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Ranee^^
- 작성일
- 2021.11.4
[eBook] 새의 언어
- 글쓴이
- 데이비드 앨런 시블리 저
윌북(willbook)
새에 관한 책을 보면서 점점 새가 놀랍고 신기하고 좋아졌다. 이 책은 그동안 읽은 새에 대한 책 중 끝판왕이라 할 만하다.
조류도감이나 새 백과사전이라 할 수도 있은데 그렇게만 말 하기엔 더 깊이가 있다. 나열하며 설명하는 것만이 아니라 새에 대한 애정과 새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듯한 글들이 읽을수록 새에 빠지게 한다.
새를 보며 느꼈던 궁금증과 인간과는 다른 새들만의 세계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아주 오랫동안 봐서 아는 사람이 즉문즉설 느낌으로 명쾌하게 말해주는 것 같다. 북마크를 매페이지마다 할 정도로 많은 양의 정보와 이야기들이 신기하고 넘 재미있었다.
'노아 스트리커'의 책 <새: 똑똑하고 기발하고 예술적인>이 새에 대해 놀랍고 경이로운 서사적 호기심을 선사했다면, 이 책은 새에 대한 애정어린 종합선물 같다.
몇가지만 적어보면~
*새는 미각이 발달했다?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을 느낄 수 있다.
*새들은 왜 한쪽 다리로 설까? 간단히 대답하자면 그렇게 하는게 편하기 때문이다.
*다쳐서 애처롭게 비틀거리는 새에 가까이 다가갔더니 날아가 버렸다? '부러진 날개 기법'으로 적을 둥지에서 멀리 유인하여 알을 보호한다.
*도요새가 긴부리로 먹이를 찾아 먹는 방법?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한다.
*갈매기는 쓰레기를 먹는다? 부모새는 쓰레기를 먹어도 새끼에게는 영양이 풍부한 신선한 물고기를 먹인다.
*제비갈매기는 비행에 정교하게 적응한 새다? 북극에 둥지를 틀고 남극으로 이동했다가 북극으로 돌아온다.
*새가 머리를 앞뒤로 까닥거리며 걷는 이유는? 주변을 계속 주시하기 위한 행동이다.
*올빼미는 머리를 한바퀴 돌릴 수 있다? 270° 돌릴 수 있다. 목뼈가 인간의 두 배다.
*오늘날의 새는 공룡의 후손이다? 깃털 달린 공룡 '안키오르니스' 화석 발견.
*앵무새는 한쪽 발만 쓴다? 대부분이 왼발잡이다.
*명금류는 둥지를 재사용하지 않는다? 깃털 진드기 같은 기생충을 피하기 위해서다.
*까마귀는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 각 사람을 좋거나 나쁜 경험을 결부하여 기억한다.
*이솝우화의 '까마귀와 물병'은 사실일까? 작은 돌 대신 큰 돌이 효율적이라는 것도 이해했고, 알맞은 돌의 개수를 알았으며, 톱밥으로 채운 통에 돌을 넣어도 변화가 없을 거란 사실까지 알았다.
새가 갈수록 다르게 보인다.??
조류도감이나 새 백과사전이라 할 수도 있은데 그렇게만 말 하기엔 더 깊이가 있다. 나열하며 설명하는 것만이 아니라 새에 대한 애정과 새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듯한 글들이 읽을수록 새에 빠지게 한다.
새를 보며 느꼈던 궁금증과 인간과는 다른 새들만의 세계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아주 오랫동안 봐서 아는 사람이 즉문즉설 느낌으로 명쾌하게 말해주는 것 같다. 북마크를 매페이지마다 할 정도로 많은 양의 정보와 이야기들이 신기하고 넘 재미있었다.
'노아 스트리커'의 책 <새: 똑똑하고 기발하고 예술적인>이 새에 대해 놀랍고 경이로운 서사적 호기심을 선사했다면, 이 책은 새에 대한 애정어린 종합선물 같다.
몇가지만 적어보면~
*새는 미각이 발달했다? 단맛, 신맛, 짠맛, 쓴맛을 느낄 수 있다.
*새들은 왜 한쪽 다리로 설까? 간단히 대답하자면 그렇게 하는게 편하기 때문이다.
*다쳐서 애처롭게 비틀거리는 새에 가까이 다가갔더니 날아가 버렸다? '부러진 날개 기법'으로 적을 둥지에서 멀리 유인하여 알을 보호한다.
*도요새가 긴부리로 먹이를 찾아 먹는 방법?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한다.
*갈매기는 쓰레기를 먹는다? 부모새는 쓰레기를 먹어도 새끼에게는 영양이 풍부한 신선한 물고기를 먹인다.
*제비갈매기는 비행에 정교하게 적응한 새다? 북극에 둥지를 틀고 남극으로 이동했다가 북극으로 돌아온다.
*새가 머리를 앞뒤로 까닥거리며 걷는 이유는? 주변을 계속 주시하기 위한 행동이다.
*올빼미는 머리를 한바퀴 돌릴 수 있다? 270° 돌릴 수 있다. 목뼈가 인간의 두 배다.
*오늘날의 새는 공룡의 후손이다? 깃털 달린 공룡 '안키오르니스' 화석 발견.
*앵무새는 한쪽 발만 쓴다? 대부분이 왼발잡이다.
*명금류는 둥지를 재사용하지 않는다? 깃털 진드기 같은 기생충을 피하기 위해서다.
*까마귀는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 각 사람을 좋거나 나쁜 경험을 결부하여 기억한다.
*이솝우화의 '까마귀와 물병'은 사실일까? 작은 돌 대신 큰 돌이 효율적이라는 것도 이해했고, 알맞은 돌의 개수를 알았으며, 톱밥으로 채운 통에 돌을 넣어도 변화가 없을 거란 사실까지 알았다.
새가 갈수록 다르게 보인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