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김진철
  1. My Reviews & etc

이미지

도서명 표기
그리스 로마 신화
글쓴이
토머스 불핀치 저
스타북스
평균
별점9.5 (56)
김진철

고대에는 그리스나 로마가 지중해 세계 어디에서처럼(유대아 제외) 다신교를 믿었고(그 신격은 지역마다 큰 차이가 있었으나) 또 그 나름의 확고부동한 전통을 유지했었습니다. 이러던 게, 기독교가 점차 큰 세력을 점함에 따라 적어도 신앙 체계와 교단 속에서의 그리스-로마 신들은 대중의 안전에서 사라지게 되었죠.



그러나 르네상스가 유럽에 도래하면서 잊혀졌던 고대의 신들은 예술 작품을 필두로 그 모습을 다시금 노출했습니다. 신화는 여러 작가, 예술가 들에 의해 선명한 모습으로 재소환되었으나 오늘날 독서인들에게 가장 권위 있게 수용되는 집성은 19세기 미국 인문학자인 토머스 불핀치의 붓 끝에서 쓰인 바로 이 책입니다.   



이 책은 우리 현대 독자들이 알고 있는 총괄적인 인상을 형성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저술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을 만큼 명작이고 고전입니다. 어린이용으로 쓰이고 읽히는 여러 책들도 알고보면 이 고전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생각보다 중세, 근세의 저술이나 회화, 조각 들을 보면 다양한 세계관 혹은 스토리를 표현하고 있어서 과연 무엇이 권위 있는 정전(正典)인지 확정하기 어려운데 어찌보면 이 고전이 사실상 앤솔로지 혹은 canon 노릇을 하는 셈이죠.



야훼 혹은 여호와도 기독교의 구약에서는 질투의 신이라고 스스로를 밝힐 정도입니다만 그리스 로마의 신들이야말로 치졸할 만큼 원초적인 질투를 품고 또 드러냅니다. 아라크네는 직물을 짜는 솜씨로 유명했는데 바로 이 재능이 신의 질시를 삽니다. 여기서 특이한 건 그나마 절제된 감정, 이지적인 면모를 지닌 아테나가 어떤 정제되지 못한 격렬한 증오감과 질투를 표현한다는 점이죠. 무지개의 빛깔에 대해 불핀치가 지나가듯 잠시 설명하는 대목도 있는데 그의 광학 소양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여 흥미롭습니다.



사포라고 하면 우리들은 사피즘, 혹은 그녀와 동료(제자)들이 거주했던 레스보스 섬만을 생각하여 레즈비어니즘을 떠올리지만 이 책에서는 딱히 그 부분 지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파온이라는 청년을 사랑하였으나 이루어지 못한 비련의 사연을 강조하고 또 그 불세출의 재능을 지적해 주는데 그 건조한 필체가 독특하다는 느낌입니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김진철님의 최신글

  1. 작성일
    9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9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9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9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1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206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5
    좋아요
    댓글
    172
    작성일
    2025.5.1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192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