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소녀
  1. 시를 읽는 마음

이미지





 



별 헤는 밤



 



                                                                            - 윤동주-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가슴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오,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오,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 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 경, 옥, 이런



이국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애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 잠" "라이너 . 마리아 .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별이 아스라이 멀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따는 밤을 세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 1941. 11. 5 )



 



『윤동주 전 시집』 中에서



 





 





=========================================================



어떤 분이 올리신 <별 헤는 밤>의 해석을 읽고 깨달은 바가 많았다.



나는 이 시가 윤동주 시인이 쓴 대표적인 "서정시"란 사실은 알고 있지만, 시 속에 숨겨진 심연의 깊은 뜻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가을"이 주는 상징적 의미는 무엇일까....



작가들은 흔히 희망을 상징할 때는 "봄"을 시어로 많이 사용한다.



그렇다면 "가을"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가을"은 보통 결실의 수확을 의미하는 단어지만, 왠지 이 시를 읊조릴 때면 쓸쓸함과 이름모를 슬픔의 감정이 느껴진다. 아마도 가을의 슬픈 단상을 비유하는 말인 것 같다.



늦가을이 지나면 혹독한 겨울이 기다리고 있음을 시로써 작가는 이야기하는 것 같다.



가을이 상징하는 것은 다름아닌 "일제 강점기" 시대의 암울함을 노래한다.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윤동주 시인의 성향은 상당히 소극적이라고 한다. 소심한 성격의 그가 할 수 있었던 유일한  저항운동은 "글쓰는 일"이었다. 하지만, 윤동주 시인은 소극적인 자신을 미워하고 자책하며 부끄러워 했다고 한다. 마음이 항상 순결했던 윤동주 시인은 정신만큼은 누구보다 강인했으며, 대나무의 곧은 결개를 닮았다. 그 당시독립투사들은 목숨 바쳐 구국항쟁의 길을 걸었지만, 윤동주 시인은 독립운동에 가담하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나약함을 누구보다 싫어했던 그는 자신이 지은 시에서 내적 괴로움을 토로하고 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언제나 조국의 광복을 강하게 열망했던 윤동주 시인이 마치 미래를 예견한 듯한 느낌이 든다. 윤동주 시인은 우리 문화와 민족성이 훼손되지 않게 우리 민족의 맥을 지켜나간 훌륭한 분이기에 오늘날 우리가 그를 기리고 존경하는 것이다.



윤동주 시인의 시를 통해 일제강점기 시대의 나라 잃은 망국의 한을 느낄 수 있었고, 그의 고뇌와 슬픔을 같이 느낄 수 있었다. 



 



일제가 우리나라의 문학인들을 이용해서 문화를 훼손시키고, 민족성을 교란시키는 등 많은 만행을 저질렀다. 일제의 회유정책에 친일의 길을 선택한 문학인(서정주,최남선)들은 지금도 버젓이 우리나라 교과서에 실리고 있다.



 



글은 한 나라의 민족성과 역사를 담는 그릇인데, 아직도 친일 청산을 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이 개탄스럽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이 왜 문학인들을 이용해 친일의 길을 걷게 했는지 오늘을 사는 우리가 곰곰이 생각해 볼 문제이다.



글은 우리문화와 민족성과 역사의 기록을 담는 그릇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보겠다.



 



그렇기에 윤동주 시인은 우리의 민족성과 문화를 끝까지 고수하고, 지켜나간 민족정신의 수호자였음을 깨닫게 된다.



 












윤동주 전 시집



윤동주 저

스타북스 | 2019년 08월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문학소녀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4.7.10

    좋아요
    댓글
    16
    작성일
    2024.7.10
  2. 작성일
    2024.6.8

    좋아요
    댓글
    12
    작성일
    2024.6.8
  3. 작성일
    2024.6.8

    좋아요
    댓글
    5
    작성일
    2024.6.8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92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122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사락공식공식계정
    작성일
    2025.4.30
    좋아요
    댓글
    99
    작성일
    2025.4.3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