 이제 실수와 방황이 있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는한 역사의 흐름은 승리를 보장한다. 인간성의 실현을 위해 새로운 기술의 발명은 실수와 오류에도 불구하고 다듬어져 진보를 이룰것이다. 이성과 정의가 승리한다. 방황은 있으나 패배는 없다는거다]
이것이 파우스트에게도 잘 어울리는 결론인 듯하다. 결론은 맘에 안든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