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yoh
  1. 기독교 자료

이미지






파도가 어떻게 생기는지 좀 알려주세요^^


 



1. 서론
파도가 생기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마는 크게 세가지가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달의 인력,
둘째는 바람이죠.


셋째는 특수한 경우입니다만 지진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이 외에도 선박이나 산사태, 화산분출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파랑이 발생합니다.


 


2. 파도 생성 요인



2.1 달의 인력


달의 인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상당히 큽니다.


그래서 이로인해 생기는 현상이 조석(Tide)인데요..


달의 인력 때문에 간조와 만조가 하루에 2번씩 생기게 되는 것을 의미하죠.


이는 파도라기 보다는 사실 Flow(흐름)에 가깝습니다.


워낙 주기가 길어서 그냥 강물처럼 흘러가는 것처럼 보이지요...
그래서 이를 가리켜 조류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넓은 의미에서 보면 조류 또한 파고(H)와 주기(T)를 갖고 있으므로 파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구분해 장주기파라고 합니다. 주기가 긴 파라는 것이죠..


 


조석은 지역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주기는 보통 하루에 2번입니다.
인천같은 경우 조위차(조위의 2배)가 9m 정도 되는데 정말 어머어마한 것입니다.



우리 키가 2m라고 했을 때 9m면 5배 정도는 되겠네요..


이게 주기가 12시간이라서 다행이지 주기가 1분이나 2분 정도로 짧았다면
우리 인간이 살 수 있는 육상지역이 많이 한정되었을 것이고
맛있는 물고기 요리도 먹기 힘들었을 겁니다.


 


2.2 바람(기상)
우리가 흔히 말하는 파도는 주로 바람에 의해 생기게 됩니다.
바람이 생기는 원인은 기압차와 지구 자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이니까
사실 파랑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볼 수 도 있습니다.


 


바람이 어떻게 그렇게 큰 파랑을 만들 수 있을까 궁금하실 수도 있으실텐데요..
바람이 해수면을 따라 불게 되면 마찰이 발생하면서 해수면을 요동치게 만듭니다.
태풍시에 집채만한 파도가 해안가로 몰아치게 되는 원인이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여담입니다만.. 파고를 간단하게 예측하는 기법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세가지가 요소가 입력값으로 들어갑니다.


1)풍속, 2)바람 지속시간, 3)풍역이 미치는 거리


 


 1) 지속시간의 중요성 : 바람이 강하다고 해도 지속시간이 짧으면 파랑은 중간에 소멸되고 맙니다.
 2) 풍역의 중요성 : 세숫대야에 대고 바람을 불어봐야 파고는 어느 이상 증가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이면서 외해에 비교적 열려 있는 형태라 큰 파고가 많이 발생하지요..


 


2.3 지진


지진에 의해서도 파랑이 발생하는데요.. 이를 가리켜 전문용어로 쯔나미(지진해일)라고 합니다.


 이는 바람에 의한 파도와 달리 특수한 경우에 생기는 현상이기 때문에 별도로 구분합니다.


 


지진해일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진에 의해서 해저면의 지각이 갈라지면 단차가 발생합니다.


 


심해에서는 1m 정도 밖에 안되는 단차라 할지라도(심해에서는 해일이 발생했는지 잘 못느낍니다.)


육상에 도달하면 수심이 낮아지기 때문에 파고는 집채만하게 변하게 됩니다.


조석과 달리 주기가 짧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지요..


 


특히 지진이 많은 일본에서는 이 때문에 피해가 종종 발생한다고 합니다.


얼마전 인도네시아에서도 지진해일 때문에 많은 사람이 죽었지요..


이는 조석에 비해 주기가 짧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큰 파가 발생해 피해가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3. 기타


우리는 파도를 감상적인 면에서 바라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도를 보고 있으면 마음이 가라앉고 감상에 젖기도 하지요..


 


그렇지만 바다에 종사하는 사람의 입장은 상당히 다릅니다.


 


사실 제가 바다와 관련한 업에 종사하고 있는데요..


그 부분에 대해서 간략하게 언급하면 이렇습니다.


 


파도는 해상 공사를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수중에 하나입니다.


해상공사에서는 파도 때문에 공사비가 많이 올라갑니다.


출렁거리기 때문에 공사하기도 어렵지요.. 그래서 육상과는 다른 장비들이 사용되어 집니다.


 


해상에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에 파도에 대해 예측하고 이를 기초로


구조물을 설계해야만 합니다.


구조물의 높이가 10cm만 높아져도 부지의 면적이 클 경우 공사비는 어마어마한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공사비가 크다고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침수로 인해 인명 재산상의 피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아.. 그러니깐 짧게 말씀드리자면요,.....

바다는 항상 일정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며 이를 해류라 한다. 바다는 하루 2차례씩 밀물과 썰물을 반복하여 물의 흐름이 생기므로 파도가 생긴다. 또한 바람이 불때 바다 표면과 바람 사이에는 마찰이 생긴다.
바람이 불면 마찰에 의해 바다 물은 밀리게 되는데 이것이 파도이며, 이때 밀물 썰물이나 해류와 부딫치면 더욱 큰 마찰로 더욱 높은(큰) 파도가 된다. 바람이 세게 불면 불수록 마찰과 충돌은 커지므로서 파도는 더욱 커지는 것이다. 이는 배가 지나가면서 생기는 물결도 파도가 일어나는 이치와 비슷하다. 배의 추진력에 의해 물을 밀고 나가면(바람의 마찰에 의해 물이 밀리는 것도 유사함) 이때 물결이 생기고 밀물 썰물과 부딫치면서 파도가 일어난다.


그외에도 바다의 지형 (구불구불한 ) 그리고 해류(물이 움직이는경로) 기타 여러가지 요소로 물살이 일어난다. 하지만  물살의 움직임일뿐 실질적으로 파도의 직접적인 영향은 바람이다. 또한 바닷속에서 지진등이 생겨도 아주 큰 파도가 일어난다.  (동남아에 쓰나미 해일 )이로인해 많은 사람이 죽었으며  그정도로 큰 파도가  지진때문에 일어난다. 


 


일부는 달 등 지구 주위에 있는 행성들과 위성들의 인력에 의해도 생기며,


 


아주 일부는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서도 생긴다.


 


 


 


 


^^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seyoh님의 최신글

  1. 작성일
    18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18분 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5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5시간 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2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2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6
    좋아요
    댓글
    170
    작성일
    2025.5.1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9
    좋아요
    댓글
    135
    작성일
    2025.5.1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6
    좋아요
    댓글
    88
    작성일
    2025.5.1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