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a
  1. 책을 읽다

이미지

도서명 표기
나는 수학으로 세상을 읽는다
글쓴이
롭 이스터웨이 저
반니
평균
별점9.2 (5)
ena

수학의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생각하기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언급할
수 있겠지만 그 중 하나로
정확성을 들 수 있지 않을까? 학교 수학 시험에서 정답이 1.4인 경우, 1.5를 써놓고 비슷하니 맞게 해달라고 우길 수는 없다. 어떤 수식을
증명할 때도 적어도 논리상 한치의 오차도 있어서는 안 된다
. 우리는 수학이란 정확한 답을 요구한다고
생각한다
.

 



그런데 롭 이스터웨이의 『나는 수학으로 세상을 읽는다』는 전혀 다룬 수학을 이야기한다. 여기서 정확한 답은 거의 다루지 않는다(가끔 이게 정확한 답이지만라고 할 때 나오긴 한다). 대충 어림한 답을 구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그럼에도 이것을 명확하게 수학이라고
하고
, 또 더 유용한 수학적 사고이기도 하다.

 



숫자의 합이나, 곱을 계산할 때 암산을 쉽게 하는 방법(이를 테면 45 x 19 같은 경우,
45
20을 곱한 다음 45를 뺀다는 식), 어림해서 대충 구하는 방법, 일상에서 어림값을 추론하는 방법(페르미 추정법이라고 하는 것) 등이다. 예를 들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고양이의 수를 추론하거나 서울에서 화장실 변기로 내려가는 물의 양을 계산하거나
할 때 말이다
. 물론 그런 것을 추론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수학적, 과학적 사고 방식을 키우는 데는 의미가 있으며, 대학이나 기업 입사 면접에서 던져지는 질문의 방식이기도 하다.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식에 참가한 군중의 숫자를 세는 방식 같은 것은
(우리의 경우 촛불 집회 때 참석 인원의 수를
세는 것
), 언론을 읽는 방식과 관련해서 의미가 있고, 마일과
킬로미터를 환산하는 방법 같은 것은 미국을 여행할 때 유용할 것이다
.

 



우리는 무척이나 정밀한 세상에 사는 것 같지만, 일상 생활에서는 대충
빨리 계산하는 능력이 필요한 때도 의외로 많고
, 어떤 것의 숫자나 규모를 추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비록 그런 게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수학 점수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세상을
살아가는 중요한 도구가 되는 것은 분명하다
.

 



이 책은 그런 능력을 길러준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ena님의 최신글

  1. 작성일
    12시간 전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12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1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18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