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배(紙背)를 철(徹)하라

seyoh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4.11.28
알랭 바디우 - <사도 바울>
그의 글에서 '정체성'과 '정체화'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7쪽
어떤 율법이 모든 정체성을 결여한 주체, 어떤 한 사건 – 주체가 그것을 선언하고 있는 사태 외엔 아무런 증거도 없는 – 에 걸려있는 주체를 구조화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었다고
18쪽
정체성을 갖지 못한 주체와
28쪽
문제는 정체성 지향적이고 공동체주의적인 범주들이
예를 들어 나치즘처럼 철두철미하게 정체성 지향적인 정권들은 호전적이고 범죄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프랑스의 공화주의적 정체성
32쪽
바울은 결코 어떤 법적인 범주들이 그리스도교 주체를 정체화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노예들, 여성들, 온갖 직종과 국적의 사람들이 아무런 제한도 특권도 없이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 위의 글들에서 정체성이라 함은 일단 아래 단어 해설중 첫번 째(正體性) 것이겠다.
그러면, 위의 맨 마지막 문장에서 '정체화" 라는 말은 正體化 인가?
정체성(正體性)[정ː체썽]
[명사] 변하지 아니하는 존재의 본질을 깨닫는 성질. 또는 그 성질을 가진 독립적 존재.
정체성(停滯性)[정체썽]
[명사] 사물이 발전하거나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한곳에 머물러 있는 특성.
- 좋아요
- 6
- 댓글
- 1
- 작성일
- 202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