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슥밀라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3.5.8
‘물망초 꿈꾸는 강가를 돌아 달빛 머언 길 님이 오시는가’ 가곡 <님이 오시는지>의 한 부분이다. 저 강가 저 멀리서 오는지 안 오는지 알 수 없는 님. 얼마나 목이 빠지라 기다리는 존재인가! 하지만 대부분 이렇게 기다리는 님은 잘 오지 않는다. 대신 안 와도 될 것들이 온다. 그중 하나가 바로 슬럼프다.
이 슬럼프를 나는 여러 차례 겪었다. 물론 지나고 나니 그간의 과정이 모두 영어 공부의 노하우로 자리 잡았다고 흐뭇하게 말하고 있지만 당시를 생각하면 웃던 입도 닫힌다. 영어 공부를 위해 날마다 이른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얼마나 힘들었던지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린 적도 있었다. 꺼이꺼이 운 것은 아니지만 졸린 눈을 부릅떠가며 양말을 신다 말고 눈시울이 뜨겁게 달아오르는 것을 느꼈다. ‘내가 왜? 무엇 때문에? 그리고 왜 하필 영어를? 안 해도 되지 않나?’ 하는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난사하는 날이 많았다. 물론 그 상념을 이기고 대문을 나섰던 날도 있고 고민 끝에 다시 이불 속으로 들어간 적도 몇 번인가는 있었다.
영어 공부를 하다가 지칠 때면 나는 영어 공부를 했다. 이게 무슨 이야기인가 할 수도 있겠다. 그러니까 영어 문법 공부를 하다가 슬럼프가 오면 영어 회화 공부를 했고 회화가 지치면 영어 작문반 학원에 수강 신청을 했다. 또 같은 문법 강의라 해도 강사 선생님을 옮겼다. 물론 학원도 옮겨보았다. 1년 반에서 2년 정도 다니다 보면 학원의 비밀까지 다 알 것 같아 매너리즘에 빠져들기 않기 위해 분위기를 바꿨다. 유아나 어린이에게는 환경의 변화가 혼돈의 계기가 될 수도 있지만 성인은 다르다. 그리고 언어라는 것은 정답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에게 배워두는 것이 여러모로 도움된다. 그처럼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보았다고 자신하지만 그래도 안 된다면, 그제야 영어 공부를 그만둘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

『소호카의 꿈』이라는 자기계발서가 있다. 일본이 낳은 세계적 CEO 이나모리 가즈오가 쓴 책이다. 그는 가고시마의 가난한 집 아들로 태어나 학교에도 겨우 입학할 정도였으나 스물일곱 젊은 나이에 전자부품회사인 교세라를 창업했다. 그리고 이후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웠다. 그 책에서 이나모리는 이렇게 말했다.
“끝까지 다 했다고 느꼈을 때 그때 포기하라.”
우리는 너무 쉽게 포기하고 너무나 어이없이 무너진다. 그러나 고비가 닥칠 때마다 할 수 있는 한 전력질주를 해봐야 한다. 포기는 그때 가서 해도 늦지 않다. 나는 영어 학원을 가는 자체가 지겨워지면 며칠 동안 학원을 안 가는 방법도 써봤다. 그렇게 며칠 지나면 돈이 아까워서라도 저절로 가게 된다. 잠깐 방황도 하고 쉬어도 봐라. 내가 뛰어온 시간을 돌이켜 볼 수 있도록 말이다.
이룬 것이 없는데 무엇을 돌이켜보느냐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때 베스트셀러였던 『아웃라이어』라는 책을 기억하는가? 이 책은 ‘1만 시간의 법칙’에 대해 알려줬다. 하루에 약 세 시간씩, 일주일에 스무 시간을 몰입하고, 집중해서 10년 이상 연습한다면 1만 시간 이상의 경험을 쌓을 수 있다고 한다. 1만 시간이면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법칙이다. 한때 영어 학원 수업만 세 시간씩 한 적도 있었다. 그 이상 한 적도 있었지만 일하면서 한다는 것이 쉽지가 않았다.
1만 시간이 너무 길게만 느껴진다면, 대신 ‘1년만 미쳐보라’고 말하고 싶다. 사실 이것 역시 어떤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나만 하더라도 본격적으로 회화를 공부한 지 10개월 만에 귀가 열리는 것을 경험했다. 물론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서 더 빠른 사람도 있고 더 느린 사람도 있을 것이다. 또 잠을 푹 자고 좋은 컨디션으로 학원에 간 날에는 하나도 들리지 않다가 전날 과음을 하고 힘들게 가서 앉아 있을 때 신기하게 잘 들리기도 한다. 이렇게 종잡을 수는 없지만 확실한 것은 내가 하고 싶은 일에는 시간을 확실히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슬럼프를 나는 여러 차례 겪었다. 물론 지나고 나니 그간의 과정이 모두 영어 공부의 노하우로 자리 잡았다고 흐뭇하게 말하고 있지만 당시를 생각하면 웃던 입도 닫힌다. 영어 공부를 위해 날마다 이른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얼마나 힘들었던지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린 적도 있었다. 꺼이꺼이 운 것은 아니지만 졸린 눈을 부릅떠가며 양말을 신다 말고 눈시울이 뜨겁게 달아오르는 것을 느꼈다. ‘내가 왜? 무엇 때문에? 그리고 왜 하필 영어를? 안 해도 되지 않나?’ 하는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난사하는 날이 많았다. 물론 그 상념을 이기고 대문을 나섰던 날도 있고 고민 끝에 다시 이불 속으로 들어간 적도 몇 번인가는 있었다.
영어 공부를 하다가 지칠 때면 나는 영어 공부를 했다. 이게 무슨 이야기인가 할 수도 있겠다. 그러니까 영어 문법 공부를 하다가 슬럼프가 오면 영어 회화 공부를 했고 회화가 지치면 영어 작문반 학원에 수강 신청을 했다. 또 같은 문법 강의라 해도 강사 선생님을 옮겼다. 물론 학원도 옮겨보았다. 1년 반에서 2년 정도 다니다 보면 학원의 비밀까지 다 알 것 같아 매너리즘에 빠져들기 않기 위해 분위기를 바꿨다. 유아나 어린이에게는 환경의 변화가 혼돈의 계기가 될 수도 있지만 성인은 다르다. 그리고 언어라는 것은 정답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에게 배워두는 것이 여러모로 도움된다. 그처럼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보았다고 자신하지만 그래도 안 된다면, 그제야 영어 공부를 그만둘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

『소호카의 꿈』이라는 자기계발서가 있다. 일본이 낳은 세계적 CEO 이나모리 가즈오가 쓴 책이다. 그는 가고시마의 가난한 집 아들로 태어나 학교에도 겨우 입학할 정도였으나 스물일곱 젊은 나이에 전자부품회사인 교세라를 창업했다. 그리고 이후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웠다. 그 책에서 이나모리는 이렇게 말했다.
“끝까지 다 했다고 느꼈을 때 그때 포기하라.”
우리는 너무 쉽게 포기하고 너무나 어이없이 무너진다. 그러나 고비가 닥칠 때마다 할 수 있는 한 전력질주를 해봐야 한다. 포기는 그때 가서 해도 늦지 않다. 나는 영어 학원을 가는 자체가 지겨워지면 며칠 동안 학원을 안 가는 방법도 써봤다. 그렇게 며칠 지나면 돈이 아까워서라도 저절로 가게 된다. 잠깐 방황도 하고 쉬어도 봐라. 내가 뛰어온 시간을 돌이켜 볼 수 있도록 말이다.
이룬 것이 없는데 무엇을 돌이켜보느냐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때 베스트셀러였던 『아웃라이어』라는 책을 기억하는가? 이 책은 ‘1만 시간의 법칙’에 대해 알려줬다. 하루에 약 세 시간씩, 일주일에 스무 시간을 몰입하고, 집중해서 10년 이상 연습한다면 1만 시간 이상의 경험을 쌓을 수 있다고 한다. 1만 시간이면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법칙이다. 한때 영어 학원 수업만 세 시간씩 한 적도 있었다. 그 이상 한 적도 있었지만 일하면서 한다는 것이 쉽지가 않았다.
1만 시간이 너무 길게만 느껴진다면, 대신 ‘1년만 미쳐보라’고 말하고 싶다. 사실 이것 역시 어떤 책의 제목이기도 하다. 나만 하더라도 본격적으로 회화를 공부한 지 10개월 만에 귀가 열리는 것을 경험했다. 물론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서 더 빠른 사람도 있고 더 느린 사람도 있을 것이다. 또 잠을 푹 자고 좋은 컨디션으로 학원에 간 날에는 하나도 들리지 않다가 전날 과음을 하고 힘들게 가서 앉아 있을 때 신기하게 잘 들리기도 한다. 이렇게 종잡을 수는 없지만 확실한 것은 내가 하고 싶은 일에는 시간을 확실히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 일단, 시작해 김영철 저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이루고자 하는 꿈과 삶의 목적을 위해 꾸준히 배움의 길을 걸어온 김영철이 20~30대 젊은이들에게 전해주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책이다. 이 책에는 삶의 우여곡절이나 대단한 서사라고 할 만한 게 담기지 않았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그가 만났던 좋은 사람들의 혜안과 그가 읽었던 책의 교훈과 그가 끊임없이 고민하고 공부했던 흔적들이 오롯이 담겨 있다. ‘인생의 모든 순간이 배움이고 학습이다’라고 말하는 그는 이 책에서 자신이 배운 것들을 독자들에게 나눠주고자 한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