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flower
  1. 기본 카테고리

이미지

도서명 표기
치우치지 않는 삶
글쓴이
웨인 다이어 저
나무생각
평균
별점9.2 (35)
flower

<치우치지 않는 삶> 이 책은 저자 웨인 다이어가 도덕경을 삶에서 실천한 1년간의 묵상과 탐구의 기록이다. 2,500년 전에 쓰여진 5천여 글자를 현대에도 수 없이 번역하고, 다양한 해석과 연구를 한다는 것이 무척 놀랍다. 서양인인 저자가 동양의 고전을 연구하였다는 것에 더 깊은 관심이 생겼다. 에필로그와 1,2,3장을 낭송하여 녹음을 하면서 다시 듣고 써 보았다. 노자가 무척 궁금하고 도덕경을 조금이라도 알고 싶었다. 깊고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빛나는 두 눈과 아이 같은 미소를 지녔을 것 같은 노자! 빛나는 사상가이면서도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 바람처럼 사라졌던 은둔의 노자가 나는 정말 궁금하다. 부드러우면서도 청천벽력 같은 뇌우를 지닌 이 노자를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



 



무엇을 치우치지 않는 삶이라고 할까? 삶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이 그 대상일 것이다. 수용하기도 하고 놓아버림을 의미할 것이다. 있음과 없음에 치우치지 않고, 있음도 수용하고 없음도 수용하는 것, 이것이 중도적인 안목으로 치우지지 않는 삶일 것이다. 이 책을 밑줄 그으려면 책 전체를 다 그어야할 것 같았다. 81장중에서 어느 페이지를 펼쳐도 그곳이 중심이 된다. 한 장 한 장마다 다 핵심이 들어 있어서. 보석 같은 책이라고 표현하고 싶다. 노자가 말하는 상징 중에 자연이 많은데 특히 물처럼 변화하고 흘러가면서 고이지 않는 진리는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고 항상 그 모습을 원하는 사람에게 보여준다.



 



1장, 신비로운 삶에서 ‘말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 도가 아니다.’ 도덕경의 첫 문장이다. 형체 없는 신비로움에서 눈에 보이는 만물이 태어난다. 그것을 원함과 내버려둠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원함에서 창조가 시작되고 내버려둠의 신비는 텅 비고, 믿고, 허락하는 본질이다. 어느 쪽이 토양이지? 하는 의문이 드는데 ‘이름 없는 것은 모든 것의 근원이고 이름 있는 것은 만물의 어머니다.’ 뒤 이어 나오는 본문의 이 글이 해답인 것 같다. 같기도 하고 또한 다르기도 하지만, 나 자신은 어느 경계에 서 있는지 끝없는 사유가 펼쳐진다. 잘은 몰라도 이것이 도덕경의 매력인 것 같다.



 



2장, ‘모순된 조화를 따르는 삶’은 이원성과 모순 속에서 조화롭게 호흡하면서, 유무 고저 장단 미추 안팎 등 물질세계의 관점들을 다 수용하는 것이 노자의 ‘그저 존재하라’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3장, ‘만족하는 삶’은 사회적 지위, 명예, 물질 등을 과도하게 추구하는 것이 도의 흐름에서 멀어지므로, 에고의 목소리나 소유의 성취를 따르기보다 지금의 삶에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무위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 만족, 지족의 하늘을 살아가는 길이다.



 



이 책에서 ‘도’라는 말은 독자의 상황에 맞게 이해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The way'로 번역되는 것이 참 좋다. 길, 진리, 존재, 그리스도, 붓다, 근원, 참 자아...독자의 상황에 맞는 그 어떤 말로 이해해도 될 것이다. 1장에서 ‘도’는 이름을 규정하는 것을 넘어서야한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각 장마다 해설에 저자가 얻은 묵상 2개와 생활에 밀접한 실천이 나온다. 구본형(님)의 해제 10개가 내용을 더 풍성하게 해준다. 현대사회에 메가트렌드로서 지혜, 로하스, 여성성 3가지를 도덕경이 담고 있으며, 과거에 태어나 현대에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책이라고 하였다. 또한 저자 웨인 다이어는 도덕경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로서 정신을 확장시켜주며, 풍자와 역설을 통해 삶을 바라보는 방식을 변화해나가는 것이 가장 큰 선물이라고 하였다.



 



지혜의 서, 구도의 서, 제왕학, 그러나 평범한 사람의 일상에서 그대로 도덕경이 스며들어 올 수 있도록 실천에 초점을 맞춘 이 책을 읽으면서 노자라는 이름이 주는 설렘을 감출 수가 없다. 스스로 광채를 가진 사람이면서도 그 빛을 은은하게 줄이고 먼지와 같이 자신을 낮추고, 물처럼 자연스럽게 변화하면서, 과도한 힘을 빼고, 삶을 즐기듯 살라고 다가와준 마음 속 스승, 노자라는 이름을 말하고 도덕경을 만난 것은 내 삶의 특별한 행운이다.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니나노

    작성일
    2021. 1. 20.

  2. 대표사진

    오에오

    작성일
    2021. 1. 20.

flower님의 최신글

  1. 작성일
    6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6시간 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13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13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1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18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