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a
  1. 책을 읽다

이미지

도서명 표기
처음 읽는 바다 세계사
글쓴이
헬렌 M. 로즈와도스키 저
현대지성
평균
별점9.2 (34)
ena

우리는 우리가 살고 이 행성을 지구라고 한다. 아무렇지도 않게 쓰는
이 단어는 한자로 하면
地球. 영어로는
Earth.
모두 육지, 뭍을 의미한다. 이렇게
우리는 당연하다는 듯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행성에 대해서 육지 중심적인 사고를 갖고 있다. 오랫동안
그래왔다는 얘기다. 그러나 1972년 우주에서 지구를 찍은
사진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 아서 클라크는 이렇게 말했다. “이 땅을 지구라 부르다니 참 어울리지 않는
이름이다. 지구는 아무리 봐도 바다인데.”

 



지구라는 행성의 표면적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육지의 높이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가지고 있는 바다는 역사적으로 무시당해 왔다.
무시당해왔다기 보다는 의도적으로 외면되어 왔고, 그 외면에는 어떤 두려움이 깔려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근대 이후에야 바다는 재발견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그때
재발견된 바다는 제국주의적 시각
, 인간 중심주의적 시각에서 편견을 한껏 품은 시각이었다. 바다는 누구의 것도 아니므로 누구든 먼저 차지한 자가 임자다라는 프론티어적 시각 말이다.

 



미국 코네티컷 대학교에서 해양학을 강의하는 헬렌 M. 로즈와드스키의
《처음 읽는 바다 세계사》는 지구의 탄생
, 바다의 생성 시기부터 생명의 탄생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자연사적인 바다를 다루고 있을 뿐 아니라
, 인류가 바다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가졌으며, 그런 태도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역사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니까
자연사적인 측면에서
, 인류사 측면에서 바다의 역사를 동시에 다루고 있다. 고대에 경외의 대상, 배척의 대상이었던 바다가 근대에 이르러서 드디어
바다의 역사가 인류의 역사와 동조되기 시작한다
. 제국주의의 바다, 식민주의의
바다 역사가 시작된 것이다
. 이런 시각조차도 매우 편향적인 것이긴 하지만, 역사가 승자의 편에서 기록된 것이 월등히 많은 상황에서 그런 용어 자체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것이긴 하다. 이 제국주의의 바다, 식민주의의 바다는 이 책에서도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일 수 밖에 없는데, 바다라는 존재가 정복할 수 있고, 이용할 수 있다는 의식이 의도적으로, 집단적으로 발현된 시기이기 때문이고, 이로써 세계의 역사 흐름이
비로소 바다에 대한 지배가 관건이 되기 시작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 주경철 교수의 《대항해 시대》라는
역저에서 다른 시대가 바로 이 시대이며
, 이 시대의 결과가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고 볼 때 근대 바다의
지배가 얼마나 중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 책은 그 이후 현대에 이르러서 바다에 대한 시각을 상당히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산업적인 측면, 오락적인 측면 등등에서 다루고 있는데, 현재의 우리와 상당히 가까운 시기다. 하지만 조금은 낯선 느낌도
든다
. 그 이유를 생각해보면, 이러한 바다에 대한 태도가
우리와는 조금 다른 경로였기 때문이지 아닐까 싶다
. 물론 지금에야 거의 동조화된 게 사실이지만, 우리로서는 그러한 바다에 대한 다양한 태도들이 거의 동시 다발적으로 다가왔던 데 반해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긴 호흡을 가지고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 이러한 것은 여기의 바다에 대한 태도
뿐만 아니라 현대의 많은 사상과 문화가 거의 그럴 것이다
.

 



이제 바다는 친숙하다. 물론 바다를 땅과 같이 취급하지는 않지만, 이제는 다가가기 쉬운바다가
되었다
. 따라서 우리는 바다에 대해 새로운 비전을 세워야 한다. 여기서도
기후 변화를 매우 강조한다
. 바다가 기후 변화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하고 있지만, 그 피해가 바다로부터 나오고 있으며, 그 완충 작용도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 그러므로 인간과 바다에 대한 역사적 이해에 기초해서 새로운 비전과 비유를 만들어야 할
시기가 바로 지금이다
, 이 책은 이렇게 주장하고 있다. 여전히
바다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 때문에
(이것 조차도 핑계에 지나지 않을지 모른다) 새로운 비전이 어떤 것인지 분명하게 다가오지는 않지만,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행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다에 대한 이해가 분명 중요하다는 것은 확실하기 때문에 점점 더 그 중요성에 인식도 커질 것이며
, 그 새로운 비전이 무엇인지도 점점 더 분명해질 것이다.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노누사

    작성일
    2019. 9. 12.

  2. 대표사진

    ena

    작성일
    2019. 9. 12.

    @노누사

ena님의 최신글

  1. 작성일
    13시간 전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13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1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18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