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프라임정
- 작성일
- 2016.12.12
우리 아이 독특한 행동 특별한 뇌
- 글쓴이
- 장원웅 저
전나무숲
안녕하세요 잇님들 오늘은 좋은책하나 추천해드리고자
이렇게 책한권 들고 왔어요 :)
기다리던 택배가오자마자 저는 바로 뜯어보았어요 ~
이게바로 제가 기다리고 기다렸던 바로 책이에요 :)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고싶어 공부하고 있던 참에
아이들의 뇌에 대해 궁금해지기 시작했고
여러가지 행동을 하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다가가 교육을 해야할까
고민하던중 바로 이책을 읽을 기회가 되어서 읽어보았어요~
도서명 : 우리 아이 독특한 행동 특별한 뇌
저자 : 장원웅 (기능성 신경학 전문의)
소비자가격: 25,000원
출판사명: 전나무숲
<책의 줄거리 >
이 책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원인을 대뇌의 기능 불균형으로 보고,
아이들의 행동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제시한다.
그 외에 치료할 때 어떤 부분들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강조해서 다루었으며
운동, 요리 레시피, 훈육, 양육법 등 집에서 할 수 있는 뇌 기능 재활법도 소개한다.
운동능력의 발달 정도로 뇌 기능 발달을 측정한다는데
ㅇ
이렇게 발달 시기별로 운동능력이 적혀있어요
이책의 장점중 하나는 발달체크하는것도 있고
부모님들이 또는 아이들에게 관심이 많은 분들이 쉽게 접할 수 있고
또한 전문성있는 이야기들로 많은 지식을 알려주는 책이였어요
제가 이책을 제일 읽고싶었던 이유는 바로 이 ADHD라는것 때문에
한번쯤 꼭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요즘 ADHD에대해 이야기도 많이나오고 또한 관심을 갖고
아이에대해 어떻게 행동을 해야하는지에도 관심이 많아
공부하던중에 이책을 알게되었고 운좋게 볼수있는 기회가 되서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ADHD의 증상은 너무많아요 보시다시피
유형도많고 그에따른 행도특성도 많이 다르죠
ADHD의 아이를 판단하며 그에따른 행동을 하지않으면 안될꺼같아
이책을 읽게 되었는데 뇌랑도 많이 연결되고 있구나 하고
깨닳았어요. 그리고 제가몰랐던 부분도 많이 있어서
원래알고있던 지식에 +@ 되는 도움도 받았네요
요즘아이들 탄수화물 중독이 심한거 아시죠?
인스턴트식품을 자주 접하다보니 건강한음식보단
탄수화물에 중독되어있는 아이들인데 이책은 특히 부모님들이 많이 보셨으면 하네요
아래의 탄수화물 중독증을 테스트해보시고
우리아이가 중독증에 가깝다면 반성하시고 우리아에게
건강한 식단을 해주어서 건강한 아이로 자랄 수 있게 해주는건 어떨까요?
맨아래 나오겠지만 이책이 좋은점은 부록으로 운동과 요리법이 나와있어
누구나쉽게 따라할 수 있다는 점인거 같아요
▼▼ 탄수화물 중독증 자가진단 ▼▼
예전에 우유가 몸에안좋다는 이야기를 한번 들은적이 있는데
여기책에도 등장했네요
자세한 내용은 책을 읽으시면 아실수 있어요
우유를 대신할 것들 중에 충분한 수면, 햇볓쐬기는 우리 아이들이
평소에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것들이기에
부모님들께 알려드릴려 해요 :)
단백질 섭취로 뇌에 필요한 신경전달물질을 만들 수 있다네요~
평소 제가아는 식품이라 뭔가 반가웠어요
더욱 신경쓰며 먹는거에서도 중요하구나 ~ 다시한번 꺠닳았네요
부록에는 이렇게 운동법과 레시피가있어요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자극운동법이라
우리 아이들에게도 알려주었어요 :)
자극요법으로 좌뇌와 우뇌의 기능 불균형 해소하기
- 순차적인 뇌 발달에 맞춰 자극을 준다 : 시각 자극, 청각 자극, 촉각 자극, 후각 자극, 미각 자극, 전정감각 자극, 위치감각 자극
- 기능이 부족한 뇌 영역에 강한 자극을 준다.
아이들 입맛에 많은 요리법도 있으니 한번쯤 보셔서
아이들 간식으로 해보는건 어떨까요? ㅎㅎ
식이요법으로 위장관의 기능 개선하기
- GFCF 식이요법(글루텐과 카제인을 제한하는 식이요법)을 실천한다 : 글루텐은 밀가루에, 카제인은 우유에 들어 있다.
글루텐과 카제인은 위장관장애를 유발함으로써 뇌 기능을 손상시킨다.
- 혈당을 높이는 탄수화물 식품을 제한한다.
- 단백질과 질 좋은 지방을 섭취한다 : 단백질은 신경전달물질을 만들고, 지방은 뇌 기능과 신체 건강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 견과류, 현미, 콩은 가급적 먹이지 않는다 : 피트산의 함량이 높아 건강을 해친다.
- 식이요법을 6개월 정도 한 뒤에 영양제를 먹는다 : 항곰팡이제, 비타민B6, 비타민D, DMG와 TMG, 아연(Zinc), 칼슘(Ca)은 필히 먹인다.
스펙트럼장애의 3가지 요인과
주요 증상들
스펙트럼장애가 증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3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스펙트럼장애의 요인들]
- 유전적 요인 : 염색체, 메틸레이션 대사 이상, 생의학적 문제
- 환경적 요인 : 환경오염으로 인한 환경독소의 증가, 먹을거리 오염(GMO 식품 포함)으로 인한 영양 결핍과 체내 독소의 증가,
화학제품 속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내분비계의 변화, 임신 기간 동안의 엄마의 호르몬 변화
- 신경학적 요인 : 뇌의 기능적 연결 이상,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이 중에서 스펙트럼장애의 증가와 관련이 깊은 요인은 환경적 요인과 신경학적 요인이다.
스펙트럼장애 중에서도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경우는 가족을 이루며 사는 것이 쉽지 않아 혼자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전의 확률이 높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환경적 요인은 누구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환경적 요인에 노출이 많이 될수록 신경학적 요인이 유발될 확률이 높아진다.
스펙트럼장애는 특히 뇌세포 간의 연결(시냅스)이나 뇌의 기능 발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대뇌의 두 반구인 좌뇌와 우뇌의 시냅스가 단절되거나 너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등 연결이 원만하지 않거나 좌뇌와 우뇌의 기능이
불균형을 이루어 발달하면 감각과 정보가 왜곡되어 받아들여져 이상행동을 보이는 것이다.
그럼 좌뇌와 우뇌의 기능 불균형은 왜 생기는 걸까? 가장 큰 원인은 좌뇌와 우뇌가 동일한 비율이나 속도로 발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뇌의 기능은 순차적으로 발달하는 특성이 있는데, 만일 좌뇌와 우뇌의 여러 기능 중에서 일부 기능이 순차적 발달 단계에서
발달 속도가 늦거나 정체되면 뇌 기능 불균형이 심해진다.
좌뇌와 우뇌의 기능이 불균형하게 발달할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이 증상들은 스펙트럼장애 증상들과 일치한다.
[뇌 기능 불균형의 증상들]
- 자신의 몸 상태를 알아채는 능력이 떨어진다.
- 대근육 및 소근육 운동 능력이 떨어진다.
- 원시반사가 지속된다 : 원시반사는 신생아들이 보이는 자동적이고 무의식적인 행동 반응 현상.
생후 6~7개월 이후에 사라지는 게 정상이다.
- 안구 조절 능력이 떨어진다.
- 공감력과 인지 능력이 턱없이 낮고, 사회적응력이 떨어진다.
- 감정 표현이나 반응이 비정상적이다.
- 감각처리장애 증상이 나타난다.
- 2차적 면역 문제가 생긴다.
- 심장박동이 빠르다.
- 소화기관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소화력이 떨어진다.
- 음식에 과민성을 보인다.
- 학습과 관련해 장애 증상들이 생긴다.
<출처:인터파크 "우리 아이 독특한 행동 특별한 뇌" >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