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yoh
  1. 역사 속 - 이것이 궁금하다

이미지

북송 휘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송 휘종
Huizong.jpg
북송의 제8대 황제
재위 1100년 ~ 1125년
이전 황제 철종
다음 황제 흠종

송 휘종(宋 徽宗, 1082년 11월 2일 ~ 1135년 6월 4일)은 북송의 제 8대 황제(재위 : 1100년 ~ 1125년). 시호는 체신합도준렬손공성문인덕헌자현효황제(體神合道駿烈遜功聖文仁德憲慈顯孝皇帝)이며[1] 휘는 길(佶). 제6대 황제 신종의 아들로 예술방면으로는 북송 최고의 한 사람이라고 손꼽힌다.







목차



[편집] 생애


송나라북송 신종의 열한번째 아들로 태어났지만, 1100년 2월 형 철종이 대를 이을 아들이 없는 채로 25세의 일기로 붕어하자, 동생인 휘종이 황제로 즉위한다. 중신들은 다른 황태자에 의한 황위 계승을 바랐지만, 황태후 향씨(欽聖憲肅皇后)의 뜻에 따라 휘종에게 권좌가 넘어갔다. 치세 초에는 온건한 신법파로 황태후의 신임이 두터웠던 증포를 중용하고, 증포는 신법과 구법 양파로부터 인재를 등용하고, 신법과 구법의 다툼을 가라앉히고 점진적인 개혁을 진행했다. 하지만 신법파의 채경(蔡京) 등의 책동에 의해 증포는 실각하고 채경이 집권하면서 상황은 반전된다.


[편집] 예술가로서의 휘종


문인, 화가로서 휘종의 재능은 높게 평가되고, 송대를 대표할만한 인물의 한 사람으로 손꼽는다.


책의 분야에서는 송나라의 4대가라 일컬어지는 소철, 황정견, 채양 등의 4사람을 열거하는데, 휘종과 그의 재상이던 채경도 포함될 수 있다. 휘종은 금체라고 불리는 필체를 만들기도 했다.


수금(휘종의 호)체라고 칭해지는 독특한 서체를 만들고, 회화로는 사실적인 원체화를 완성하여 풍류천자라고 칭해졌다. 현재 휘종의 친필은 극히 귀중한 문화재가 되어 있으며, 일본에 있는 도구도는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편집] 황제로서 휘종


그러나 황제로서의 휘종은 문인의 재능에 한 치도 미치지 못했다. 스스로 예술을 식량이라고 할 정도로 정원 조성에 이용할 큰 암석들을 백성들을 동원하여 나무를 밀게하여 남쪽의 대운하를 사용하여 운반하게 했다(화석강 )또 예술 활동의 자금 만들기를 위해,수호전의 악역으로 유명한 채경이나 내시 동관(童貫) 등을 등용하고 백성들에게 중과세를 부과했다.


신종, 철종 때는 왕안석(王安石)의 신법을 이용하여 국가재정을 건전화 시켰지만 , 휘종은 그것을 스스로의 사치를 위해 이용하였던 것이다. 토지를 측량할 때에는 기존보다도 짧은 길이를 이용하고, 그것에 의해 발생한 잉여 논밭을 강제적으로 국고에 편입하거나, 매매계약서가 애매한 토지를 몰수하는 등 무리한 수단도 취했다.


이와 같은 악정에 시달린 백성들의 원한은 높아져서, 방랍의 난이라고 하는 농민 반란이 연달아 일어났다. 이러한 반란 지도자의 중에는 산동에서 활동한 송강(宋江)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이것을 모델로 하여 탄생한 것이 명 시대의 소설 수호전이다.


[편집] 정강의 변


1121년(선화 3년), 금나라송나라와의 맹약에 의해 요나라를 공격했지만, 북송은 방랍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강남에 출병 중이었고, 휘종 자신의 결단력도 부족해 요나라에 대한 출병이 지연되었다. 다음해 겨우 북송은 북방에 출병하여 요나라의 천조제가 있는 연경을 공격했다. 송나라 군대는 연이어 패배를 당하고, 성과를 올릴 수 없자 송군의 지휘관 동관은 금에 원군을 요청. 해상의 맹에 의해 금나라는 장성 이남에 출병하지 않기로 약속하였지만, 송나라의 요청에 의해 출병하여 순식간에 연경을 함락시켰다. 이 결과 맹약대로 연운16주 중 연경 이남의 6주는 송나라에 할양되었지만, 금군은 연운 이북을 약탈하고 연운 16주의 백성들도 금나라로 이주시켰다. 그 때문에 이곳에서는 세수를 징수할 수 없는 상태에 빠졌다. 또한 금은 연경 출병의 댓가로 은 20만냥, 비단 30만 필, 전 100만관, 군량 20만석을 요구했고, 북송은 이것을 수락하지 않을 수 없었다.


1125년(선화 7년), 송나라연운16주의 일부 반환에는 성공하였지만, 금에 점령된 나머지 주의 탈환을 계획하고, 요나라의 패잔군과 몰래 금을 합공 하기로 획책했다. 그러나 이 음모는 금에 발각되어 금나라 태조 아골타(阿骨打)가 송나라로 출병하는 사태를 초래한다. 당황한 휘종은 자기칙당(自己則當)(사직서와 같은 것)을 내어 퇴위하고, 장남인 황태자 조환(흠종)을 즉위시켜 태상황이 되었다. 금군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개봉에서 탈출했지만, 흠종에 의해 되돌아 오게 되었다.


1126년(정강 원년) 금나라개봉을 함락시키고, 휘종과 흠종은 동시에 금나라에 끌려가게 되었다(정강의 변). 금나라는 정신이 혼미하다는 의미로 휘종에게 혼덕공(昏德公), 흠종에게는 중혼후(重昏候)이라는 모멸적인 칭호를 붙였다. 휘종은 1135년(소흥 5년) 현재의 헤이룽장 성 의난현에서 54세로 사망했다.


[편집] 가족



  • 부황 : 북송 신종

  • 모후 : 진미인(陳美人), 흠자황후(欽慈皇后)에 추존됨

  • 황후 : 현공황후 왕씨(顯恭皇后 王氏)

  • 황후 : 현숙황후 정씨(顯肅皇后 鄭氏)

  • 황후 : 명달황후 유씨(明達皇后 劉氏)

    • 8남 : 익왕 역

    • 11남 : 기왕 모

    • 18남 : 신왕 진

  • 황후 : 명절황후 유씨(明節皇后 劉氏)

  • 황후 : 현인황후 위씨(顯仁皇后 韋氏)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seyoh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9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45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154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