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목연공식계정
  1. 내가 아는 정보들

이미지

 

네이버 지식인의 활동에는 지식 문답이외에 오픈 지식 집필이 있습니다.
누리꾼들이 참가하여 사전을 집필하고,
그것이
기존의 국어, 백과 사전들과 함께 노출되는 시스템이지요.
저는 800여개의 글을 올린 바 있는데,
기록 차원에서 이곳에도 올리겠습니다.


---------------------




2006. 1. 11일 집필


 


우리 나라에서 남자를 가리키는 호칭보다


여자를 가리키는 호칭이 더 많은 이유는


예전 사회는 남자위주의 사회였기 때문이다.


여자는 사회 진출의 기회가 적었다.


그러므로 여자가 어떤 지위에 오르거나


직책을 맡는 경우는 아주 드물었다.


 


즉, 남자가 어떤 직위를 맡았다면


그가 누구인지 어느 집안인지,


어느 지방 출생인지 등이 궁금했겠지만,


여자인 경우는 여자라는 자체만으로도 호기심의 대상이었다.


그러므로 어떤 지위에 어쩌다 여성이 진출했을 경우에


직업이나 직위 앞에 붙여진 호칭이  '여'이다.


 


여자를 뜻하는 대표적인 호칭이 여류라는 칭호이다.


여류시인, 여류작가, 여류화가 등이 있지만,


남류시인, 남류작가, 남류화가 등의 말은 없지 않은가?


아예 남류라는 낱말 자체가 없다.


남자는 그냥 시인, 작가, 화가이다.


 


그밖에도 여왕은 있어도 남왕은 없고,


여공(여자 직공)은 있어도 남공은 없다.


남자가 왕이면 그냥 왕이고,


남자 직공은 그냥 직공이기 때문이다.


 


여중생, 여고생, 여대생은 자주 쓰면서


남중생, 남고생, 남대생을 안 쓰는 이유도 마찬 가지이다.


예전에는 각 가정에서 남자들은


특히 장남은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가르치려고 했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여자들은 교육을 시키지 않았다.


오히려 여자는 많이 배우면 되바라진다면서


가정 형편이 괜찮은 집에서도 학교에 보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남자가 중학생, 고교생, 대학생인 것은 당연했지만,


여자들이 중학생, 고교생, 대학생인 것은 드문 일이었고,


자연히 여중생, 여고생, 여대생이란 말이 사용된 것이다.


 


* 자료 출처 : 2005년 8월 8일의 답변을 일부 고쳤으며,


   내용은 제가 알고 있는 상식입니다.
* 이 글은 네이버지식인에서 <아하! 그렇구나>에 선정되었습니다.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11&dirId=110801&docId=30996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목연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5.2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1.4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4.9.2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9.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3
    좋아요
    댓글
    185
    작성일
    2025.7.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49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28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