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아는 정보들

목연공식계정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1.5.20
네이버 지식인의 활동에는 지식 문답이외에 오픈 지식 집필이 있습니다.
누리꾼들이 참가하여 사전을 집필하고,
그것이 기존의 국어, 백과 사전들과 함께 노출되는 시스템이지요.
저는 800여개의 글을 올린 바 있는데,
기록 차원에서 이곳에도 올리겠습니다.
---------------------
2005. 9. 21일 집필
아버지
아버지의 높임말 : 부친(父親) .
가존(家尊)이라고도 함
자기의 아버지 : 가친(家親).
엄친(嚴親), 가부(家父), 가엄(家嚴), 엄군(嚴君)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자기의 아버지 : 선친(先親).
선고(先考), 선부(先父), 선인(先人)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아버지 : 망부 (亡父), 부군(府君 : 주로 위패에 씀)
부군은 대대의 할아버지를 높이어 일컫는 말이기도 함.
기제사 때 아버지(지방 또는 위패에 쓰는 호칭) : 선고(先考).
예) 선고학생부군신위(先考學生府君神位)
남의 아버지 : 춘부장(椿府丈).
춘당(椿堂). 춘부대인. 춘정(椿庭)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 : 선대인(先大人)
선고장(先考丈), 선장(先丈)이라고도 함.
아내의 아버지 : 장인 (丈人).
빙부(聘父). 악부(岳父)라고도 하며, 높임말은 빙장(聘丈)임.
남편의 아버지 : 시부 (媤父)
딸의 시아버지나 며느리의 친정 아버지 : 바깥사돈(―査頓)
어머니
어머니의 높임말 : 모친(母親)
자기의 어머니 : 자친(慈親).
가자(家慈). 자위(慈*)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자기의 어머니 : 선비 (先*).
선자(先慈). 전비(前*)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어머니 : 망모(亡母)
기제사 때 어머니(지방 또는 위패에 쓰는 호칭) : 선비(先*).
예) 선비경주김씨신위(先*慶州金氏神位)
남의 어머니 : 자당 (慈堂). 대부인. 영당(令堂).
훤당(萱堂). 북당(北堂)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 : 선대부인(先大夫人)
선자당(先慈堂)이라고도 함.
아내의 어머니 : 장모 (丈母)
악모(岳母). 처모(妻母)라고도 하며 높임말은 빙모(聘母)임.
남편의 어머니 : 시모(媤母)
딸의 시어머니나 며느리의 친정 어머니 : 안사돈(―査頓)
사돈댁(査頓宅)이라고도 하며, 높임말은 사부인(査夫人)임.
* 자료 출처 : 제가 아는 상식을 국어사전에서 확인했으며,
인터넷에서 지원하지 않는 한자는 *로 표시했습니다.
* 네이버 지식인에서 <아하 그렇구나>에 선정된 글입니다.
- 좋아요
- 6
- 댓글
- 2
- 작성일
- 202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