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김진철
  1. My Reviews & etc

이미지

도서명 표기
해트메이커
글쓴이
탬진 머천트 저
위니더북
평균
별점9.3 (3)
김진철

영어권에서 사람의 성씨는 그 사람의 직업을 따서 만들어진 게 많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는 Smith인데 대장장이, 세공인 등의 뜻을 가집니다. 이 작품의 원제는 The Hatmakers인데 문자 그대로 모자 만드는 사람을 뜻하기도 하고, 성씨가 해트메이커이기도 합니다. 주인공 코델리아를 비롯해서 바다에서 실종된 그 부친 프로스페로 씨, 고모 등등 해서 모두 해트메이커들이며, 원제에는 복수 접미사 -s가 붙었으므로 "해트메이커 가문, 해트메이커씨네 사람들"이란 뜻도 됩니다. 





이 가문은 그저 흔한 모자 만드는 사람들이 아니라 왕이 쓰는 특별한 모자를 제작하는, 나라 안에서 대접깨나 받는 장인들입니다(p157을 보면 코델리아에게는 숙녀의 미덕을 가르쳐 주는 가정교사도 있습니다. 그런데 p306을 보면, 이 사람 아주 웃기는 인간이더군요). 그래서, 평민들을 눈 아래로 보통 보곤 하는 궁정의 시종들한테도 코델리아가 매우 당당하게 대하는 장면(p39)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사실 이 소설에서 해트메이커는 그저 고급 의관을 제작하는 이들이 아니라 더 중요한 직분까지를 수행하는 이들인데 더 자세히 말하면 스포일러라서 여기까지만 적겠습니다.(나중에 망또 장인, 장갑 장인, 지팡이[cane] 장인, 신발 장인, 시계 장인 등도 나옵니다)





p186을 보면 이 해트메이커 집안이 얼마나 유서 깊은지가 페트로넬라 대고모를 통해 설명됩니다. 튜더의 헨리 8세, 스튜어트 조의 찰스 2세, 반란자인 호국경 올리버 크롬웰 등 뭐 브리튼 섬의 전 역사와 가문의 연혁이 궤를 같이하는데 고개가 절로 숙여집니다. 또 여기서 고전 라틴어 금언 noli nocere(p26)의 또다른 뚯이 밝혀지기도 하네요! 길드 홀(p227). 장인들은 사실 중근세를 통틀어 왕, 귀족, 성직자와 더불어 봉건제 질서를 떠받치는 기둥 중 하나였습니다. 시민 혁명이 발발하며 왕과 귀족, 성직자 계급이 파멸했고, 이어진 산업혁명이 장인층을 날려 버린 건 우연이 아닙니다.





본문 중에도 역주가 나오지만 이 소설은 어떻게 된 게 등장인물 대부분의 이름이 서양 고전 명작에 나오는 캐릭터들에서 따왔습니다. 그래서 읽어 가며 약간 웃음이 나오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코델리아는 (역주에 나오듯) 셰익스피어의 <리어 왕>에서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그 바른말 잘하는 셋째딸의 이름과 같습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도 아니고 프로스페로(<템페스트>의 주인공 이름이기도 한)의 실종이라면... 아마도 저 먼 바다 어느 섬에서 권토중래의 그날을 기다리며 은둔할 듯한 기대가 드는 게 자연스러울 수도 있겠습니다. 등장인물들의 이름뿐 아니라 이 소설 중에는 명작이나 고사가 자주 레퍼런스되는데 예를 들면 p98 같은 곳에서 역주가 꼼꼼히 달려서 지금 이 서술이 무엇을 염두에 둔 오마주인지 일일이 설명합니다. 





왕(이나 그의 후계자)으로 태어나면 과연 행복한 삶일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역사상 왜 그렇게도 많은 군주들이 그렇게나 황음무도한 극단의 쾌락에 빠져 살았을까요? 사직, 나라와 수천 생령의 안위가 자기 손 안에 달렸다고 생각하면 그 중압감이 가히 살인적일 테니, 그런 식으로라도 스트레스를 풀어야 하지 않았겠습니까. 물론 국사는 전혀 돌보지 않고 주연에만 몰두한 암군 폭군의 수도 매우 많습니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조지 왕은 요즘 말로 ADHD인 듯도 보이고, 뭔가 정신없는 위인입니다. 실제로 19세기 초 재위했던 영국의 조지 3세가 말년에 정신이상을 일으켜 섭정(그 아들)이 들어선 적 있습니다. 





은하철도 999에서 테츠로(철이)가 영생을 찾으러 온 우주를 헤매듯이, 혹은 데 아미치스의 쿠오레에서 마르코가 엄마 찾아 대서양을 건너듯이, 코델리아는 아빠 프로스페로 씨를 찾아 바다를 뒤지고 다닙니다. "잃어버린 사람은, 찾을 수도 있다는 뜻이지." 저는 코델리아의 이 대사를 읽고, 마치 TV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고려 태조 등이 말하는 "병이 있는데 왜 약이 없단 말인가? 자네가 그러고도 의원인가?"가 생각났습니다.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지만 말하는 사람의 절박한 마음이 느껴지죠. 하긴 죽은 사람이라면 (시신 말고는) 찾을 길이 없겠으나, 아직 사망이 확정 안 된 사람이라면 그를 찾을 일말의 가능성이 남았다는 뜻도 되긴 하죠.





중근세 서유럽은 정복왕 윌리엄이 해협을 건넌 이래 오랜 앙숙이던 영불 양국이 외교적으로 어떻게 평화를 유지하느냐에 따라 그 안녕이 좌우되었습니다. 소설 후반부에는 루이 왕(영국의 조지보다 더 수가 많은)이 등장하여 이 소동의 배후에 과연 어떤 진상이 자리했는지가 서서히 밝혀지는데, 용감한 소녀 코델리아의 의지와 지혜가 이 난국을 수습하는 과정이 무척 재미있었습니다. 세상은 과연 모험을 두려워 않는 이들이 만들어가는 듯합니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주관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김진철님의 최신글

  1. 작성일
    1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1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19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19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1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1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05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00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67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