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일본은

sisajapan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3.1.29
일본의 장례문화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안녕하세요~ Little J 대학생기자단 송민주입니다. 오늘은 여러분께 일본의 장례 문화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일본은 우리와 같은 동양권 문화이지만 장례문화가 조금씩 다르다고 하는데요, 일본에서는 어떻게 장례가 이루어지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읽기 전 손가락을 눌러주는 센스!>
1. 일본의 장례
(사진 출처 : 야후 재팬)
|
2. 일본 장례의 순서
일본의 가장 일반적인 장례는 불교 장례라고 소개해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일본의 불교 장례는 어떤 순서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알아볼까요?
고별식이 끝나고 나면 관은 위 사진과 같은 영구차(霊柩車)를 이용해 화장터로 떠납니다. 화장터에 도착하면 고인이 생전에 아끼던 물건과 함께 화장(火葬)을 하고, 뼈는 납골항아리(骨壷)에 넣어져 매장되기 전까지 집에 있는 불단에 안치됩니다. 바로 납골당에 안치되는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르네요. 집에 안치된 납골항아리를 향해 죽은 지 초이레(7일), 35일, 49일이 되는 날 세 차례 공양을 합니다. 옛날에는 사람이 죽으면 7일마다 공양을 했지만, 오늘날에는 이렇게 세 차례 공양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공양을 마지막으로 장례는 끝입니다. 하지만 장례가 끝났어도 유족들은 이후 1년 동안 결혼 등의 경사를 삼가고, 연말에도 연하장을 주고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상을 당한 뒤 한 달 정도만 결혼식이나 잔칫집을 안가는 우리나라에 비교하면 매우 오랜 기간이네요.^^;
|
3. 복장과 부의금
(사진 출처 : 야후재팬)
|
4. 장례식장에서의 매너
다음으로는 조문객으로서 장례식장에 갔을 때 지켜야할 매너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お悔やみの言葉
(사진 출처 : 야후재팬)
|
2) 忌み言葉
|
3)분향 방법
(사진출처 : http://www.aishoden.jp)
|
5. 봉분과 화장
|
6. 장례를 주제로 한 영화와 드라마
우리나라에는 장례를 주제로 한 ‘행복한 장의사’라는 영화가 있었는데요, 일본에도 장례를 주제로 한 드라마와 영화가 있어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드라마와 영화를 보시면 저의 설명 이외에 더 많은 일본의 장례에 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거에요!
1) おくりびと
(사진 출처 : 네이버 영화)
|
2)최고의 인생을 마감하는 방법, 엔딩플래너
(사진 출처 : 야후 재팬)
|
지금까지 일본의 장례문화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장례의 차이점이 별로 없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많아서 의외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와 주기를 세는 것도 다르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고인이 죽고 1년이 지난 뒤를 1주기라고 하지만 일본에서는 죽은 그 해를 1주기라고 한다고 합니다. 일본에 가시게 되면 헷갈리지 않게 꼭 기억해두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것으로 저의 기사를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읽으셨다면 아래에 손가락을 꾹~ 눌러주세요 ^0^
불펌은 안돼요~!!
스크랩 시 댓글과 손가락은 필수에요~:)
★ 일본, 일본의 장례문화,사청제도,일본 장례의 순서,세와닝(世話人),가이묘(戒名),츠야(通夜),혼츠야,가리츠야,고덴(香典),최고의 인생을 마감하는 방법 엔딩플래너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