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목연공식계정
  1. 내가 아는 정보들

이미지


네이버 지식인의 활동에는 지식 문답이외에 오픈 지식 집필이 있습니다.
누리꾼들이 참가하여 사전을 집필하고,
그것이
기존의 국어, 백과 사전들과 함께 노출되는 시스템이지요.
저는 800여개의 글을 올린 바 있는데,
기록 차원에서 이곳에도 올리겠습니다.


---------------------




2005. 10. 6일 집필


 


육군, 해군, 공군의 장교를 양성하는 학교를 사관학교(士官學校)라고 한다.


국어사전에는 사관학교에 대해 다음과 같이 풀이되어 있다.


사관학교(士官學校)[명사] 육·해·공군의 사관을 양성하는 학교. 


 


그렇다면 사관(士官)의 뜻은 무엇일까?


국어 사전에는 사관에 대해 다음과 같이 풀이되어 있다.
사관 (士官) [명사]


1. 병사를 거느리는 무관. 2. ‘장교(將校)’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는 <선비사> 관은 <벼슬관>이다.



즉, 사관학교란
선비로서 일정한 벼슬을 가진 사람을 양성하는 학교라는 뜻이 될 것이다.


 


선비의 뜻은 국어사전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1.지난날, 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
2.‘학덕을 갖춘 이, 또는 학문을 닦는 이’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3.‘어질고 순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장교도 벼슬이라고 볼 수 있으니, 官을 쓴 것은 이해가 된다.
그러나 사관이란 말은 우리 역사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생소한 말이다.


과거 우리 나라에서는 군인들을 무인 또는 무관이라고 했다.


 


무관에 대해서는 국어사전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무관 (武官) [명사]


1. 조선 시대, 무과(武科) 출신의 벼슬아치. 무변(武弁).


2. (군에 적을 두고) 군무(軍務)를 맡아보는 관리.


 


그렇다면 군인 장교를 양성하는 학교는 당연히 무관학교라고 함이 옳다.


실제 구한말에 군인 장교를 양성하는 학교를 무관학교라고 불렀다.


 


무관학교 [武官學校]


1898년(광무 2) 무관 양성을 목적으로 설치한 군관학교.
1881년(고종 18) 별기군(別技軍)을 설치하여 처음으로 신식 군사교육을 실시하였는데,


무관학교는 이와 같은 현대적 군사교육과 훈련을 본격적으로 한 학교이다.


관원으로서 교장 1명, 부관 1명, 영관(領官)급 교두(敎頭) 1명,
 위관(尉官)급 교관(敎官) 4명,


의관(醫官) 1명, 번역관 1명, 주사(主事) 2명, 조교(助敎) 10명 등이 있었다.


그후 학교의 관제를 개편하여 어학과 교원을 주임(奏任)


또는 판임문관(判任文官)으로 보충하였는데,


1907년(융희 1) 8월 조선 군대가 해산됨에 따라 1909년에 폐지되었다.


 


즉, 우리 나라 최초의 군인 장교 양성 기관은 사관학교가 아니라
무관학교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지닌 상하이 임시정부가


상하이에 설립한 군인장교 양성 학교도 무관학교였다.


 


육군무관학교 [陸軍武官學校]


항일독립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운 이 학교는


1920년 3월 20일 개교식을 하였다.


입학생이 40명이라고 하나 그해 5월 8일 제1회 졸업생 19명이 나온 것으로 보아


실제적인 설치시기는 1919년 11월 전후로 보인다.


 


1920년 12월 4일에 제2회 졸업식을 가진 이 학교에서는


당시 중국에 있던 한국청년 중에서 일반 정규학교와


중국의 군관학교에 갈 수 없었던 사람으로 무관이 되려는 청년들이 교육을 받았다.


이 학교는 김희선, 도인권 등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졸업생은 국내와 일본 혹은 남만주의 대한임시정부 산하


대한광복군총영(大韓光復軍總營)에 배치하여 참전하게 하였다.


 


<임시육군무관조례>(전문 27조, 부칙 2조)에 의하면


중등학교 이상 학력소지자로 19~30세의 대한민국 남자가 입학할 수 있고,


수학기간은 초급장교에게 필요한 12개월로 규정해 놓았으며,


졸업하면 참위(소위)에 임명되었다.


 


또한 이 학교는 군무총장(軍務總長) 직속에 교장 1명, 부관 1명, 교관 약간명,


학도대장.학도대부관 각 1명, 학도대중대장 약간명에 주계(主計).


군의 약간명, 서기 등을 두고 있었다.


임시정부는 그밖에도 비행대. 특공대. 의무대 등을 위한 교육도 실시하였으나,


그 자세한 내용은 밝혀져 있지 않다.


 


또한 애국지사들이 중국 지린성에 세운 독립군 양성기관도 무관학교였다.



신흥무관학교 [新興武官學校]


1919년 중국 지린성[吉林省] 류허현[柳河縣]에 세운 독립군 양성기관.
1911년 이동녕(李東寧) ·이회영(李會榮) 등이 신흥강습소를 설치했는데


이것이 신흥무관학교의 전신이었다.


얼마 후 퉁화현[通化縣] 합니하로 이전했고, 1913년 신흥중학교로 개칭했다.


교육과정은 중학반과 군사반을 두었다가 중학반은 폐지되었다.


1919년 5월 신흥무관학교로 개칭했고 부민단이 개편되어


조직된 한족회 산하의 학교로 발전했다.


 


한편, 구한말 황실을 호위하는 기관은 시종무관부였고,


충정공 민영환은 시종무관장()이었다.



시종무관부 [侍從武官府] 
대한제국 때 설치된 황제의 군사시종기관.
황제를 가장 가까이 시종하는 근시(近侍)기관으로 1904년(광무 7)에 설치되었다.


관원으로는 대장(大將:1품계),
또는 부장(副將:정2품계)으로 임명하는 무관장(武官長) 1명,


3품계의 영관(領官) 또는 정위(正尉)로 임명하는 시종무관 8명,
서기 10명을 두었는데,


1910년(융희 4)에 폐지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군인을 무관이라고 했고,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군대 지휘관을 양성하는 학교를 무관학교라고 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군인 장교를 양성하는 학교에 대해


왜 국적 불명의 사관학교라고 붙이게 된 것일까?


 


그것은 일제의 영향 때문이다.


일본인들은 칼잡이들을 무사(武士) 또는 검사(劍士)라고 했다.


일본인의 관점에서 볼 때 벼슬을 한 칼잡이가 사관(士官)이며


그들을 양성하는 곳이 사관학교가 된 것이다.


즉, 사관학교라는 명칭은 일제의 영향에서 왔다고 할 수 있다.


 


늦었지만 일제의 잔재임과 동시에


박정희, 전두환 등 불법 쿠데타를 일으킨 반란수괴와 정치 군인들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사관학교


이 이름을 우리의 전통에 맞는 무관학교로 고칠 것을 제안해 본다.


 


육군무관학교, 해군무관학교, 공군무관학교, 국군간호무관학교


안 될 것도 없지 않은가? 


 


* 자료 출처 : 제가 알고 있는 상식을 네이버 백과사전과 국어사전 등을 참고하여 확인했습니다.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샤랄라

    작성일
    2011. 5. 23.

  2. 대표사진

    목연 공식계정

    작성일
    2011. 5. 24.

    @샤랄라

목연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1.4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4.9.2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4.9.1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1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201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161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30
    좋아요
    댓글
    57
    작성일
    2025.4.3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