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책 저책 기웃기웃

이미지

도서명 표기
10대의 뇌
글쓴이
프랜시스 젠슨,에이미 엘리스 넛 저/김성훈 역
웅진지식하우스
평균
별점8.6 (59)

10대의 뇌 6장. 왜 10대는 위험을 무릅쓰며 위험한 활동을 하는가.

 

1. 10대 아이들이 성인은 이해할 수 없는 위험한 행동들을 저지르는 이유

3살이 우리 아들이 아직 10대는 아니지만, 위험한 행동을 종종 한다. 차들이 씽씽 달리는 차도에 환호를 지르며 뛰어든다거나, 제 키의 두 배가 넘는 침대 머리에서 뛰어내린다거나 하는 걸 보고 있노라면 하루에도 몇 번씩 가슴이 철렁한다. 6장에서는 이렇게 성인의 시선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10대들의 행동의 원인에 대해 설명한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앞으로 일어날 결과를 예측하고 현재를 이성적으로 컨트롤하는 역할은 전두엽이 맡는데, 10대는 아직 전두엽이 완전히 발달하기 전이고, 또 전두엽의 부족함을 보완해줄 만큼 뇌 부분들 간의 연결도 미흡하기 때문에 그런 충동적 행동을 저지르곤 하는 것이다. 물론, 장기적-인류의 역사 만큼 긴 장기-으로는 그러한 도전과 실험적 행동이 진화론적으로는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다지만 고작 10년 남짓한 청소년 시기엔 그 위험이 치명적인 악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부모는 자녀들이 긍정적인 정보와 경험을 접하도록 북돋아야만 한다.

 

게다가 청소년의 뇌는 금지된 영역의 일이나 자극을 참는 데 성인보다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즉, 충동과 자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뜻이다. 또 실수를 통해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배우는 것도 전두엽 내의 '전대상겉질'이라는 부분에서 담당하는데 10대는 아직 그 부위의 발달이 미흡하므로 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것이다. 결코 그 아이가 실수를 반성하지 않아서가 아니라는 말씀!!! 그런 반복이 전대상겉질이 발달되는 과정이라고 하니, 아이가 같은 실수를 했다고 해서 의도적으로 그런 게 아니라 아직 '못' 하는 거라고 이해를 해줘야 할 것이다.

 

청소년들의 행동은 행동에 따른 위험을 자각해서기보다, 행동 보상에 대한 기대가 동기가 되는 경향이 크다. 10대들에게 일반적으로 허락되지 않는 행동(흡연, 음주, 약물, 폭력 등)을 뇌는 자극으로 인식한다. 10대의 뇌는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중이고, 그 성장과정과 부정적인 자극이 결합되면 중독으로 이어지며, 이는 성인보다 훨씬 고치기 어렵게 고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성장기 아이들의 암치료가 성인의 그것보다 훨씬 어렵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성인에게 금연교육을 시키기보다 청소년들에게 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2. 그렇다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아이들이 즉각적인 보상의 감정이나 쾌락에 굴복하지 않게 하려면 비유로 그들의 행동이 불러올 수 있는 결과를 시각화하게 도와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10대 자녀에게 위험한 행동에 아무리 큰 보상이 따른다 해도 그것이 죽음의 가능성을 무릅쓸 정도로 가치 있는 일은 아님을 강조하고 싶다고 해 보자. 자녀에게 이런 질문을 던질 수 있다. '10억을 줄 테니 딱 한 번만 총을 들고 러시안룰렛을 하라고 하면 할래?'" 우리의 문화와는 조금 다른 예시이지만 추상적이고 원론적으로 하면 안 된다고 반복하기 보다는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사례를 들어 실제로 아이들이 그 위험을 지각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또한 여자 청소년은 사회적으로 고립되었다고 느낄 때, 남자 청소년은 과외 활동(정규 수업이 끝나고 실시하는 스포츠 활동 등으로 이해된다.)이 부족할 경우 위험 감수 행동이 증가된다고 한다. 따라서, 아이들이 귀에 이어폰을 꽂고 학원으로 뺑뺑이를 돌게 할 게 아니라 친구들과 어울리고, 단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청소년기의 뇌는 뛰어난 시냅스 가소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학습과 기억이 무척 빠르게 일어난다. 그리고 뇌는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도파민의 생산을 자극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보상으로 해석한다. 이는 시냅스가 여기저기서 흥분하고 있는 10대의 뇌에 약간의 자극이 주어지면 이것이 좀 더 많은 자극에 대한 갈망으로 이어지고, 어떤 경우에는 일종의 과도한 학습을 낳게 된다는 의미다. 이런 과도한 학습을 흔히 '중독'이라고 한다.(p152)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3.9.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9.6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2.7.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2.7.7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2.6.2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2.6.23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5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4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24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