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한산성

seyoh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9.9.29
5C 백제온조왕이 처음 하남 위례성에다 도읍을 정했으나, 온조대왕 8년 춘2월 말갈3천이 위례성을 공격함에 따라 온조대왕 14년 춘정월 한산으로 천도. 663 신라 문무왕(文武王)3년 한산주에 속함. 672 문무왕 12년 당병(唐兵) 을 막기위해 한산주(漢山州) 동봉(東峰)에 토성으로 축성 주장성(晝長城) (일명 일장산성:日長山城)이라함.: 940 고려태조(太祖)23년, 광주라는 지명 확정. 1595 조선 선조(宣祖)28년, 남한산성 축성을 계획했으나 계획대로 진행되지 못함. 1621 광해군(光海君) 13년, 남한산성을 경도보장지(京都保障地)로 정하고 후금(後金)의 침입을막고자 토성을 석성으로 개축하기 시작. 1624 인조(仁祖)2년, 대대적인 국가사업으로 수축하여 인조4년(1626)4월에 준공, 이괄(李适)의 난을 치르고 후금국의 위협이 증가하자 수도의 보장지책으로, 가까운곳에 축성을 해야한다는 조정공론이 본격화 되어 총융사(摠戎使)이서(李曙)에게 축성을 명, 8도의 승군을 동원하여 기존의 망월사,옥정사외에 7개의 군막사찰을 새로 축성하고 남한산성을 석성으로 개축. 1626 광주읍치를(廣州邑治)를 산성으로 이전 1636 인조14년, 병자호란시 인조가 산성으로 피난하여 항전. 1638 인조16년, 백제시조 온조대왕과산성축성당시 책임자였던 이서의 영혼을함께모신 사당이 건립, 이후 정조19년(1795)숭열(崇烈)이라 사액. 1672 현종(顯宗)13년, 부윤 이세화(府尹 李世華)가 지수당(地水堂)건립. 1686 숙종(肅宗)12년, 봉암외성(峰巖外城) 축조. 1688 숙종 14년, 유수 이세백(留守 李世白)에 명하여 삼학사의 충혼을 위로하기위한 사당건립, 숙종 19년(1693) 봄에 현절(顯節)이라 사액. 1719 숙종 45년, 신남성(新南城) 축조 1751 영조(英祖) 27년, 유수 이기진(留守 李箕鎭)이 왕명을 받아 서장대(西將臺)위에 2층 누각을 세우고 외편은 '수어장대(守禦將臺)'내편(內扁)은'무망루(無忘樓)' 라 함. 1788 정조12년, 부윤 이태영(府尹 李泰永)이 서장대를 본떠 남장대에 2층 누각 증축 1798 정조 22년, 유수 홍억(留守 洪憶)이 행궁 외삼문(外三門)의 문루로서 한남루(漢南樓) 건립. 1804 순조(純祖)4년, 유수 김재찬(留守 金載瓚)이 관어정(觀魚亭) 건립 1817 순조17년, 유수 심상규(留守 沈象奎)가 좌승당(坐勝堂)건립. 1894 산성 승번제도 폐지로 산성관리가 소홀해짐. 1895 갑오개혁으로 모든제도가 개혁되면서 광주군으로 개편. 1905 남한산성에서 일제의 무기화학 수거령거부. 1907 일본군에 의한 무기화약 폭파로 남한산성의 문화재훼손 1963 님한산성의 성곽을 중심으로 산성리 산 일원을 국가사적 제 57호로 지정. 1972 수어장대를 경기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1호로,숭열전을 제2호로, 청량당을 제3호로, 현절사를 제4호로, 침괘정을 제 5호로,연무관을 제6호로 각각지정. 1983 경기도 문화재자료 지정: 지수당을 제14호로, 장경사를 제15호로 각각지정. 1989 망월사지를 경기도 지정 기념물 제111호로, 개원사지를 경기도 지정 기념물 제119호로 각각 지정. 1997 행궁지를 경기도 지정기념물 제164호로 지정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