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노부타
- 작성일
- 2021.3.21
메트로폴리스
- 글쓴이
- 벤 윌슨 저
매일경제신문사
도시의 탄생과 발전 역사에 따라 인류문명의 역사를 이야기해주고 있는 책이다. 고대문명의 발생지로 알고 있는 메소포타미아의 남부 지역에서 탄생한 최초의 도시 우르크의 이야기에서부터 바그다드, 로마, 뉴욕, 바르샤바, 로스앤젤레스, 미래의 도시라 일컫는 라고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고대에서 현대의 시간까지 아우르는 문명과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뭔가 인문학적인 접근으로 책읽기가 어려우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앞섰는데 의외로 내용 자체는 술술 넘어간다. 문제는 그렇게 술술 읽어낸 이야기들의 핵심적인 내용이 맥락없이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메트로폴리스가 말하려는 것이 무엇이었더라? 미래지향적인 스마트한 도시 -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어쩌면 철저히 통제와 감시속에 존재하는 도시라 일컫는 송도의 현재 모습이 어떤지 궁금해지고 있기는 하지만 딱 그정도뿐이다. 인류문명과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도시를 중심으로 풀어놓고 있지만 가장 재미있었던 것은 음식에 대한 이야기였고 바그다드의 시장거리를 걷거나 런던의 까페에서 차 한잔 마시면 좋겠다는 쌩뚱맞은 생각뿐이다. 아니, 그런데 까페라고 하면 파리가 먼저 떠오르는데 왜 런던인가. 책을 읽었지만 읽은 것은 아니라고밖에 할 수 없어 씁쓸할 뿐이다.
영화로 만들어지면서 확실하게 알려진 도시 덩케르크는 우리의 인천을 떠올리게 하지만 이 책에서는 또 다르게 뤼벡을 말하고 있다. 중세 유럽의 중심도시인 뤼벡은 히틀러가 '바트 슈바르타우 가까이에 있는 소도시'라고 칭할뿐인 도시가 되어버렸다가 다시 유럽의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역사에 대해 잘 몰라도 인천이라는 도시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것처럼 유럽인들에게 뤼벡은 덩케르크 이상으로 잘 아는 도시일지도 모르겠다. 항구도시는 교역과 상업의 중심지가 되면서 발달하게 되고 도시의 발달은 문화의 중심 역할을 맡게 되기도 하니 이런 유기적인 결합으로 도시의 역사가 곧 인류문명의 역사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도시의 발달은 곧 인류문명의 발달이라고 생각했었지만 팬데믹의 상황이 되니 도시로 집중된 것들은 오히려 혜택이 아니라 위협이 되어버리기도 했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역사에서 알 수 있듯 최초의 도시가 생겨난 이후 도시가 사라지는 일은 없을 듯 하다. 원폭으로 폐허가 되었던 히로시마도 복구가 되었듯이 말이다. 아, 물론 원전사고로 무너진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는 여전히 죽음의 도시가 되어있기는 하지만.
저자는 다른 도시를 언급하며 이 내용들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책을 읽으며 내게 더 익숙한 도시의 이름이 떠올랐다.
아무튼 도시의 이야기는 결국 사람이 살아가는 이야기이며 사람의 이야기는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한 주제로 다양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니 도시가 발달하고 위기가 찾아와 도시가 해체되는 듯 보여도 다시 도시는 집중되고 밀집하게 발전할 것이며 환경의 문제가 제기되는 현재에도 그 해결책을 찾아낼 것이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