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문학(人文學)에 관하여

seyoh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4.10.7
아이러니’(irony)
겉으로 표현한 내용과 속마음에 있는 내용을 서로 다르게 말함으로써 강렬한 인상을 주는 반어법입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졌을 때 ‘슬프다’는 그저 그런 표현입니다. 하지만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는 슬픔 이상의 감정을 숨기고 있는 것입니다.
아이러니는 ‘숨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유로니아’(euronia)에서 유래한 말로 ‘반어(反語)’란 뜻입니다. 그리스 희극에 나오는 인물 ‘에이론(eiron)’은 약하지만 무지(無知)를 가장해 어리석은 허풍장이 ‘알라존(alazon)’에게 승리하는 데서 그 의미가 나왔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이러한 반어를 이용해 상대방의 논리적 허점이 드러나도록 해 상대방의 무지를 폭로하는 방법을 활용했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제자인 플라톤은 그의 철학 저서 <대화편>에서 이를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라고 말했습니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658477.html?_fr=mt3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