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 - 심리 상담 및 치료

seyoh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4.8.28
카렌 호나이의 정신분석
: 신경증적 갈등에 대한
Karen Horney 저/이희경 등역 | 학지사 | 원제 : Out Inner Conflicts
이 책은 국내에 그리 많이 소개되지 않은 카렌 호나이의 "Our Inner Conflict" 번역서이다.
호나이는 독일의 신경증 환자들과 미국의 신경증 환자들이 많은 부분에서 서로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고, 사회문화적인 힘과 성 역할(sex role)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발달이나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정신분석 이론을 발표하였다. 또한 인간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어린 시절 안전에 대한 욕구(safety need)가 만족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호나이의 이러한 이론은 미국의 다른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근본적인 불안은 에릭슨(Erickson)의 '기본적인 불신(basic mistrust)'의 개념에 영향을 주었고, 참자아의 개념과 자기실현은 매슬로(Maslow)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성역할과 여성의 성에 대한 그녀의 저서들은 정신분석이 남성 학자들의 독무대라는 선입관을 깨고, 1960년대부터 시작된 여성주의운동에 힘입어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프로이트 이후 가장 독창적인 정신분석학자 중 한 사람인 카렌 호나이는 지금은 친숙한 개념이 된 소외, 자기실현, 이상화된 이미지 등에 대한 연구를 개척하였으며, 정신분석에 문화와 환경의 중요성을 접촉시키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서로 The Neurotic Personality of Our Time, New Ways in Psychoanalysis, Neurosis and Human Growth, Self Analysis, Feminine Psychology 등이 있다.
제1부 신경증적 갈등과 분석의 시도
1. 신경증적 갈등의 해악
2. 근본적인 갈등
3. 사람들에게 향함
4. 사람들에게 맞섬
5. 사람들에게서 멀어짐
6. 이상화된 이미지
7. 외현화
8. 인위적 조화로의 보조적 접근
제2부 해결되지 않은 갈등의 결과
9. 공 포
10. 성격피폐
11. 절 망
12. 가학적 경향
ㆍ결어: 신경증적 갈등의 해석
-------------------
"우리는 순종적인 유형을 분석할 때 강하게 억압된 여러가지 공격적인 성향을 보게 된다. 지나치게 타인을 배려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타인에 대한 무관심, 반항적인 태도, 무의식적으로 타인에게 기생하거나 이용하려는 경향, 타인을 조종하려는 경향, 타인보다 뛰어나기를 바라거나 또는 보복적인 승리를 즐기고 싶은, 참을수 없는 욕구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억압된 욕구는 당연히 그 종류와 강도가 다양하며, 이는 부분적으로는 어렸을 때 겪은 사람들과 좋지 않은 경험에서 발생한다." - 책중 한부분-
카렌호나이도 어릴때의 좋지 못한 경험이 불안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그녀의 말에 따르면 순종적인 것은 마음 내부에서 일어 나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표현방식일뿐 본심은 아닐수 있다라고 한다.
그리고 사람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개인의 역사에서 사람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해왔는가를 보는데, 외적 관계가 아니라 내적인 관계를 파악해야 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부모님 말을 잘 듣는 딸이 있다고 하자.
외적으로 착한 딸이다.
그런데 내적으로는 부모님의 사이가 좋지 않기 때문에 말을 듣지 않으면 가정이 깨어질수 있다라는 불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부모님을 말을 잘들었다. 라고 한다면,
보이는 외적 형식은 착한 딸인데, 내적형식은 자신을 희생하면서, 부모님이 해어질지 모른다는 불안을 가지고 살았다고도 볼수 있다.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내적갈등을 혼자 짊어지면서 긴장하면서 살아온 개인의 역사를 가진다. 자라면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이러한 것이 확장되어 질수 있다.
정신분석이란 개인의 역사(내적 감정의 역사)에 대한 고찰일수도 있겠거니 라는 생각이 든다.
다르게 적용한다면, 컴퓨터 오락에 중독된 어린이가 있다고 하자.
일반적으로 컴퓨터오락이 주원인이라고 여긴다.
그런데 컴퓨터 오락을 많이 하는 어린이가 다 중독되지는 않는다.
호나이의 이론(내가 이해한)으로 보면, 불안을 가진 어린이가 그 고통을 잊기 위해서 오락을 할때 중독될수 있다고 생각할수도 있다.
해결책이 컴퓨터오락을 못하게 하는 것보다. 어린이가 가진 불안을 찾아내서 해소해주는 측면이 중독을 해소하는 더 좋은 방법이 될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책은 페이지도 작고, 글자도 크다. 한번 읽어 보면 살아 가는데 도움이 될것 같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