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목연공식계정
  1. 교과서 속의 문학

이미지

중학교 3학년 교과서에 나오는 시입니다.


제가 교단에서 가르치는 그대로 정리를 한 것이고요.


학창 시절의 추억을 되새기면서 한 번 읽어 보시렵니까 *^^*


-------------------------------



봄은


신동엽


* 알아야 할 내용 (이 부분을 앞에 두는 참고서도 있고, 뒤에 두는 참고서도 있는데 여러분이 이미 예습을 했을 것으로 생각하고 앞에 두겠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은 시험에는 잘 안 나는데, 그 이유는 중요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누구나 알아야 할 기본이기 때문입니다. 수학시험에서 구구단은 안 나는 것처럼….)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참여시


 


- 글쓴이 : 신동엽(1930~1969) 시인. 치열한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면에 대한 비판과 우리 민족에 대한 사랑을 맑고도 강렬한 언어로 표현하였다. 대표작으로 ‘금강’, ‘껍데기는 가라’, ‘산에 언덕에’ 등이 있다.


 


- 성격 : 상징적, 의지적, 참여적, 예언적


- 제재 : 겨울과 봄 (민족 분단과 통일)


- 주제 : 자주적인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염원과 의지


 


* 특징


- 봄과 겨울의 대조적인 시어를 통해 사회·문화적 상황을 상징적으로 표현함.


- 단정적이고 예언적인 어조로 자주적 통일에 대한 간절한 염원을 드러냄.


- 상징, 대조, 대유 등 다양한 표현 기법을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함.


 


* 이 시를 공부하는 방법


- 이 정도 시는 암송한다.


- 참고서의 설명을 읽어본다.


- 설명의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 나의 생각이나 느낌을 덧붙여본다.


- 선생님의 설명을 생각해 보고, 질문도 해본다.


   







 


봄은


남해에서도 북녘에서도


오지 않는다.


 


너그럽고


빛나는


봄의 그 눈짓은,


제주에서 두만까지


우리가 디딘


아름다운 논밭에서 움튼다.


 


겨울은,


바다와 대륙 밖에서


매서운 눈보라 몰고 왔지만


이제 올


너그러운 봄은, 삼천리 마을마다


우리들 가슴 속에서


움트리라.


 


 


움터서,


강산을 덮은 그 미움의 쇠붙이


눈 녹이듯 흐물흐물


녹여 버리겠지.


 


풀이  : 선생님의 설명을 깊이 생각하면서 여러분의 생각도 덧붙여서 정리해 보세요.


 


(통일, 통일의 시대↔겨울)


남해(외세)에서도 북녘(외세)에서도


오지 않는다.(단정적 어조. 신념 강조)


(1연) 외세의 힘으로 이룰 수 없는 통일(통일은 우리를 둘러 싼 외부에서 오지 않는다. 즉, 우리 민족의 힘으로 이루어야 한다는 의미겠지요.)


 


너그럽고


빛나는


봄의 그 눈짓(통일의 기운, 통일의 싹)은,


제주에서 두만까지(대유법 / 제주와 두만은 한반도의 남쪽과 북쪽, 즉 우리 땅을 상징)


우리가 디딘


아름다운 논밭(대유법, 우리나라, 우리국토)에서 움튼다.(단정적 어조. 신념 강조/ 움튼다 : 1. 초목 따위의 싹이 새로 돋아 나오기 시작하다. 2. 기운이나 생각 따위가 새로이 일어난다. / 여기서는 2번으로 풀이해야 하겠지요. 모르는 낱말이 나오면 그 뜻을 찾아보되, 이 문장에서 어떤 뜻으로 쓰였나를 생각해 보세요.)


(2연) 자주적인 통일의 기반


 


겨울(분단의 현실↔봄)은,


바다와 대륙 밖(외세, 외부의 힘-분단의 원인)에서


매서운 눈보라(분단의 고통) 몰고 왔지만


이제 올


너그러운 봄은, 삼천리 마을(우리나라, 대유법)마다


우리들 가슴 속에서


움트리라.(통일에 대한 의지적, 예언적 어조)


(3연) 남북 분단의 원인과 그 해결책


 


움터서,


강산(우리 국토, 대유법)을 덮은 그 미움의 쇠붙이(남북 분단 상황에서 미움으로 가득 찬 군사적인 대립과 긴장을 조장하는 무기)


눈 녹이듯 흐물흐물


녹여 버리겠지.(미움으로 가득찬 군사적 대립과 긴장을 끝내고 평화로운 통일의 시대가 옴)


(4연) 통일된 조국의 미래와 예언(우리 국토를 덮고 있는 분단의 갈등과 대립을 녹여버리고, 평화와 화합의 민족 통일을 이루게 될 것이다. / 통일을 바라는 시인의 소망, 나가서 독자들도 통일을 소망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습니다.)


 


* 자료 출처 : 작품은 신동엽 시인의 <봄은>이고, 


  풀이는 지학사 3학년 국어 참고서를 참고해서 제 생각을 덧붙였습니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목연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1.4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4.9.2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4.9.1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1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0
    좋아요
    댓글
    245
    작성일
    2025.5.2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9
    좋아요
    댓글
    159
    작성일
    2025.5.1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1
    좋아요
    댓글
    119
    작성일
    2025.5.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