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sisachina
  1. ━ 중국 현지 A to Z

이미지



 


 





 


 


 


“하나의 국가, 두 개의 체제(一國兩制: 일국양제)”라는 말만큼 홍콩과 중국의 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이는 1997년 영국에 이양되었던 홍콩의 자치권이 중국에 반환됨으로 건국 이래로 ‘하나의 중국’을 일관되게 고수해 온 중국이 홍콩을 통치하기 위해 내세운 정책인데요. 중국과는 달리 이미 자본주의 체제에 속해 있는 홍콩을 중국이라는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되 자치를 인정한다는 의미입니다. 홍콩은 반환된 이후‘중화인민공화국 홍콩(香港) 특별 행정구’라는 정식 명칭을 가지게 되었고, 엄연히 하나의 중국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밤에도 밝은 홍콩의 야경


(출처: http://photo.naver.com/view/2009101820085857716)


 


 


홍콩은 여전히 사회주의와 계획 경제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과는 달리 156년 간의 오랜 시간 동안 영국의 통치 아래에 있었던 홍콩은 이미 시장 경제와 자유 민주주의의 흐름 아래 거대한 국제 경제 시장과 무역 시장을 가진 곳 중 하나입니다. 이처럼 그 기본적인 틀부터 다른 중국과 홍콩이 하나의 체제로서 운영되는 것은 분명 어려운 일일 것입니다. 이 밖에도 분명 중국과 홍콩이 가지는 차이점은 많을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오늘은 중국과 홍콩, 홍콩과 중국이 어떻게 다른지 하나씩 짚어가며 알아보도록 할까요?


 


 


<읽기 전 손가락을 눌러주는 센스!!>


 



 


 


 


 


중국과 홍콩에 차이점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클릭 ☞


 


홍콩,대만,싱가포르는 중국이다? 중국이 아니다? (1부)
http://blog.naver.com/chinasisa/20115123970


 


 


 


 


                              1. 상징(象徵, symbol)                           


 


 


세계 모든 나라들은 국기나 국화 등 자신의 나라들을 대표하는 상징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태극기나 무궁화 등이 될 텐데요. 그렇다면 “하나의 국가”인 중국과 홍콩의 상징은 같을까요? 정답은 “No” 입니다.



중국의 국기는 모두 아시는 것과 같이 빨간 바탕 위에 다섯 개의 별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오성홍기(五星紅旗 – 다섯 개의 별로 이루어진 빨간 깃발)’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죠. 반면, 홍콩의 구기는 빨간 바탕은 동일하나 가운데에는 하얀색 꽃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 꽃은 홍콩을 상징하는 바우히니아라는 꽃으로, 다섯 개의 꽃잎 안에는 다섯 개의 빨간색 꽃술과 별이 그려져 있습니다. 홍콩 구기를 이루고 있는 빨간색과 하얀색은 ‘일국양제’를 의미하며, 바우히니아는 홍콩을 상징하는 꽃이라고 합니다. 꽃잎 안에 그려진 다섯 개의 빨간색 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으로, 이는 홍콩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임을 의미한다고 하네요.


 


 


 


 


  



 


▲ 중국 국기와 홍콩 국기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C%A4%91%EA%B5%AD,


http://ko.wikipedia.org/wiki/%ED%99%8D%EC%BD%A9)


 


 


 


 


위 그림처럼, 분명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임에도 중국과는 다른 모습의 기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과 홍콩은 문장(紋章) 역시 각기 다른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중국의 국장 가운데에 위치한 다섯 개의 별 아래에 그려져 있는 것은 자금성의 정문인 천안문입니다. 천안문 위에는 5개의 노란색 별이 그려져 있으며, 천안문 아래에는 톱니바퀴가 그려져 있는데요. 국장 안쪽을 벼 이삭이 감싸고 있으며 국장 바깥쪽을 밀 이삭이 감싸고 있죠. 여기서 5개의 별은 중국 공산당의 영도에 따른 혁명 인민의 대단결을, 밀 이삭과 벼 이삭은 농업을, 톱니바퀴는 공업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나라를 움직이는 산업들에 대해 잘 반영하고 있는 국장인 것 같죠?


 


 


 


 






▲ 중국 국장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C%A4%91%EA%B5%AD)


 


 


한편, 홍콩의 문장은 홍콩의 기를 바탕으로 한 원 모양의 디자인으로, 문장 바깥쪽으로 나온 하얀색 고리 위쪽에는 홍콩의 공식 명칭인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 행정구’(中華人民共和國 香港 特別行政區) 라는 문구가 중국어 정체자로 쓰여져 있으며, 고리 아래쪽에는 "홍콩" ("HONG KONG") 이라는 문구가 영어로 쓰여져 있습니다.


 


 


 


 


 




 


▲ 홍콩 문장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D%99%8D%EC%BD%A9)


 


 


국가의 상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국가(國歌)는 중국이 일본의 위협을 받던 시대에 항일 투쟁을 위해 만들어진 곡인 ‘의용군 진행곡’으로 동일하다고 하네요.


 


 


 


 


 


 


                           2. 통화(通貨, currency)                    


 


 


중국과 홍콩은 서로 사뭇 다른 경제 체제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각기 사용하는 화폐 역시 다릅니다. 중국의 통화는 '인민폐(人民币)'로, 기본 단위는 '위안(元)'입니다. 중국은 1999년, 지폐의 초상을 모두 마오쩌둥으로 한 새로운 도안의 화폐를 발행했습니다. 이 도안의 지폐 단위로는 100 元부터, 50元, 20元, 10元, 5元, 1元까지 있으며, 동전 단위로는 1元부터, 5角(1角는 10元), 1角까지 있다고 합니다.


 


 


 


 


 







 


(출처: http://dibrary1004.blog.me/30084611275)



 


 


그렇다면 홍콩은 어떤 화폐 단위를 사용할까요? 정답은 “홍콩 달러(港圓, Hong Kong dollar)”입니다. 홍콩 달러는 보통 달러 기호인 '$'로 줄여 쓰며, 다른 달러들과 구별할 때는 'HK$'로 쓰기도 한다고 해요. 지폐 단위로는 1000$부터 500$, 100$, 50$, 20$, 10$까지 있으며, 동전 단위로는 10$부터 5$, 2$, 1$, 50¢, 20¢, 10¢까지 있다고 합니다. 발행하는 은행에 따라 그 모양도 다르다고 하니 신기하죠?



 


 













 


 


▲ 홍콩 달러(1000$부터 순서대로 10¢까지)
(출처: http://sayhk.tistory.com/531)


 


 


 


 


 


               3. 공용어(公用語, national language)            


 


 


중국과 홍콩은 사용하는 언어 역시 다릅니다. 중국은 공용어가 보통화(普通話)라는 이름의 표준 중국어인데 비해, 홍콩은 중국어 방언 중의 하나인 광동어를 쓰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에서 주로 쓰는 표준말과 제주도의 방언이 아무리 다르다고 해도 의사소통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과는 달리, 마카오와 홍콩, 대만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다른 곳에서는 광동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아주 힘든 일이라고 합니다.


 


 




 


▲ 중국에서 광동어가 사용되는 지역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A%B4%91%EB%91%A5%EC%96%B4)


 


 


 


 


 


                                     4. 기타                                   


 


 


위에서 보여드린 큰 차이점들을 제외하고도 중국과 홍콩 간의 소소한 차이점들은 많습니다. 인터넷 도메인의 경우, 중국은 ‘.cn’을 쓰는 반면, 홍콩은 ‘.hk’을 사용합니다. 또한, 국제 전화를 할 때 몰라서는 안 되는 국가 번호의 경우, 중국은 86인 반면, 홍콩은 852입니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경우 사회주의 체제 아래에서 인터넷에 대한 규제가 알게 모르게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홍콩은 자치권을 인정받은 행정구로 이러한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실제 Google.com의 경우 Google.cn은 저절로 Google.com.hk로 바뀌어 접속된다고 하는데요. 이는 구글이 중국 정부에 의해 사전 검열이 이루어지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내용 참고: http://freenuts.com/google-hong-kong-vs-google-china/)


 


 


 


 


 





▲ 구글 중국 판에 접속한 모습, google.cn대신 google.com.hk가 보인다
(출처: http://citrain64.blog.me/100102380611)


 


 


 


이상으로, 중국과 홍콩 간의 다양한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떠세요? 중국과 뗄래야 뗄 수 없을 것만 같던 홍콩이 실질적으로 중국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놀랍지 않으신가요? 저 스스로도 중국과는 또 다른 모습의 홍콩에 언제 한번 꼭 시간을 내어 가고 싶어 지는걸요! 이번 기사를 통해 중국과 홍콩에 보다 관심이 생기고, 그리고 그 둘의 차이점에 대한 궁금증들이 다소 해소되었다면 더할 나위 기쁠 것 같습니다. ^^


 


 


 


재밌게 읽으셨다면 아래에 손가락을 꾸욱~ 눌러주세요 ^0^


 


불펌은 안돼요~!!


 스크랩 시 덧글과 손가락은 필수입니다~:)



 



 


 


 




 


중국, 홍콩, 중국 홍콩 차이, 중국 홍콩 국기, 중국 홍콩 국장, 중국 홍콩 화폐, 중국 홍콩 국제전화번호, 중국 홍콩 도메인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sisachina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4.9.1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4.9.19
  2. 작성일
    2014.9.1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4.9.19
  3. 작성일
    2014.9.1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4.9.19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9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45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154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