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우렁각시
  1. 국내작가

이미지

도서명 표기
한국 요괴 도감
글쓴이
고성배 저
위즈덤하우스
평균
별점8.9 (62)
우렁각시

<식물 도감>이 있고 <동물 도감>이 있으며 '식물 도감'에도 산야초/ 버섯/ 약초/ 산나물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왜 '요괴 도감'은 없는 것일까? 라는 의구심을 가졌었다. 그러던 차에 만난 우리나라 최초의 요괴 도감인《한국 요괴 도감》이 출간되었다는 소식에 반가웠다. 그런데 우리나라에 이렇게 많은 요괴가 있었던가? 평창동계올림픽에 등장해 큰 화제가 됐었다던 인면조 소식도 놀랍다. 지금까지 이런 맛은 없었다. 이것은 갈비인가? 통닭인까? 영화 <극한직업>에 나오는 극중대사를 이렇게 패러디하고 싶다. '지금까지 이런 책은 없었다. 이것은 도감인가? 사전인가?' 라고. 명대사를 패러디하고 싶을 만큼 멋진 책이다.

 

전설의 고향을 통해 친밀감이 느껴지는 <구미호>와 <처녀귀신>, 달걀귀와 몽달귀, 손각시 외에도 이름을 들어 알고 있는 귀신들의 등장이 반갑다. 괴물/ 귀물/ 사물/ 신 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내 닉네임인 '우렁각시'는 <미녀 인간형 괴물>이라고 나와 있다. 특징은 우렁이 밖으로 나오면 인간 낭자로 변한다. (p.139) '우렁각시'는 10년 넘게 써온 닉네임인지라 나의 또 다른 이름과 같아 정이 많이 간다. 그런데 우렁각시는 용왕의 딸로서 잘못을 저지르고 벌을 받아 우렁이가 된 것 아니었나? 우렁각시의 설화는 해피앤딩으로 끝난 것이 있는가 하면 비극으로 끝나는 것도 있다.

 

전설의 고향의 또 다른 단골 손님인 이무기는 용이 되지 못한 뱀 형태의 괴물을 말한다. 사방을 지키는 사신(四神)인 주작/ 백호/ 청룡/ 현무 등은 나라를 지키는 영수로 알려져 있다면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는 나라에 해를 끼치는 존재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판타지 소설을 보면 이무기가 등장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장면을 가끔 접하게 된다.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사신수라 하며 여기에 '기린'을 합해 오방신이라 불린다. 업신? 가택신이며 두꺼비외 구렁이, 족제비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전래동화 <콩쥐팥쥐>에서 물이 새는 독(밑 빠진 독) 앞에서 울고 있는 콩쥐에게 나타나 독을 막아 물을 채우게 해준 두꺼비도 '업신'이었을까?

 

'용'으로는 황룡/ 백룡/ 청룡/ 적룡/ 흑룡/ 해룡/ 독용/ 괴룡/ 화룡 등이 나와 있다. 판타지 소설에는 동양의 신에 해당하는 용은 좋은 존재로 서양의 용인 드래곤은 나쁜 존재로 많이 등장하지. 물론 용이라고 다 좋은 것은 아니며 드래곤도 마찬가지, 전동조 작가의 판타지 소설《묵향》에서 주인공 묵향의 의붓아버지인 드래곤 아르티어스는 딸(아들)바보로 나온다. 저자 고성배 씨는《삼국유사》,《삼국사기》,《용재총화》,《어우야담》등을 참고자료로 사용했다. 다른 책들은 다 읽어봤는데《용화총재》는 아직 만나보지 못했다. 기회가 된다면 한국의 괴물들을 모아 기록한《동이귀괴물집》, 전 세계 악마를 모아 기록한《검은사전》, 슬프고 신비한 무속인 인터뷰집《무巫》등도 모두 만나보고 싶어. 아니 모두 소장하고 싶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사락 인기글

  1. 별명
    사락공식공식계정
    작성일
    2025.6.25
    좋아요
    댓글
    103
    작성일
    2025.6.2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6.26
    좋아요
    댓글
    122
    작성일
    2025.6.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6.26
    좋아요
    댓글
    136
    작성일
    2025.6.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