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a
  1. 책을 읽으며

이미지

한성우 교수의 『우리 음식의 언어』를 맛있게읽다 한 일화에서 멈춰 섰다. ‘주전부리와 군것질에 관한 얘기를 하기 위하여 구준하다란 말을 등장시키는 일화다.



충남 아산의 방언 조사 현장에서 한 영감님의 마나님이 옥수수를 쪄오면서 이렇게 말한다.



구준하지 않 혀? 한창때인데 출출하겠네. 하나 잡숴봐. 시방 옥수꾸가 지철이여.”



옆에 있는 학생은 구준하다
말을 못 알아듣고
.... 그러고는 이어진다. 시장한 것과
출출한 것 등의 어감의 차이
.

 



그런데 이 일화. 어디선가 읽었다. 백우진의
『단어의 사연들』에서다
. 왜 같은 일화가 다른 책에 등장하지 싶어 백우진의 책을 들춰봤다. 의심 때문에 들춰봤는데, 백우진은 이 일화가 한성우 교수의 이 책에서
인용한 거라고 깔끔하게 설명하고 있다
. 말하자면, 내가 괜한
의심을 한 셈이다
. 그래서 다시 백우진의 <배고픔의
6단계>를 읽어본다.

 



그는 배고픔에 여섯 단계가 있다고 한다. 우리말에서 그렇단 얘기인데,



궁금하다’ - ‘구준하다’ - ‘출출하다’ - ‘시장하다’ -
배고프다’ - ‘허기지다로 이어진다. (이중 구준하다
충청도 방언으로, 한글 워드프로세서로 치면 빨간 줄이 그어진다.)



백우진은 한국어에 희한하게 배고픔을 나타내는 단어가 많다고 했다. 과거
배고팠던 것은 어느 민족이나 비슷했을 터인데
, 왜 그럴까?


우리 음식의 언어

한성우 저
어크로스 | 2016년 10월

 

단어의 사연들

백우진 저
웨일북 | 2018년 12월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ena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5.1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5.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1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6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5
    좋아요
    댓글
    193
    작성일
    2025.5.1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193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6
    좋아요
    댓글
    157
    작성일
    2025.5.1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