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달이
  1. 저자의 우리말 칼럼

이미지

언중 사이에서 바른말보다 더욱 널리 쓰이는 ‘잘못된 말’이 꽤 있습니다. 그런 말은 대개 세월이 지나면서 표준어로 대접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어원 등을 살필 때 표준어로 대접받기 어려운 말도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단발마의 비명’으로 널리 쓰이는 ‘단발마’입니다.




“숨이 끊어질 때처럼 몹시 고통스러운. 또는 그러한 일”이나 “숨이 끊어질 때 마지막으로 지르는 비명”의 의미로,




“네가 화면 가득히 잡혔을 때 누나는 단발마와도 같은 비명을 내질렀다”


“눈이 허옇게 뒤집힌 채 사지를 옆으로 뻗은 개의 몸에는 마지막 단발마의 경련이 지나가고 있었다”




따위처럼 쓰이는 ‘단발마’ 말입니다.




“짧은 비명”이라는 의식 때문에 ‘단발’을 떠올리는 듯한데, 실제 이 말은 ‘단말마(斷末摩)’로 써야 합니다.




이 말은 산스크리트어(불교말) 마르만(Marman)을 발음 그대로 옮겨 ‘말마(末摩)’를 쓰면서 그 앞에 “자른다”는 뜻의 ‘단(斷)’을 붙인 것입니다.




여기서 ‘마르만’은 “관절이나 육체의 치명적 부분, 즉 급소”를 의미합니다.


옛 인도 의학에서는 사람의 전신에는 이 마르만이 10곳 있고, 이곳을 자르면(斷) 극심한 고통을 일으키고 즉사한다고 여겼습니다. 이때 죽어가며 마지막으로 지르는 소리가 ‘단말마의 비명’입니다.




이러한 어원이 있기 때문에 언중이 널리 쓰더라도 ‘단발마’를 표준어로 삼기 어렵습니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우달이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1.3.20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11.3.20
  2. 작성일
    2011.3.1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1.3.19
  3. 작성일
    2011.3.16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11.3.16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6
    좋아요
    댓글
    145
    작성일
    2025.5.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2
    좋아요
    댓글
    111
    작성일
    2025.5.2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3
    좋아요
    댓글
    83
    작성일
    2025.5.2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