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목연공식계정
  1. 내가 아는 정보들

이미지

네이버 지식인의 활동에는 지식 문답이외에 오픈 지식 집필이 있습니다.
누리꾼들이 참가하여 사전을 집필하고,
그것이
기존의 국어, 백과 사전들과 함께 노출되는 시스템이지요.
저는 800여개의 글을 올린 바 있는데,
기록 차원에서 이곳에도 올리겠습니다.


---------------------




2008. 6. 29일 집필




국어 수업을 하다 보면 학생들이 영어문자인 알파벳의 순서는 틀리지 않게 잘 외우면서도, 우리 문자인 한글은 오히려 혼동하는 경우가 있어서 당혹스러울 때가 있다.


 


알파벳은 26자이고 한글 자모음은 그보다 2자가 적은 24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파벳보다 한글자모음의 순서를 아는 것이 더 어렵게 느껴지는 까닭이 무엇일까? 그것은 알파벳은 자음과 모음이 구분없이 함께 있는데, 한글의 경우 분리되어 있고, 사전배열순서에는 복모음이 포함되는 탓인 듯하다. 우선 글맞춤법 제2장에는 한글 자모의 명칭과 순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한글맞춤법 제2장 자모


 


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붙임 1]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


 


 


즉, 학생들이 실제로 익혀야 할 한글자모음은 24자가 아니라 40자가 된다. 게다가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여 알아야 한다. 그러니 26자만 외우면 되는 영어보다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한글맞춤법에서는 사전에 올릴 때의 자모순서를 [붙임 2]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붙임 2] 사전에 올릴 적의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자 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 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위의 순서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은 모음의 순서이다. 자음의 경우 기본자음 14자에 된소리 5자(ㄲ, ㄸ, ㅃ, ㅆ, ㅉ)가 더해지기는 했지만, 각각 해당되는 자음의 예사소리(ㄱ,ㄷ, ㅂ, ㅅ, ㅈ) 뒤에 배치하였다. 그러므로 14자의 자음이 19자로 늘었다고해도 기본 순서를 아는 데는 크게 힘들 것이 없다.


 


그러나 모음의 경우는 자음보다 더욱 복잡해졌다. 기본모음 10자에 11자가 더해져서 21자나 되는데다, 왜 'ㅐ'가 2번째이며, 'ㅔ'는 6번째인지 원리를 모른다면 어려울 수밖에 없다.


 


다음 표를 이해하면 사전에 실린 모음 21자의 배열 원칙 학습에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모음 21자의 사전 배열순서 규칙을 익히는 방법


 


1) 기본 모음 10자의 순서를 안다.(위 표의 1행 ㅏ, ㅑ, ㅓ, ㅕ 등)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2) 기본 모음에 덧붙여진 모음을 안다. (위 표의 2~4행)


  ㅏ : ㅐ(ㅐ는 ‘ㅏ + ㅣ’의 형태로 보아서 ㅏ 다음에 둔 것임)


  ㅑ : ㅒ(ㅒ는 ‘ㅑ + ㅣ’로 본 것임, 이하 같은 원리)


  ㅓ : ㅔ


  ㅕ : ㅖ


  ㅗ : ㅘ, ㅙ, ㅚ


  ㅛ


  ㅜ :  ㅝ, ㅞ, ㅟ


  ㅠ


  ㅡ :  ㅢ


  ㅣ




3) 기본 모음에 덧붙여진 모음이 2개 이상일 때는, 덧붙여진 모음끼리의 기본모음의 순서에 의해 정해짐을 안다. (위 표의 3~4행)


 예) 'ㅗ'에 덧붙여진 ㅘ, ㅙ, ㅚ의 경우


 * ㅘ는 ‘ㅗ + ㅏ’, ㅙ는 ‘ㅗ + ㅏ + ㅣ’,  ㅚ는 ‘ㅗ + ㅣ’로 봄


   ‘ㅗ + ㅏ’에서 ‘ㅏ’가 앞에 있고,  ‘ㅗ + ㅣ’에서‘ㅣ’가 뒤에 있으므로


    ‘ㅘ’가 가장 앞에 온 것이며, ‘ㅚ’가 가장 뒤에 온 것임.


   ‘ㅗ + ㅏ + ㅣ’는 ‘ㅘ’뒤에 ‘ㅣ’가 덧붙여진 것으로 보고,


   ‘ㅘ’ 다음에 두었음. 


 


* 자료 출처 : 한글맞춤법의 한글자모음의 사전배열 순서를 중심으로 저의 상식을 덧붙였으며,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 6과 '언어의 세계' 230쪽의 지도를 위한 교재로 작성하였습니다.


 



< src="http://api.bloggernews.media.daum.net/static/recombox1.swf?nid=16273272" quality="high" bgcolor="#ffffff" width="400" height="80"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목연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1.4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4.9.2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4.9.1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1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4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3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21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