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카테고리

박대리
- 작성일
- 2020.7.27
습관의 말들
- 글쓴이
- 김은경 저
유유
출판계 종사자도 아니면서 우연히 알게된 유유출판사의 책을
관심있게 살펴보고 자주 구매하고 있다.
주제넘다 싶긴 한데 나오는 책들이 하나같이 마음에 든다.
사실 ~말들 시리즈는 기획의 승리라고 보는데
단순한 기획같지만 쉽게 쓰지는 못할 것 같은 내용들이다.
우선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어야하고
책을 읽고 자신의 생각이 많은 사람,
거기다 자신의 말로 글을 써낼 수 있는 사람만이 쓸 수 있는 책이다.
그래서 나는 이 시리즈를 살 때마다 100개의 이야기를 소중하게 읽고 있다.
이번엔 습관의 말들이란다.
습관이라. 보통 습관 하면 "좋은"과 "나쁜"이라는 단순한 부사가 붙기 마련이다.
그 기준은 무엇인가. 사실 잘 모르겠다.
무엇에 좋다는 것이고 나쁘다는 것일까. 관점의 차이일 수도 있는데.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습관을 고치는 구체적 방법이나 나쁜 습관을 없애기 위한 실천법을 알려주려는 것이 아니라
매일이 모여 만들어지는 '나'라는 사람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보는 계기는 되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유성용 작가는 <다방기행문>에서 "아무래도 인간은 '나'로 태어나서 평생토록 '나'가 아닌 다른 것이기를 꿈꾸지만 끝내 '나'로 죽는 우스꽝스러운 존재다"라고 했다.
정말 그런 것 같다. 자신이 마음에 들지 않으니 계속 뭔가를 고치려고 하고
현재의 나를 부정하게 된다.
그래서 그렇지 않은 존재로 변신하기 위해 내가 가지지 못한 습관을 익히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이것을 아무도 강요한 적이 없다는 거다.
저자는 아무도 강요하지 않았는데 혼자 목표를 세우고, 또 그 목표를 피할 명분을 마련하느라 궁리하는 인간이라는 존재가 요지경같은 존재라고 했다.
게다가 아무도 몰라도 내가 안다는 사실을 끝끝내 외면하지 못하니 그마저도 짠하단다.
난 아직도 부사를 습관적으로 쓴다. 초고에서는 쓰고 싶은대로 쓰고 퇴고할 땐 부사부터 솎어낸다. 우선, 대개, 다소, 어김없이, 틀림없이, 가까스로, 완벽하게, 그러니까, 넌지시, 무심코, 시종일관, 부디, 거의, 때로...... 이런 것들이 매번 끝도 없이 나온다.
은유 <쓰기의 말들>
말을 하면서 또는 글을 쓰면서 가지고 있는 습관들이 다들 한두가지씩 있을 것이다.
예전에 한 과장님이 '사실은'이라는 말을 너무 많이 쓰셨는데
한번은 그분이 하시는 말씀은 제대로 안 듣고 몇번이나 쓰시는지 세어본 적도 있었다.
그분이 사실은이라는 말을 너무 많이 쓰셔서 그런지 그분 말씀이 오히려 더 미덥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나도 은유 작가처럼 부사를 습관적으로 쓴다.
다행인 것은 부사가 많아서 좀 부끄러운 글이긴 해도
나는 직업작가가 아니니 퇴고를 그렇게 많이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정도?
심플하지 못한 문장은 늘 진심을 가리는 법이라 생각하면서도 부사를 쓰게되는건 왜인지 모르겠다.
누구나 저마다 살림의 콘셉트가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체크인한 호텔방'이다. 퇴근 후 돌아온 집이 체크인한 호텔방처럼 아무런 생활의 흔적이 느껴지지 않도록 노력한다.
김교석, <아무튼, 계속>
체크인한 호텔방처럼 깨끗한 방은 아니지만 나도 누군가 들어와서 내가 허겁지겁 나간 흔적을 보게하는 것은 싫다.
직장이든 집이든 나가기 전에 꼭 정리를 해놓고 간다.
나이가 들어서인지, 가끔 그런 이상한 생각도 한다.
갑자기 내가 사고를 당해서 다시 못돌아올 수도 있는데,
너무 어질러져 있으면 나의 마지막을 얼마나 이상하게 기억할까.
직장에서 휴가라도 하루 가게되면 더 부산을 떤다.
일단 치울 수 있으면 책상 위를 깨끗하게 거의 다 치운다.
이런 습관은 정말 추천할만 한 괜찮은 습관이다.
흥미로운 것은 내가 선호하는 나만의 특별한 버릇, 취향, 성취, 색깔의 이미지와 '상관없는' 모습으로 내가 타인에게 새겨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습관이나 버릇에는 긍정적인 것만 있는 건 아니라서 오히려 들키기 싫고 없애고 싶은 부정적인 이미지도 있으니 말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OO만 보면 네가 생각나"라는 누군가의 말을 들으며 "응? 왜?"하며 당최 이유를 짐작할 수 없을 때도 있다.
"OO만 보면 니가 생각나"는 나도 가끔 듣는 이야기인데
이유를 잘 모르는 상황일 때가 많다.
자신도 모르는 습관과 버릇이 있다는 것은 얼마나 당황스러운건지.
내 의지와 상관없이 타인에게 기억되는 것은 어쩌면 인간의 숙명인지도 모르겠다.
각설하고, 문제는 다 읽지도 못한 책이 쌓여 있는데도 온라인 서점에서, 오프라인 서점에서 자꾸 책을 사는 습관이다. 이제 독서가 취미가 아니라 책 사는 것이 취미라고 해야 할 판이다. 이런 죄책감이 쌓이던 중 한 출판사의 책갈피 굿즈에 쓰인 "읽을 책을 사는 게 아니라, 산 책 중에 읽는 것이다.", "덮어놓고 사다보면 언젠간 읽는다!"라는 문구는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고마운 말이다. 덧붙여 "나는 이미 우리나라 출판계의 부흥을 위해 할 만큼 했다고 자평한다. 책을 살 만큼 샀다"는 애서가 박균호 선생님에 비하면 나는 퍽 양호하다.
주로 생활하는 공간 여기저기에 책을 흩뿌리고 살다가
최근 1~2년 사이에 내가 가진 책의 양을 실감할 수 있는 기회를 여러번 가졌다.
나는 그저 "책이 많다"고만 생각했는데, 직장에도 수백권의 책이 있었고,
부모님 집에 있던 책이 이천 권 정도, 우리 집에도 그 정도의 책이 있었던거다.
직장을 옮기면서 직장에 있던 책을 팔고 나눠주고,
부모님 집과 우리집을 합치면서 책을 또 많이 줄이긴 했지만
지금도 내가 가진 공간에 비해 턱없이 많은 책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가지고 있는 책을 볼때마다 읽었던 책은 내용이 다 기억나지 않아서,
읽지 못한 책도 꽤 많아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만
나도 모르게 슬금슬금 새책을 사들이는 습관은 고치지를 못하고 있다.
저자처럼 나 역시 많은 면피용 문구들로 위로를 받는데,
나도 우리나라 출판계를 위해 할 만큼 하지 않았을까 싶다.
나를 만드는 습관은 어떤 것이 있나 생각하게 했던
유유출판사의 새책 , <습관의 말들>이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