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lalilu
- 작성일
- 2020.11.4
감정적인 것도 습관이다
- 글쓴이
- 미즈시마 히로코 저
생각의날개
감정적인 것도 습관이다 : lalilu
책의 표지는 제목 아래 그림을 통해 마치 부정적인 마음의 온도가 가득 찬 것을 너머 흘러 넘쳐나는 것과 같은 그림을 전한다. 그 밑에는 ‘욱하는 감정 때문에 될 일도 안 되는 사람들을 위한 7가지 심리 기술’이라는 내용을 함께 전하며 이 책이 우리의 욱하는 감정을 잘 제어하고 다스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표지 가장 아래에는 ‘흥분하면 지는 건데....’라는 내용과 함께 “나는 왜 항상 화를 내고 나서 후회하는 걸까?”라는 문장을 전한다. 마지막으로는 ‘대인관계요법 전문 정신과의사가 알려 주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법’이라는 내용을 전한다.
저자는 감정적이 되면 타인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내 자신과의 관계에서도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왜냐하면 스스로에게 실망하며 자신의 감정이 엉망진창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감정을 잘 다스리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내 자신과 상대방 모두를 지키는 매우 중요한 것임을 깨닫게 된다.
그렇다면 과연 감정적인 내 자신을 어떻게 다스리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일까. 저자는 1장을 통해 사람이 왜 감정적이 되는 것인지 그 이유를 밝힌다. 특별히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내용이 많은 부분이다. 내 자신이 왜 감정적이 되는 것인지 그 이유를 깨닫게 되면 감정적이 되는 내 자신을 잘 제어할 수 있게 된다. 2장에서는 특별히 다른 사람들보다 더 감정적이 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긍정하는 마음이 낮은 사람이라고 설명한다. 다른 사람에게는 별것이 아니지만 스스로에게 너무 가혹한 것은 자신을 긍정하는 긍정감이 낮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을 통해 감정적으로 바뀌는 내 자신이 왜 그렇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 참 중요한 것임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서로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내 자신만 옳다고 주장할 때 감정적이 되기 쉽다. 그러므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는 마음의 근육을 키우는 것도 감정적이 되지 않기 위해 꼭 필요한 것임을 배우게 된다.
특히 상대방에게 과도하게 내 자신의 생각을 강요할 때 우리는 감정적이 된다. 저자는 그것을 내가 생각하는 ‘옳음’을 과도하게 주장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 자신에게 좀 더 느긋하고 여유있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상대방은 그렇게 과도하게 타인에 대해 관심이 없다. 내가 만든 감옥에 스스로 갇히지 않도록 감옥의 문을 열고 자유롭게 마음의 짐을 내려 놓을 수 있게 되길 기대해보게 된 시간이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