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떠나는사람
- 작성일
- 2018.6.25
B급 세계사
- 글쓴이
- 김상훈 저
행복한작업실
예전에 김상훈 작가의 '교과서가 쉬워지는 통 한국사 세계사' 1권을 읽고 생애 첫 리뷰를 쓴 적이 있다. 2권과 3권을 읽고 나서 다시 리뷰를 쓰려고 했으나, 생각없이 즉석에서 만든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생각나지 않아 쓰지 못했다. 그 책을 읽고 난 뒤에 김상훈 작가의 팬이 된 탓인지 그가 쓴 새 책이 금세 눈에 들어왔다.
제목은 '알고 나면 꼭 써먹고 싶어지는 역사 잡학 사전 B급 세계사'. 전에도 그렇더니 이번에도 제목이 길다. 제목이 긴데도 입에 꼭 붙어서 길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직업 탓인지 나는 항상 역사의 효용성에 대해서 생각한다. 과연 역사가 우리에게 어떤 가치를 지닐까? 꼭 역사를 공부해야 하나? 늘 이런 고민을 안고 사는 나에게 책의 제목이 눈에 들어오지 않을 수 없었다. "꼭 써먹고 싶어지는" 역사라니! 그게 가능한 일인가?
책을 읽고 나서 든 생각은 역사가 소통의 도구가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것이었다. 나는 아이들에게 줄곧 역사를 이야기하면서도 가르치려고만 했지, 소통하려고 하지는 않았는지도 모른다는 반성을 하게 되었다. 역사는 절대로 연표의 나열이 아니고, 지배자의 궤적을 따라가는 학문이 아닌데도 나는 지금껏 너무 큰 것만 가르쳐 왔구나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하지만 나로서도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학교에서는 진도를 따라가느라 역사의 세세한, 그래서 더욱 재미있는 이야기들은 지나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게 역사 선생의 변명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학교에서는 제대로 역사를 가르칠 수도, 배울 수도 없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하!' 하면서 몇 번이나 무릎을 쳤다. 그런데 띠지 안쪽에 숨겨져 있는 카피, "무릎을 치면서 읽는 역사책!" 마치 남몰래 무언가 재미있는 일을 꾸미다가 들킨 것마냥 유쾌하다. 그것을 계기로 책의 표지 곳곳에 박혀 있는 글들에도 눈길이 갔다. 매력적인 책을 더 매력적으로 잘 꾸몄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나, 모처럼 즐겁게 읽은 책에 흠이 될까 봐, 혹시 이 리뷰를 읽고 책을 구매하려던 독자께서 고민할까 봐 여기에는 적지 않으련다.
이 책은 모두 55가지의 소재를 다루고 있는데, 대부분이 익숙한 이야기들이다. 그런데도 낯설다. 책의 표지에 적혀 있는 "모른다고 하기에는 뭔가 억울하고 안다고 하기에는 확신이 서지 않는"이라는 문구가 참으로 기막히다고 할 만큼 딱 그 위치에 있는 상식들을 들려준다. 단편적인 상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을 위로, 아래로 훑어 주면서 상식과 지식의 진폭을 넓혀준다. 사소해 보이는 것, 그냥 지나칠 수 있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거기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끄집어내는 것이 이 작가의 장기다. 그래서 쉽게 읽히면서도 남는 게 많다. 시간 많이 안 들이고 이 정도 상식을 쌓았으니, 꽤 남는 장사다.
나로서는 또 하나 다행인 것이 수업 시간에 애들한테 들려줄 이야깃거리가 많이 생겼다는 점이다. 요즘 애들 책 잘 안 읽으니까, 이 책에서 발견한 '역사'들을 들려주어도 아주 새로워하겠지. 재미있어 하겠지. 왠지 2편이 나올 것 같다는 기대감을 갖고서 글을 마칠까 한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